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dentition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1초

OCCUSION OF THE PRIMARY DENTITION IN KOREAN

  • 손동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8권1호통권130호
    • /
    • pp.59-64
    • /
    • 1980
  • In modern orthodontics, the most emphasized problems are, as Bjork said in his literature, how to control entirely the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eeth: how to diminish the damages of orthodontic treament to the teeth. As a solution of these problems Bjork introduced the method of early orthodontic diagnosis. The study of occlusion of primary dentition has two main purposes: 1. To observe the change of occlusion as age increases. 2. To predict the change of occlusion to make early diagnosis possible. From early nineteeth century, Bogue (1908) started the study of occlusion of primary dentition, followed by Bonnar (1956-1960), Kisling (1973-1976), Ravn 1975), Foster (1969), Moyer (1969), etc. These studies have been used in the diagnosis of preventive orthodontics. In Korea, the study of occlusion of primary dentition was started in 1977. The second study was reported in 1978. Through the third report in 1979, author will introduce sagittal relation in the canine and incisor regions of Korean children.

  • PDF

유치열의 이중치 및 결손치의 발생빈도와 영구치열과의 상호관계 (THE PREVALENCE OF DOUBLE TEETH AND CONGENITAL MISSING TEETH IN PRIMARY DENTITION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PERMANENT DENTITION)

  • 양규호;임혜정;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47-453
    • /
    • 2007
  • 본 연구는 유치열에서 치아기형 발생빈도와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치아기형의 조기진단의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2000년도에서 200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2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이를 조사하여 유치열에서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그러한 유치열의 이상과 영구치열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134명의 남아와 120명의 여아로 총 254명의 파노라마 필름을 조사하였으며 이중 8명(5명의 남아, 3명의 여아)에서 유치열에서의 결손치가 발견되었고 4명(2명의 남아, 2명의 여아)에서 유치열에서의 이중치가 발견되었다. 유치열에서 이중치의 유병율은 1.6%였으며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은 3.1%였다. 피검자 중1명은 하악의 이중치와 상악의 결손치를 가지고 있었다. 유치열의 이상이 나타난 11명 중 7명에서 계승 영구치의 결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치열의 치아기형이 나타난 경우 계승 영구치에서 치아결손이 빈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치아별 우식경험도로 본 유치열의 우식패턴에 관한 연구 (CARIES PATTERNS IN PRIMARY DENTITION BY CARIES EXPERIENCE OF INDIVIDUAL TEETH)

  • 이종선;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3
    • /
    • 1999
  • To study the caries patterns in primary dentition, 719 preschool children, 4-6 years old, were examined for their caries activity(salivary reductase activity) and caries experience of individual teeth. Teeth groups were made by cluster analysis using dft indexes of individual teeth as criteria. The six major teeth groups in the order of dft index from high to low were (1) lower primary molars, (2) upper primary molars, (3) upper central incisor, (4) upper lateral incisor, (5) canines, and (6) lower incis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ft index between teeth groups except upper lateral incisor and canines. Upper and lower primary molar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dft index, and the next couples were upper central incisors and upper lateral incisors, upper lateral incisor and canines, upper central incisor and canines, upper lateral incisor and upper primary molars, and canines and upper primary molars in descending order. Upper first primary molar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s in dft index between caries activity levels.

  • PDF

한국인아동의 유합유치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F THE FUSED TEETH IN THE PRIMARY DENTITION IN KOREAN CHILDREN)

  • 이지화;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3-129
    • /
    • 198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prevalence d the fused teeth in the primary dentition and their successors. The clinical and panoramic radiographic examination was undertaken of 5226 children (male 2812, female 2414) attended department of Ped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 Sei University, Seoul,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the fused teeth in the primary dentition was 1.03 percent and female (1.2%) affected more frequently than male (0.89%). 2. Compare with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prevalence of the fused teeth were higher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3. The fusion of the primary teeth were occured between central with lateral incisor in the maxilla, and central with lateral and lateral with canine in the mandible. 4. There were 33 cases (61%) of succeding teeth missing among 54 case of the rused teeth.

  • PDF

레이저 형광 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 진단 능력 비교 (Comparison of Diagnostic Validity between Laser Fluorescence Devices in Proximal Caries)

  • 이창근;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26-43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형태의 레이저 형광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DD, DDpen)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진단 하는 능력을 비교하고, 두 기기의 최적의 절단값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164개의 유구치 인접면과 438개의 영구치 구치부 인접면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각 치면은 순서대로 두 가지 기기를 통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두 기기를 비교할 기준으로서 교익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사진 촬영 결과는 우식의 깊이에 따라 유치열 3개의 군($pR_0$, $pR_1$, $pR_2$), 영구치열 4개의 군($PR_0$, $PR_1$, $PR_2$, $PR_3$)으로 분류하였다. 유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851과 0.890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83과 0.917로 나타났다. 영구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762과 0.886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28과 0.958로 나타났다.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검사하는 데에는 DDpen이 DD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유치열에 대해서는 DD도 인접면 우식 검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기 아동에서 가철식 교정장치와 MEAW를 이용한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MALOCCLUSION USING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AW IN GROWING CHILDREN)

