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취업 장애인 1인가구의 대인관계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mploy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Self-Esteem Mediation Effect Analysis

  • 박수선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심다연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학)
  • 투고 : 2023.12.13
  • 심사 : 2024.01.25
  • 발행 : 2024.02.28

초록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 1인 가구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대인관계능력과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장애인 1인가구가 행복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7차년도 2차 웨이브 자료(2022) 중 1인가구 82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능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가 대두되는 현대 사회에서 취업장애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장애인 1인가구 스스로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maintain a happy life by analyzing how interpersonal skills necessary for community adaptation and self-esteem, which are personal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self-esteem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with SPSS Process Macro 4.3 using data on 828 single-person households sourced from the seventh wave of the Disability Employment Panel Survey(2022) condu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the Korea Disability Employment Service.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it was found that higher self-esteem wa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skill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association. The path from interpersonal skills to life satisfaction via self-esteem was dee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at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a modern society in which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emerging. Furthermore, it provides a direction for these individuals to become the main actors of their own l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담정(2022).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장애수용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 유형과 우울 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84
  3. 고민석.김동주(2014). 경제활동상태가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4(2), 137-164.
  4. 권오형.문재우(2018). 장애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8(6), 327-333.
  5. 기획재정부(2020). 1인가구 중장기 정책방향 및 대응방안(i).
  6. 김선주(2020).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주택도시연구, 10(1), 39-62.
  7. 김성중(2023).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와 대인관계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혼합연구방식의 적용.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성희.이연희.오욱찬.황주희.오미애.이민경.이난희.오다은.강동욱.권선진.오혜경.윤상용.이선우(2017).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9. 김연옥.임경원.이혜전(2012).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의 차이. 직업재활연구, 22(3), 49-65.
  10. 김영란.주재선.정가원.배호중.선보영.최진희.김수진.이진숙(2021). 2020년 가족실태 조사 분석 연구. 여성가족부.
  11. 김은주.김향.윤주영(2019).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 잠재계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4), 449-459.
  12. 김자영.한창근(2016). 자산수준과 취업여부 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장애와 고용, 26(3), 5-30.
  13. 김정은.박정윤.서지원.송혜림(2023).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생활실태 및 생활만족도: 김포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3), 21-37. DOI : 10.22626/jkfrma.2023.27.3.002.
  14. 김진영(2013). 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4), 109-120.
  15. 김현지.김용진.오윤지.김태용.현지원.권준성(2023). 2023 장애통계연보. 한국장애인개발원.
  16. 나대웅.이정화(2023). 1인가구 중고령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가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정도의 조절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33(3), 5-31.
  17. 문성제.손민성.최만규(2017). 신체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변화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7(3), 217-239.
  18. 문영임.이성규.김수정(2020).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6(3), 271-291.
  19. 박명숙(2012).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6(1), 139-158.
  20. 박수경.이선우.김소민(2018).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 40, 123-149. https://doi.org/10.22779/KADW.2018.40.40.123
  21. 박주영(2018).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272-280.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72
  22. 박주영(2019). 장애노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17(7), 387-393. https://doi.org/10.14400/JDC.2019.17.7.387
  23.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현숙(2014).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10, 105-123.
  25. 배성만(2015). 한국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6(3), 51-65.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51
  26. 보건복지부(2021.04.20).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보도 참고자료.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447846에서 2024.01 인출.
  27. 서원선.이수용(2017). 고령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장애인복지연구, 8(2), 91-125.
  28. 서지원.양진운(2017). 1인가구 생애주기별 성별 생활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90.
  29. 서지원.이수진(2021). 중년 무배우남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87-99. DOI : 10.22626/jkfrma.2021.25.4.007.
  30. 설동필.우윤석(2012).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 정책의 효율성 연구. 한국정책연구, 12(4), 217-242.
  31.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2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가구 대상 특화 프로그램 방향성 모색-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3), 1-17. DOI : 10.22626/jkfrma.2020.24.3.001.
  32. 송혜림.강은주(2021).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20-30대 미혼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55-70. DOI : 10.22626/jkfrma.2021.25.4.005.
  33. 여성가족부(2021).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
  34. 원유진.조택연(2020). 여성 1인가구를 위한 범죄예방 복합주거공간 연구: 여성 공유주택에서의 공공감성과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5(5), 201-214. https://doi.org/10.35216/KISD.2020.15.5.201
  35. 윤민석.변금선.이영주(2022). 장애인 1인가구, 주거지원 확대하고 지원기준 정립, 지원체계 구축 필요. ISSUE PAPER. 서울연구원.
  36. 이동욱(2023). 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자아존중감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WarpPLS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9(1), 145-186.
  37. 이소영.엄순철(2018). 청년기 1인가구를 위한 주거요구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2), 77-85. https://doi.org/10.14774/JKIID.2018.27.2.077
  38. 이윤지.변혜미.김호진.조신영.임예직.이지우.변민수.최종철.박민규(2023). 2022년 하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9. 이현민.최미선(2022). 노인 1인가구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 요인. 보건사회연구, 42(2), 262-279. https://doi.org/10.15709/HSWR.2022.42.2.262
  40. 임미화(2020). 성별 주거비용 비교분석: 1인가구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28(2), 113-129.
  41. 임상욱.전지혜(2021). 장애인 1인가구의 형성과 사회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장애인 1인가구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2(4), 1-21. https://doi.org/10.23129/SEOULS.22.4.202112.1
  42. 임성옥(2022). 세대유형별 1인가구의 주거빈곤과 정신건강 -Process macro model 6 적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11), 83-93. https://doi.org/10.5659/JAIK.2022.38.11.83
  43. 임정후.이성규(2023). 사회적 배제가 1인 가구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8), 590-598.
  44. 장민선(2016). 여성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법정책적 지원 방향. 젠더리뷰 42, 22-2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5. 장수빈(2019).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자기효능감 및 장애수용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장재원.이지원(2019). 여성 1인가구 대상 범죄발생에 도시환경이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5-86.
  47. 전병재(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학회지, 11(1), 107-130.
  48.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채성주(2015). 충북지역 1인 가구의 주거실태 분석과 정책방향. 충북발전연구원.
  50. 통계청 보도자료(2022.12.07).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tag=&act=view&list_no=422143&ref_bid=에서 2024.04 인출
  51.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20). 2020년 장애인고용 패널조사(2차 웨이브).
  52. 행정안전부(2023.08.22). 행정안전통계연보.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pT-BxuWpYTx41tVDoMbilg+-.node10?bbsId=BBSMSTR_000000000013&nttId=102952에서 2024.01 인출
  53. 허세미.이예나(2023).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46, 39-62.
  54. 황경란.박소영.박수선.조성희.최성은(2021). 경기도 1인가구 실태조사 연구. 경기복지재단.
  55. Coopersmith, S.(1981). SEI Self-Esteem inventories manual. Redwood City. CA: Mind Garden.
  56.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7. Schlein, S., Guerney, B. G. &Stover. L.(1971).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8. Shrout, P. E. &Bolger, N.(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