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tella xylostella L.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8초

초음파 처리 식물체의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한 섭식 저해활성 및 카틴합성 저해활성 (Antifeeding Activity and Chit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of the Ultrasonic Treatment on Plant Extract against Plutella xylostella(Lepldoptera : Yponomeutidae))

  • 방혜선;이완주;황석조;구태원;김선여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8-252
    • /
    • 1999
  • Effects of the ultrasonic treatment on plant represents antifeeding activity and chit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by a leaf-dipping method at a concentration of 5,000ppm. Methanol extracts of leaves of the ultrasonic treatment on plant was sequentially partition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ly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and bioassayed. Antifeed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n-hexane, chloroform and ethlyacetate fractions. N-hexane fraction has 94.6% of strongest antifeeding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From the n-hexane sequentially partitioned showed H6 and H8 fractions of antifeeding activities against P. xylostella. And chit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was obtained the methaol, n-hexane and water fractions.

  • PDF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 조준모;김경주;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2-(n-Octyl)pseudothiourea Analogue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 Soung, Min-Gyu;Kil, Mun-Jae;Sung, Nack-D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2749-2753
    • /
    • 2009
  •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pI_{50}$) of 2-(n-octyl)isothiourea analogues (1-45)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based on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3D-QSARs) were discussed quantitatively using a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and a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eces analysis (CoMSIA) methods. The statistical values of the CoMFA 2 model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SIA 1 model. The CoMFA 2 model was the optimized model with the correlativity (the training set: Ave. = 0.104 & PRESS = 0.613) and the predictability (the test set: Ave. = 0.086 & PRESS = 0.096). Insecticidal activities with the optimized CoMFA 2 model were dependent upon steric factors (79.4%) of $R_1-R_3$ substituent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of CoMFA contour maps, it is predicted that the R1 substituent of 1-45 which has a steric favor in a broad space, $R_2\;and\;R_3$ groups with a steric favor in a narrow space and a H-bond donor favor would have better the insecticidal activity.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Vegetable Plant)

  •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강종운;박유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3
  •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 추출물 $1500mg{\cdot}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 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 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 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 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 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 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 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 69.3%를 나타냈다.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BT-14 having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lutella xylostella

  • Bok, Song-Hae-Jung, Yong-Chul;Kim, Sung-Uk;Son, Kwang-Hee;Lee, Hyung-Ho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22-326
    • /
    • 1994
  •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BT-14 was isolated from alfalfa dust in Korea. The strain BT-14 produced one bipyramidal crystal and one spore in the cell.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BT-14 were similar to those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l. Examination of its antibiotic resistance revealed that while the strain BT-14 was less resistant than BTK HD-l to ampicillin, gentamycin, neomycin and tobramycin, it was more resistant to amikacin than BTK HD-l. The $\delta$-endotoxin crystal of strain BT-14 consisted of a single protein with a high molecular weight of ca 135 KD on a 10% SDS-PACE. The strain BT-14 contained at least nine different plasmids with sizes of 2.9, 5.3, 5.8, 6.2, 9.4, 15.1, 18.1, 23.1 and 79 Kb. In insect bioassay, the isolated strain BT-14 showed lethality of 67%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arvae at dilution of 5$\times$$l0^{-4}$ (5$\times$l0 to 3$\times$$l0^2$ spores/ml), which is,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BTK HD-l.

  • PDF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저항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to chlorpyrifos in diamondback moth(Plutella xylostella L.) collected from Chinese cabbage alpine farmland at Gangwon-do, Korea)

  • 조준모;김경주;김성수;박홍열;임춘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0-55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에서 채집한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계통의 배추좀나방에서 추출한 무독화 효소 esterases와 glutathione-S-tranferase(GST)의 활성과 단백질의 sequestration 비율 및 acetylcholinesterase(AChE) insensitivity를 측정하여 저항성 발달기작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Esterases의 경우 저항성과 감수성 배추좀나방간의 활성 차이는 없었으나, 전기영동상에서는 특정 isozyme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GST 활성은 포장저항성 계통이 감수성 계통보다 약 1.5배 높았다. 두 계통 간 단백질의 sequestration 차이는 없었으며, chlorpyrifos에 대한 AChE의 sensitivity는 포장저항성 계통의 AChE가 감수성계통보다 약 46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에서 저항성을 유도하여 파악한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특성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발달은 AChE의 insensitivity가 주요 요인이며, 부가적으로 GST의 활성 변화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루미늄호일 이용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 살란활성 검정법 개발 및 살란활성 식물추출물의 선발 (Development of a Bioassay Method Using Aluminium Foil Sheet for Screening Ovicidal Activity Against Diamondback Moth Egg, Plutella xylostella L. and Selection of Plant Extracts with High Ovicidal Activity)

  • 권민;김주일;이승환;임매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200
    • /
    • 2011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은 세계적으로 배추과 작물의 가장 문제 해충이다. 지금까지 배추좀나방 방제는 유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더욱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 알의 부화를 억제하거나 살란활성을 가진 새로운 살충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알루미늄 호일을 활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살란활성을 효율적으로 생물검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알루미늄호일($4{\times}12$ cm, 산란호일)에 배추잎 즙액을 도포하여 아크릴원통에 넣고 갓 우화한 성충 300마리를 24시간 접종한 결과 알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4일간 연속으로 채란 가능하였다. 살란활성 검정은 난괴 크기별로 산란호일을 6~12조각으로 나눈 농도별로 준비된 메탄올 용액에 2~10초간 핀셋으로 침지한 후 음건(15~30분)하여 소형사육통에 넣어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산란호일은 50% 메탄올에 10초간 침지하여도 활성검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소형 사육통의 뚜껑을 개폐하면 활성물질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식물체 50종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배추좀나방 살란활성을 검정한 결과, 고본(Angelica tenuissima) 뿌리, 원지(Polygala tenuifolia) 뿌리, 지골피(Lycium chinense) 뿌리, 천궁(Cnidium officinale) 뿌리 등은 90% 이상의 높은 살란활성을 나타내었다.

후추 열매 유래 화합물들의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 활성 (Larvicidal Activity of Constituents Identified in Piper nigrum L. Fruit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9-152
    • /
    • 2012
  •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후추 열매 메탄올 추출물 및 분리된 화합물들의 배추좀나방(Plutellaxylostella) 유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후추 열매 메탄올 추출물은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5.0과 2.5 mg/mL 농도에서 각각 100%와 97%의 살충 활성을 보였다. 후추 열매에서 유래된 화합물들의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guineensine ($LC_{50}$=0.013 mg/mL)의 살충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retrofractamide A (0.020 mg/mL), pipercide (0.033 mg/mL) 그리고 pellitorine (0.046 mg/mL) 순이었다. Piperine의 반수치사농도는 0.5 mg/mL 이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