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 방안: 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유형 및 사례를 중심으로

Utiliz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Types and Cases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 박원석 (대구대학교 부동산.지적학과)
  • Wonseok Park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Land Administration, Daegu University)
  • 투고 : 2023.05.20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인 추진과 사업구조 구축을 위해,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민관 파트너십 유형은 중앙정부 주도형, 지방정부 주도형, 민간사업자 주도형, 지역주민·커뮤니티조직 주도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선진국들은 다양한 민관 파트너십의 구성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셋째로, 국내의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관 파트너십 활용 방안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유형과 규모의 다양화 방안 마련, 다양한 민관 파트너십 활용을 위한 제도설계 마련, 다양한 민간참여의 활용을 위한 교차보조 방식의 활용, 투명하고 효과적인 민관 파트너십에 필요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utilize public-private partner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establish a business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the type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be classified into central government-led, local government-led, private business-led, and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organizations-led. Second, it is confirmed through overseas case analysis that developed countries are effectively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formation of various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ird, as a way to utilize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Kore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was proposed to diversify the types and siz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esign a system to utilize various public-private partnerships, use cross-assistance methods, and form social capital necessary for transparent and effective private partnership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A2A01040064).

참고문헌

  1. 권정주.조진희.전원식.황희연, 2012, "도시재생사업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거버넌스 참여주체별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도시행정학보 25(2), pp.325-343.
  2. 김상태.류태창, 2018, "자율상권구역(BID), 도시재생을 위한 거버넌스-미국.영국의 BID 제도 및 운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6(4), pp.197-214.
  3. 김영훈.김기수.최광복 역, 2009, 영국의 거버넌스형 마을만들기, 기문당 (= 西山康雄.西山八重子, 2008, イギリスのガバナンス型まちづくり, 學藝出版社).
  4. 김홍주, 2018,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도시재생지원센터 거버넌스 특성 및 향후 운영방안," 공간과 사회 28(3), pp.140-165.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140
  5. 류동길.박원석, 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381-397.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381
  6. 류재한, 2019, "유럽문화수도 'Marseille-Provence 2013' 프로젝트의 '방법으로서의 유로메디테라네' 고찰," 유럽문화예술학논집 10(2), pp.69-89. https://doi.org/10.26854/JECA.2019.10.2.69
  7. 박근철.주범.김홍기.김세용, 2011,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 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1), pp.11-26.
  8. 박원석, 2013,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리츠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75-292. https://doi.org/10.23841/EGSK.2013.16.2.275
  9. 박원석, 2018,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자본시장 활용 방안-미국의 부담가능주택 리츠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31-253. https://doi.org/10.23841/EGSK.2018.21.3.231
  10. 박원석, 2019, "일본의 임대주택 리츠의 자산관리 특성과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36-51.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36
  11. 박원석, 2021a,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관 파트너십을 활용한 재원조달 방안," 한국지적학회지 37(3), pp.159-177. https://doi.org/10.22988/KSC.2021.37.3.012
  12. 박원석, 2021b, "도시재생을 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로서 BID(Business Inprovement Districts)의 활용 방안," 부동산분석 7(2), pp.89-116. https://doi.org/10.30902/jrea.2021.7.2.89
  13. 박은철, 2011, 주요 선진국의 도시재생체계와 정책적 시사점, 주거복지컨퍼런스.
  14. 박인석.염철호.차주영, 2009, "영국 도시재생사업에서 참여주체별 역할과 협력관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12), pp.349-360.
  15. 박진석, 2017, "지역 커뮤니티 재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연구-영국의 커뮤니티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2), pp.41-51. https://doi.org/10.5659/JAIK_PD.2017.33.2.41
  16. 배준구, 2019, "프랑스의 도시재생사업과 시사점-마르세유와 낭트 사례로," 지중해지역연구 21(1), pp.103-132. https://doi.org/10.18218/JMAS.2019.21.1.103
  17. 심미화.나주몽, 2020, "민관협력(PPP)형 공적부동산 활용의 문제점과 활용 방안에 대한 일고찰: 일본 공공R부동산 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NGO연구 15(2), pp.239-273. https://doi.org/10.23193/KNGOS.2020.15.2.239
  18. 양도식, 2013,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실체, 국토연구원.
  19. 양재섭.김영환.김정원, 2007, "영국의 도시재생 추진기구와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2(5), pp.129-143.
  20. 윤주선.이여경, 2017, 민관협력사업을 통한 자립형 도시재생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1. 이나영, 2021,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pp.425-445. https://doi.org/10.23841/EGSK.2021.24.4.425
  22. 이삼수, 2007, "일본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의 관리.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8(2), pp.19-34. https://doi.org/10.23129/SEOULS.8.2.200706.19
  23. 이성근.최민아, 2012, "보를로법에 의한 프랑스 국가도 시재생프로그램(PNR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4), pp.15-33.
  24. 이영범, 2013, "지역공동체 기업의 사회적 개발에 관한 연구: 런던 코인스트리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EU연구 33, pp.281-312.
  25. 이운용.김민경.이정형, 2008, "미국의 도시재생수법으로서 BID(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2), pp.41-56.
  26. 정철모, 2009, "선진국의 도시재생을 위한 파트너쉽 제도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2(1), pp.69-91.
  27. 최은순, 2005, "마르세이유의 경제문화 발전전략-해양산업과 유로메디테라네 사업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연구 10, pp.121-140.
  28. 최은순, 2007, "마르세이유항의 재개발-문화복합기능도시의 구상," 해양문화학 4, pp.29-45.
  29. Coatham, V. and Martinali L., 2010, "The role of community-based organisations in sustaining community regeneration: An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and contribution of Castle Vale Community Regeneration Services(CVCR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30(1/2), pp.84-101. https://doi.org/10.1108/01443331011017056
  30. Deng, H. and He, J., 2016,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PPP model based on REITs in urban regeneration practic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nomics, Social Science, Arts, Education and Management Engineering, pp.255-266.
  31. Kyvelou, S. and Karaiskou, E., 2006, "Urban development through PPPs in the Euro-Mediterranean region", Manage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17(5), pp.599-610. https://doi.org/10.1108/14777830610684567
  32. Lowndes, V., Nanton, P., McCabe, A. and Skelcher, C., 1997, "Networks, partnerships and urban regeneration," Local Economy 11(4), pp.333-342. https://doi.org/10.1080/02690949708726349
  33. Pratt, A. C., 2009, "Urban regeneration: From the artsfeel good'factor to the cultural economy: A case study of Hoxton, London," Urban Studies 46(5-6), pp.1041-1061. https://doi.org/10.1177/0042098009103854
  34. Tallon, A., 2021,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Routledge.
  35. Coin Street Communities Builders, www.coinstreet.org (최종열람일: 2023년 4월 1일).
  36. Euromediterranee, www.euromediterranee.fr (최종열람일: 2023년 4월 1일).
  37. Time Square Alliance BID, www.timessquarenyc.org (최종열람일: 2023년 4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