  • 양규호;최은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37-649
    • /
    • 1997
  • Early orthodontic treatment in growing children requires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used in the primary dentition and mixed dentition. The purposes of use of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in prmary dentition or mixed dentition are the interception of skeletal or dental malocclusion, guiding the normal dentition, and retention after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use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in children with malocclusion. This report presents cases of growing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I and III malocclusion treated with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during mixed dentition and Multiloop Edgewise Arch Wire(MEAW) during permanent denti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ca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guide normal dentition and skeletal growth in growing children. 2.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cepting malocclusion in mixed dentition before use of fixed orthodontic appliance. 3. MEAW can be applied to finishing stage of all cases and is effective in correction of occlusal plane, achievement of interdigitation, and control of dental inclination. 4. It is needed that removable appliances are used during mixed dentition through correct diagnosis and fixed appliance are used in permanent dentition.

  • PDF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AND VOLUME OF THE PALATE)

  • 백병주;김미라;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7-40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유치열기 아동, 영구치열기의 구개의 폭, 길이, 구개의 용적, 구개 용적과 구개면적의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남녀간의 차이, 유치열과 영구치열과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구개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남자 43명, 여자 43명), 총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한 상악의 석고모형을 이용하였다. 3차원 laser scanner(DS4060, LDI, U.S.A.), cloud data를 이용하여, polygonization, section curve와 loft surface, 표준평면, 수직평면 등을 얻은 후에 구개용적, 구개의 폭, 구개의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Surfacer 10.0, Imageware, U.S.A). 상수의 결정을 위해 유치열, 영구치열을 남녀별로 구분하여 결과를 구하였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표준평면과 각 치아, 치아 및 구개사이의 측정점들간의 거리는 영구치열에서 더 멀었다. 2. 영구치열에서의 구개용적이 유치열에서 보다 3배이상 컸으며 특히 영구치열에서는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측정되었다(p<0.05). 3. 구개폭은 유치열과 영구치열에서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지만 구개길이는 영구치열에서만 유의성 있게 컸다(p<0.05). 4.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후구개폭과 총구개길이가 이루는 면적 이 구개용적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0.401, r=0.450, r=0.678, r=0.654).

  • PDF

광주지역 유치열기 아동의 교합양상에 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THE OCCLUSAL VARIATIONS FOR CHILDREN WITH DECIDUOUS DENTITION IN KWANGJU CITY)

  • 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46-953
    • /
    • 1996
  • The occlusal patterns and profiles of the primary dentition were studied by oral examination from 3 to 6 year-old children (200 boys, 200 girls) in Kwangju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agittal primary canine relationship, Class 1 pattern (74.75 %) was prevalent. 2. In sagittal primary molar relationship, Class 1 pattern (56 %) was prevalent. 3. In profile view, straight profile (77%) was prevalent. 4. In comparison of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canine relationship, primary molar relationship and profile, Class 1 pattern-Class 1 pattern-Straight profile (43.14 %) was prevalent.

  • PDF

제 1대구치와 제 2유구치의 교합면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OCCLUSAL FEATURES OF FIRST PERMANENT MOLAR AND SECOND PRIMARY MOLAR)

  • 전소희;김재곤;양연미;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05
  • 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합면 형태를 분석하고자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 (남자 43명, 여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의 상, 하악 석고모형의 3차원 형상 data로부터 각 교두정간 거리, 교두정을 최소한의 오차로 지나는 평면과 교합면사이의 체적, 평면에서 교두정간 까지의 방향별 Section curve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형성된 표준평면과 각 교두정과의 거리에 관한 오차는 하악 제2유구치에서 남자 0.05-0.09mm, 여자 0.04-0.09mm로서 제일 작았다. 2. 각 교두정간의 거리는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 에서 남자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제2 유구치에서는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 3. 남녀 모두에서 사주 교두거리를 제외하고, 상악 제2유구치는 원심 협측교두와 설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2유구치는 원심교두와 원심 설측교두 사이가, 상악 제1대구치는 근심 설측교두와 협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1대구치는 원심 설측교두와 근심 설측교두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4.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교합면 체적은 하악에서 크게 나타났고, 영구치가 1.40-1.75배 값을 보였으며(p<0.05), 남녀간에는 남자가 큰 값을 보이긴 하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대부분의 경우 유치열에서 보다 영구치열에서 section curve가 넓고 깊었으며 교두사이의 사선거리를 제외하고 상악의 경우 근심 협측과 설측교두 사이에서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으며 하악에서는 영구치열은 원심 협측과 원심교두사이 유치열은 원심 설측과 원심교두 사이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다.

  • PDF

소아치열기의 저작능률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진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1-244
    • /
    • 1974
  • The author measured the masticatory efficiency in the 50 children with normal sound dentition, in the 20 children with amalgam filling and in the 20 children with fixed type space maintainer i.e. in the 90 children in total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asticatory efficiency were 53.8% in children with normal sound primary dentition. 2. The masticatory efficiency 48.3% in children with amalgam filling and 40.0% in children with fixed type space maintainer 3. The masticatory efficiency of children were 60.0% of adult's in normal dent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