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Study of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ducative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for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틀 개발 연구

  • Received : 2023.10.05
  • Accepted : 2023.10.19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eacher guidebooks as a support for teacher learning, there are few studies that address the educative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ducative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framework developed by Fuentes and Ma(2018) for analyzing teacher guidebooks, "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as used as an initial framework by adding the unit development flow that reflects on the organizational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in Korea for elementary mathematics. Then, the framework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esting 10 types of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per six units reflecting on different mathematical strands. As a result, the final framework expanded the initial framework and added elements related to each dimension of the framework according to the unit development flow. The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closely analyze the educative features of teacher guide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future and to develop teacher guidebook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수학 지도서는 교사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다루는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educative features)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Fuentes와 Ma(2018)가 수학 지도서를 분석하기 위해 개발한 틀인 '수학 교육과정 자원에서 교사 학습 기회(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에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 각론의 구성적 특성에 따른 단원 전개 흐름을 추가하여 초기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그런 다음 3-4학년 수학의 6개 단원별로 검정 지도서 10종을 적용하여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보완 및 확대하였고, 우리나라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도록 단원 전개 흐름에 따라 관련 요소를 도출하고 정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틀은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고, 교사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서의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화, 권창진, 이유나(2022).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분석. 교육 발전, 41(3), 425-444.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3.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8].
  4.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2018.12.).
  5.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6. 김성준(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검토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2(2), 153-174.
  7. 방정숙, 선우진, 조선미, 이유진, 김은경, 김윤영, 박예진, 김경훈, 황지남, 이하늬(2019). 국내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1963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9(4), 709-739.
  8. 서희주(2022). 고등학교 수학 지도서의 교과 역량 교수에 대한 교육적 지원 양상. 학교수학, 24(2), 189-215.
  9. 서희주, 이선영, 한선영(2019).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Educative) 수업 지원 양상 및 개선 방안: 고등학교 <수학>의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1(3), 531-559.
  10. 소경희(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3(1), 195-214. https://doi.org/10.15708/KSCS.33.1.201503.009009
  11. 신동조(202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수학교육, 59(1), 63-80.
  12. 안병곤(2018).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용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초등수학교육, 21(1), 39-53.
  13. 이경화, 정혜윤, 강완, 안병곤, 백도현(2017). 수학 교구 활용을 위한 교수학적 원리의 제안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31(2), 203-221.
  14. 임영빈(2022).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초등수학교육, 25(2), 143-160.
  15.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남지현, 박미정, 박성광, 박혜민, 유철민, 임미인, 정혜선, 좌승협(2022). 초등학교 수학 3-2 지도서. 미래엔.
  16. 최창우(2014). 한국과 미국의 1학년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고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0(4), 385-404. https://doi.org/10.7858/eamj.2014.028
  17. Ball, D. L., & Cohen, D. K. (1996). Reform by the book: What is-Or might be-The role of curriculum materials in teacher learning and instructional reform? Educational Researcher, 25(9), 6-14. https://doi.org/10.2307/1176518
  18.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 (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19.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https://doi.org/10.3102/0013189X034003003
  20. Davis, E. A., Palincsar, A. S., Arias, A. M., Bismack, A. S., Marulis, L., & Iwashyna, S. (2014).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driven proces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1), 24-52. https://doi.org/10.17763/haer.84.1.g48488u230616264
  21. Davis, E. A., Palincsar, A. S., Smith, P. S., Arias, A. M., & Kademian, S. M. (2017).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Uptake,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design. Educational Researcher, 46(6), 293-304.
  22. Dwiggins, A. D. (2020). Educative features of upper elementary Eureka math curriculum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3. Fuentes, S. Q., & Ma, J. (2018). Promoting teacher learning: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21, 351-385. https://doi.org/10.1007/s10857-017-9366-2
  24. Males, L. M. (2011). Educative supports for teache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hat is offered and how is it express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6. Remillard, J. T. (2000). Can curriculum materials support teachers' learning? Two fourth-grade teachers' use of a new mathematics tex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0(4), 331-350. https://doi.org/10.1086/499645
  27. Remillard, J. T. (2018). Examining teachers' interactions with curriculum resource to uncover pedagogical design capacity. In L. Fan, L. Trouche, C. Qi, S. Rezat, & J. Visnovska (Eds.), Research on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resources: Advances and issues (pp. 69-88).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