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block Technique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2초

Bi-CGSTAB 해법에 의한 복합격자망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Block Technique by Bi-CGSTAB Solver)

  • 배진효;이재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8호
    • /
    • pp.2611-2625
    • /
    • 1996
  • A numerical method on multi-block technique by Bi-CGSTAB(Bi-Conjugate Gradient STABilized) solver has been proposed. The present multi-block technique can reduce the numerical manipulation greatly because the common regions at the interface of each block are not necessary. In order to test the computational performance of present multi-block techniqu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a T type duct system and a N type duct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by three kinds of methods such as the single-block method, the previous multi-block technique and the multi-block technique with Bi-CGSTAB sol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quired CPU time by present multi block technique was shorter than that of other two numerical methods and the convergency history was shown very stable at the present multi-block technique.

Delaunay 삼각화 기법을 활용한 다중-블록 정렬 격자의 자동 생성 기법 (Automatic Multi-Block Grid Generation Technique Based on Delaunay Triangulation)

  • 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08-114
    • /
    • 1999
  • In this paper. a new automatic multi=block grid generation technique for general 2D region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is simple and robust method, the domain of interest is first triangulated by using Delaunay triangulation of boundary points, and then geometric information of those triangles is used to obtain block topology. Once block boundaries are obtained. structured grid for each block is generated such that grid lines have $C^0-continuity$ across inter-block boundaries. In the final step of the present method, an elliptic grid generation method is applied to smoothen grid distribution for each block and also to re-locale the inter-block boundaries, and eventually to achieve a globally smooth multi-block structured grid system with $C^1-continuity$.

  • PDF

다중블록/다중영역분할 기법을 이용한 유동해석 코드 병렬화 (Parallelization of Multi-Block Flow Solver with Multi-Block/Multi-Partitioning Method)

  • 주완돈;이보성;이동호;홍승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9-1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중블록 격자를 병렬화 하기 위해서 다중블록/다중영역분할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각 블록을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세서의 개수만큼 나눔으로써 전체 프로세서에 대해서 균일한 로드 밸런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역분할 기법에 따른 병렬화 효율 및 속도 향상률을 비교하기 위해서 다중블록/단일 영역분할 기법과 다중블록/다중 영역분할 기법을 서로 비교 하였으며, 블록간의 격자수가 크게 다른 경우 다중영역 분할 기법이 로드 밸런싱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CFDS에 적용함으로써 다중블록 다중영역분할 기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3차원 계산의 경우 프로세서 16개를 사용하는 경우 약 12배의 속도 향상률을 보였으며, 다중블록을 병렬화 하는데 있어서 다중블록/다중영역 분할 기법이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

블록 역행렬 기법에 의한 다중입출력 양변위 되먹임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based on Block-Inverse Technique)

  • 곽문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08-514
    • /
    • 2005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a grid structure equipped with piezoceramic sensors and actuators. The grid structure is a replica of the solar panel commonly mounted on satellites, which contains complex natural mode shapes. The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is considered as an active vibration controller for the grid structure. A new concept, the block-inverse technique, is proposed to cope with more modes than the number of actuators and sensors.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stability and the spillover effect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based on the block inverse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theori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capable of predicting the control system characteristics and its performance. The new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was applied to the test structure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its efficacy was verified by experiments..

  • PDF

블록 역행렬 기법에 의한 다중입출력 양변위 되먹임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Based on Block-inverse Technique)

  • 곽문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1037-1044
    • /
    • 2005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ctive vibration control of a grid structure equipped with piezoceramic sensors and actuators. The grid structure is a replica of the solar panel commonly mounted on satellites, which contains complex natural mode shapes. The multi-input and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is considered as an active vibration controller for the grid structure. A new concept, the block-inverse technique, is proposed to cope with more modes than the number of actuators and sensors.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stability and the spillover effect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based on the block-inverse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theori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capable of predicting the control system characteristics and its performance. The new multi-input multi-output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ler was applied to the test structure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its efficacy was verified by experiments.

