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erspace desig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Let Us Make: Interrogating Personnel's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 in a Nigerian University Library

  • Igbinovia, Magnus Osahon;Alex-Nmecha, Juliet C.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3-36
    • /
    • 2021
  • Makerspace offers an innovative way for university libraries to render services and achieve its core objectives. However, there is low level of adoption in Nigerian university libraries, hence the need to investigate the personnel's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 as an innovative learning platform. To achieve this, th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o elicit data with the aid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the 96 library personnel in John Harris Library, University of Benin. Of the 96 copies of questionnaire distributed, 68 copi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brary personnel were familiar with makerspace even though they still require more information about it. Also, that makerspace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acquire ew skill and enhances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Moreover, the study revealed that budget constraints, high cost and maintenance of equipments, erratic power supply and lack of staff training are some of the perceived challenges to makerspace implementation. Consequently, the study revealed tha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strategize on how to increase allocation of funds, organize makerspace webinar for personnel, ensure stable electricity supply and create a dedicated space for makerspace in the library. In conclusion, makerspace will provide students with the technological exposure and creative abilities required for the future, and as such effective planning should be made for its deployment and sustainability in Nigerian university libraries.

Co-designing the Library Makerspace with Children: A Case Study of Seoul Children's Library with a Focus on 3D Printing

  • 이경진;조민;이소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51-17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utilization of a makerspace regarding 3D printers in a children's library by conducting co-design sessions targeting the end-users, children. To achieve this, a program utilizing a 3D printer was conducted for seven children at the Seoul Children's Library, followed by interviews with bo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during the design s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interest in the physical realization of ideas through the use of a 3D printer. Researchers adjusted their level of intervention based on each child's tendency, playing a supportive role. Second, children became aware of various limitations associated with 3D printers and public library makerspace. Third, the rapport between children and resear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design sessions, driven by the active communication of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a reevaluation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library maker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autonomy and creativity and emphasizes the need to closely understand the end user's requirements in establishing operational strategies for library makerspace.

창의학습공간(L-Commons) 모델을 적용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Makerspace in Public Library Based on L-Commons Model)

  • 오영옥;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3-315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조성의 방향을 위하여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연구 및 국내 25개 공공도서관과 미국 18개 공공도서관에 설치된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용산도서관과 마포평생학습관에 설치된 창의학습공간(L-Commons)의 이용현황, 공간과 자원 인식, 메이커스페이스 적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사서 심층인터뷰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은 첫째, 지역사회 구성원 누구나 쉽게 진입할 수 있고 지역 내 모든 계층 간의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개방공간이어야 하며 둘째, 지역주민들이 어울려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작활동을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자원공유와 협력이 가능한 학습 협력 창의공간이어야 하고 셋째, 공통의 관심을 가진 지역주민들이 사교적 또는 협동적으로 만나 공공장소에서 아이디어 공유와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다른 곳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아이디어를 물리적인 것으로 전환하거나 흥미로운 것에 대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창작작업공간이 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 김수정;이종욱;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운영 경험을 조사하여 주요 업무, 필요 역량, 교육 경험 및 요구, 향후 계획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11명의 사서 및 직원과 1명의 관장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서와 담당자들은 국가공모사업이나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총괄, 관리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술 리터러시, 주제 지식,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능력, 배우려는 자세와 호기심,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더십, 디자인 사고 등을 필요 역량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 확장, 장비 구입, 프로그램 개발 등의 향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교육 요구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 미국 내에 주요 메이커 스페이스(Techshop, Fab-lab, Autodesk Pier9)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ker Space Planning for Innovative Entrepreneurship in Urban Area - Focused on major makers spaces in the US (Techshop, Fablab, Autodesk Pier 9) -)

  • 정다래;채얼;권순민;김도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23-31
    • /
    • 2019
  • The purpose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reation of a manufacturing space that can promote the recovery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e city and the start-up activities of creative workers and manufacturers. To do this, we compared the cases of US and domestic maker spa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a plan of location and spa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equipment construction. Third, various programs for education, collaboration and exchange should be provided. It is thought that the maker space plan and construction direction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be used for the formation of domestic makerspace in the future.

PBL과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가정과 예비교사를 위한 의류학 실습 수업 개발 (Developing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futur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rinciples of PBL and maker education)

  • 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1호
    • /
    • pp.134-151
    • /
    • 2021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applying principle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maker education to equip future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nurture creativity among adolescents. The studio course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 concluded that the resulting course met the following objectives extrac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subjects: to promote creativ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ashion design and styling abilities, gain the ability to use makerspace tools, understand flat pattern making and sewing processes,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aesthetic sense,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BL and maker education were confirmed through student comments on the course. Students mentioned the practicality of the material in their actual lives along with their enhanced integration of the subject material, self-directedness, aesthetic sense, ability to learn through trial and err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nd sharing. Based on results from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modules: introduction of terms and tools, submission and sharing of clothing reformation and upcycling techniques, introduction to hand sewing, pouch making, heat-transfer printing, 3D printing, mask making, hat making, vest making, and the final team project on fashion styling.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on selecting personas for styling, looking for available materials, and selecting materials online.

3D 프린팅 활용 교육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about the Activity Framework for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Implementation)

  • 소효정;이지향;계보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1-462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에서 도입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신기술인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3D 프린팅 활용을 위한 학습활동 프레임워크 제안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팅 활용 학습활동 프레임워크'는 '문제 해결과정의 복잡성'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두 축으로 하여, 1단계는 재현을 통한 제작, 2단계는 상상 표현의 수단, 3단계는 근접한 문제 해결, 4단계는 확장된 문제 해결의 네 단계로 활동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사례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3D 프린팅 활동을 접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단계 재현을 통한 제작'에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의 형태와 부피를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보였으며 학습경험의 질 및 만족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프린터 및 CAD 프로그램의 사용성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D 프린팅 활동 설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단순 흥미를 넘어서 교과연계성을 가지는 3D 프린팅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사례 분석 - 대구 S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Library: A Case Study of Daegu S High School)

  • 강봉숙;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7-1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실험적 운영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길잡이를 제공하고 관련 활동을 확산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대구 S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실험적으로 이루어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사례를 설명하고 그 의의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이용자가 가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다. 추가로 메이커 교육 경험 여부와 학년별 변인 등에 따라 메이커 교육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 프로그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과 메이커 교육 모두에서 긍정적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역량 함양 효능감 인식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확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학교 교육 활용을 위한 메이커 교육 구성 요소 탐색 (Exploring the Ways to Use Maker Education in School)

  • 권유진;이영태;임윤진;박영수;이은경;박성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9-30
    • /
    • 2020
  • 메이커 교육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모인 메이커들이 서로의 활동과 경험을 공유한 메이커 운동에 기초하여 시작되었으며, 메이커 교육에서 추구되는 교육적 가치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에 사용할 메이커 교육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메이커 교육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메이커 교육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 심층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진술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들을 통해 검토 받았다. 이러한 진술문을 토대로 메이커 교육 활용을 위한 구성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과 수업 및 창의적 체험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 틀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메이커 교육에서 메이커들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하고, 다른 사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며, 학습, 땜질, 디자인 사고, 메이커 활동, 공유 및 협력, 성찰 등의 자기 방향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은 특정 활동을 필요에 따라 학생의 선택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 학습을 강조한다. 활동의 결과물보다는 학습자의 행동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실패를 용인하며 재도전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향후 각 교과(커리큘럼 전문가, 교직 / 학습 전문가, 초 중학교 교사, 부모, 지역 교육자 등) 및 학교 활동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메이커 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연구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