DOI QR코드

DOI QR Code

1920년대 경성 동부지역 내 세부 권역별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and Price in Detailed Parts of Eastern District Gyeongseong in the 1920's

  • 유슬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김경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 김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Seulki Yu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yung-mi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n-seok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06.08
  • 발행 : 2023.06.30

초록

경성 동부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토지가격을 살펴본 결과, 병원과 학교, 연구기관 등 근대식 주요시설이 밀집해있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의 토지가격대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경성 동부지역을 세부권역(경성 동북부와 동남부)로 나눈 후, 각 세부권역별 토지시장을 분석하였다. 동북부의 경우, 중앙부로부터 거리와 시구개수가 예정된 도로와의 거리가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었고, 동남부의 경우, 주요대로인 이현대로와 종로와의 거리가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었다. 즉, 동북부 지역은 주요시설이 밀집해있는 중앙부의 영향이 토지시장에 미치는 배후지 성향을 지녔고, 동남부 지역은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종로의 영향이 가장 큰 상업지 성향을 지녔다. 본 연구는 100년 전 토지시장에서도 도로 및 앵커시설과의 접근성, 토지시장의 분절 등 현대 토지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당대에도 유의미하게 작용했음을 밝힘으로써 근대 토지시장의 일부 단면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Upon examining land prices in the eastern district of Gyeongseong,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variations in land price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s, with the central part being densely populated with modern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schools, and research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eastern district of Gyeongseong was further divided into specific sub-areas, namely the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land market in each area. In the northeastern area, factors such as distance from the central area and proximity to planned road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land prices. On the other hand, in the southeastern area,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road, whice were IHyun Road and Jongro,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fluencer of land prices. Therefore, the northeastern area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a hinterland,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major facilities in the central area, while the southeastern area had a strong commercial orientation, largely shaped by the influence of Jongro as a bustling commercial distri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light on certain aspects of the modern land market by demonstrating that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to roads and anchor facilities, as well as the segmentation of the land market, were also influential in the land market a century ago.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2A01029089).

참고문헌

  1. 강병식, 1994, 일제 강점기 서울의 토지연구: The study on the land in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서울: 민족문화사.
  2. 강창우.양승우, 2014, "일제강점기 경성 동북부 도시조직 변화과정연구‒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57, pp.115-172.
  3. 김백영, 2007,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1930년대 서울의 백화점과 소비문화," 사회와역사 75, pp.77-113.
  4. 김윤경, 2020, "경성의 주택난과 일본인 대가업자들-본정대가조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78, pp.1-37. https://doi.org/10.17647/jss.2020.02.78.1
  5. 김진석.서경희.이현승.김경민, 2022, "서울시 상권 특성이 소매업 생존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7(1), pp.75-90. https://doi.org/10.17208/jkpa.2022.02.57.1.75
  6. 배영순, 2002, 한말.일제초기의 토지조사와 지세개정,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7. 백두산, 2013, "식민지 조선의 상업.오락 공간, 종로 권상장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42, pp.53-88. https://doi.org/10.17938/tjkdat.2013..42.53
  8.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화 과정 연구, 서울: 일지사
  9. 유슬기, 2017, 서울 도성 안 동북부 지역의 신흥부촌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유슬기, 2022, 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유슬기.김경민, 2017, "일제강점기 한양 도성 안 동북부지역의 중상류층 지역화 과정," 서울과역사 97, pp.161-213.
  12. 이경아, 2019, 경성의 주택지, 서울: 집.
  13. 이경아.전봉희, 2006,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pp.191-200.
  14. 이희연.노승철, 2017, 고급통계분석론, 파주: 법문사.
  15. 조미정.이명훈, 2015, "근린생활환경이 노후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토계획 50(4), pp.23-47.
  16. 조석곤, 2003, 한국 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서울: 해남
  17. 전병재.조성윤, 1995, "일제 침략기 경성부 주민의 토지 소유와 변동," 서울학연구 6, pp.1-40.
  18. 전우용, 2001, "종로와 본정 -식민도시 경성의 두 얼굴-," 역사와현실 40, pp.163-193.
  19. 전해정, 2016, "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4, pp.46-56.
  20. 최은진, 2022, "일제하 토지 투자 열풍-일본인 지주.자본가의 한국 토지 매입 전략과 수익," 역사비평 139, pp.8-39. https://doi.org/10.38080/crh.2022.05.139.8
  21. 東亞日報, "京城府內地價騰落推移最高는坪千圓以上", 1929년 8월 7일자.
  22. 朝鮮日報, "北部新作路의 路側家에 課稅", 1930년 7월 21일자.
  23. Nelson, A. C. and Hibberd, R., 2019, "Streetcars and Real Estate Rents with Implications for Transit and Land Use Plann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673(10), pp.714-725. https://doi.org/10.1177/0361198119849916
  24. Smith, B. A., 1978. "Measuring the Value of Urban Ameniti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5(3), pp.370-387. https://doi.org/10.1016/0094-1190(78)90017-7
  25. Barr, J. and Tassier, T., 2016., "The dynamics of subcenter formation: midtown manhattan, 1861-1906,"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6(5), pp.754-791. https://doi.org/10.1111/jors.12288
  26. Edel, M. and Sclar, E., 1975, "The Distribution of Real Estate Value Changes: Metropolitan Boston, 1870-1970," Journal of Urban Economics 2(4), pp.366-387. https://doi.org/10.1016/0094-1190(75)90034-0
  27. Hoyt, H., 1993, One Hundred Years of Land Values in Chicago,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28. Hoch, I. and Waddel, P., 1993. "Apartment Rents: Another Challenge to the Monocentric Model", Geographical analysis, 25(1), pp.20-34.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3.tb00277.x
  29. McMillen, D. P., 1996, "One Hundred Fifty Years of Land Values in Chicago: A Nonparametric Approach," Journal of Urban Economic 40(1), pp.100-124. https://doi.org/10.1006/juec.1996.0025
  30. Stegman, M. A., 1969, "Accessibility Models and Residential Location," Journal of American Institue of Planners 35(1), pp.22-29. https://doi.org/10.1080/01944366908977823
  31. Raff, D., Wachter, S. and Yan, S., 2013, "Real estate prices in Beijing, 1644 to 1840," Journal of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50(3), pp.368-386. https://doi.org/10.1016/j.eeh.2012.10.003
  32. Wheaton, W. C., Baranski M. S. and Templeton C. A., 2009, "100 years of Commercial Real Estate prices in Manhattan," Journal of Real Estate Economics 37(1), pp.69-83. https://doi.org/10.1111/j.1540-6229.2009.002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