다중해상도를 이용한 새로운 3단계 블록정합 알고리즘 (A NTSS of 3 Levels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Multi-Resolution)

  • 주헌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633-6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기존 NTSS 알고리즘을 다중해상도(MR : Multiple Resolution)기법을 이용하여 NTSS-3 레벨 알고리즘으로 제안하였다. 고속 블록정합 알고리즘은 패턴 방식에 따라 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본 논문에서는 기존 NTSS의 패턴 방식과 다른 다중해상도 기법을 이용한 레벨에 따른 블록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블록 정합알고리즘에서 국부최소화 문제(Local minima problem)로 발생하는 화질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MC(Multiple Candidate)라는 다중후보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을 FS와 비교하면 16배의 탐색 속도론 나타내었고 기존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인 NTSS 방식에 비교 할 때 PSNR값에 있어서는 0.11-0.12(dB) 화질이 개선되었으며 속도 면에서도 0.1배 향상되었고 탐색점 대비 화질개선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Multi-Block SDM을 이용한 OFDM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FDM System Using Multi-Block SDM)

  • 이규진;김지성;김남일;이계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2-130
    • /
    • 2008
  • 최근 무선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음성 서비스 이외의 동영상,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보다 큰 전송률을 요구하는 다양한 서비스 요구가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고속 전송률 서비스를 낮은 가격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한된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물리계층 기술이 필요하게 되어 직교 주파수 다중 방식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다수의 송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다. MIMO 기술 중 Spatial Multiplexing은 전송용량 이득은 가질 수 있지만, 다수의 안테나로 인한 상관으로 인해 Diversity gain을 얻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전송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고속의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 내에서, MIMO-OFDM 시스템인 SDM방식에서 Diversity gain을 얻고자 제안된 Multi-Block을 이용한 SDM의 성능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PDF

MIMO-STBC를 위한 송수신 고유빔 형성기를 이용한 블록순 계층적 검파기 (Block-Ordered Layered Detector for MIMO-STBC Combined with Transmit and Receive Eigen-Beamformers)

  • 이원철;김홍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0호
    • /
    • pp.17-2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을 위한 JBSTBC (Joint Beamforming Space-Time Block Code)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제안된 기법은 부스트림간 간섭등의 열악한 페이딩 상관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이기 위해 블록순 계층적 검파기(block-ordered layered detector)와 함께 송수신 고유빔 형성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JBSTBC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경우의 채널 환경에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을 분명히 하기 위해 자세한 수식적인 유도를 수행하였다.

PB/MC-CDMA 시스템에서 여분의 코드집합을 이용한 PAPR 감쇄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APR Reduction Method using Selection of Extra Code Set in PB/MC-CDMA System)

  • 이규진;이동준;이계산;김진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0-118
    • /
    • 2009
  • PB/MC-CDMA(Partial Block 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 시스템은 사용자간의 코드 간 간섭을 줄임으로써 성능을 향상 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심볼 간 간섭을 피하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MC-CDMA(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중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PAPR 문제가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PB/MC-CDMA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여분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확산코드를 선택함으로써, 피크전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PB/MC-CDMA 시스템은 각 블록 단위로 확산 코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여분의 코드가 남게 된다. 이러한 여분의 코드를 여러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계산하고, 피크전력이 최소가 되는 코드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PAP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A PARALLEL PRECONDITIONER FOR GENERALIZED EIGENVALUE PROBLEMS BY CG-TYPE METHOD

  • MA, SANGBACK;JANG, HO-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5권2호
    • /
    • pp.63-69
    • /
    • 2001
  • In this study, we shall be concerned with computing in parallel a few of the smallest eigenvalues and their corresponding eigenvectors of the eigenvalue problem, $Ax={\lambda}Bx$, where A is symmetric, and B is symmetric positive definite. Both A and B are large and sparse. Recently iterative algorithms based on the optimization of the Rayleigh quotient have been developed, and CG scheme for the optimization of the Rayleigh quotient has been proven a very attractive and promising technique for large sparse eigenproblems for small extreme eigenvalues. As in the case of a system of linear equations,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CG scheme to eigenproblems depends also upon the preconditioning techniques. A proper choice of the preconditioner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nvergence of the CG scheme. The idea underlying the present work is a parallel computation of the Multi-Color Block SSOR preconditioning for the CG optimization of the Rayleigh quotient together with deflation techniques. Multi-Coloring is a simple technique to obatin the parallelism of order n, where n is the dimension of the matrix. Block SSOR is a symmetric preconditioner which is expected to minimize th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due to the blocking. We implemented the results on the CRAY-T3E with 128 nodes. The MPI(Message Passing Interface) library was adopted for th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The test problems were drawn from the discretizations of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by finite difference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