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ephy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대나무 Zephyr의 제조 조건에 따른 보드의 물성비교 (Effect of Zephyr Producing Method on Properties of Bamboo Zephyr Boards)

  • 김유정;노정관;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4-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합판 대체용도로서 고성능을 보유하는 대나무 Zephyr 보드의 제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Zephyr의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Zephyr를 제조한 후 각각의 Zephyr로 제조된 보드의 물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보드는 KS F 3014와 KS F 3113에 준하여 성능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롤러간극을 각각 1 mm, 1.5 mm, 2 mm로 달리하여 제조된 Zephyr 보드 중에서는 1.5 mm에서 제조된 Zephyr 보드가 휨성능(MOR, MOE)과 박리강도(IB)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2시간 자비한 후 1시간 상온수에 침지한 다음에 측정된 보드의 습윤시 휨성능(MOR, MOE) 역시 최종 롤러간극 1.5 mm에서 제조된 Zephyr 보드에서 가장 높은 잔존강도를 보유하고 있어 상태시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24시간 상온수에 침지한 후의 두께팽창율 시험에서 모든 보드가 KS A 3014의 기준인 12%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그중 롤러간극 1.5 mm Zephyr로 제조된 보드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치수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에 따른 대나무 Zephyr 보드의 강도 성능은 무처리 생재상태로 제조된 보드가 다른 전처리(증해, 0.3%NaOH자비)를 한 Zephyr 보드보다 높은 강도를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처리 생재상태에서 최종롤러 간극 1.5 mm로 제조된 Zephyr sheet가 최적의 보드 제조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Manufacture of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 I. Properties of Bamboo Zephyr and Composite Board Made from Moso, Giant Timber and Hachiku Bamboo -

  • Roh, Jeang Kwan;Kim, Jae Kyung;Kim, Sa Ick;Ra, Jong Bum;Kim, Yu Jung;Park, Sa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42-51
    • /
    • 2004
  •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WBCB) was manufactur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bamboo as alternative raw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composite panels. Bamboo zephyr was prepared using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ens Mazel. et Z), Giant timber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and Hachiku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sos Stapf). The effect of age and species of bamboo on zephyr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pass number of bamboo split through the rollers, and the width increasing rate of bamboo split. Five-ply WBCBs were produced with Keruing veneers as face and back layers, leading to three layers of bamboo zephyr sheets as core layer. Each layer was placed so that its grain direction was at right angles to that of the adjacent layer and the layers were bonded together with phenol-formaldehyde (PF) resin.The pass number of bamboo split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thickness of culm wall. At the same thickness, Moso bamboo showed no effect of the age of bamboo on the pass number. The pass number of split of Giant timber bamboo was lower than that of Moso bamboo. No significant effect of bamboo species and age on the width of zephyr produced was observed. The width of zephyr obtained could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diameter multiplied by thickness of culm wall.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BCB manufactured in all given condi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y were above the requirement of Korean Standard (KS).

Zephyr 커널에서 고정 시간 동기식 IPC 구현 (Fixed Time Synchronous IPC in Zephyr Kernel)

  • 정주영;김은영;신동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05-212
    • /
    • 2017
  • Linux Foundation has announced a real-time kernel, called Zephyr, for IoT applications recently. Zephyr kernel provide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PC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reads. Synchronous IPC is useful for programming multi-threads that need to be executed synchronously, since the sender thread is blocked until the data is delivered to the receiver thread and the completion of data transfer can be known to two threads. In general, 'IPC execution time' is defined as the time duration between the sender thread sends data and the receiver thread receives the data sent.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IPC execution time' in the synchronous IPC should be fixed in real-time kernel like Zephyr. However, we have found that the execution time of the synchronous IPC in Zephyr kernel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reads executing in the kern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lement a fixed time synchronous IPC in Zephyr kernel using Direct Thread Switching(DTS) technique. Using the technique, the receiver thread executes directly after the sender thread sends a data during the remaining time slice of the sender thread and we can archive a fixed IPC execution time even when the number of threads executing in the kernel increases.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synchronous IPC using DTS in the Zephyr kernel and found the IPC execution time of the IPC is always 389 cycle that is relatively small and fixed.

Zephyr 커널에서 커널 공간과 사용자 공간의 분리 구현 (Separation of Kernel Space and User Space in Zephyr Kernel)

  • 김은영;신동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7-194
    • /
    • 2018
  • The operating system for IoT should have a small memory footprint and provide low power state, real-time, multitasking, various network protocols, and security. Although the Zephyr kernel, an operating system for IoT, released by the Linux Foundation in February 2016, has these features but errors generated by the user code can generate fatal problems in the system because the Zephyr kernel adopts a single-space method that both the user code and kernel code execute in the same spac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space separation method, which separates kernel space and user space, to solve this problem. The space separation that we propose consists of three modifications in Zephyr kernel. The first is the code separation that kernel code and user code execute in each space while using different stacks. The second is the kernel space protection that generates an exception by using the MPU (Memory Protection Unit) when the user code accesses the kernel space. The third is the SVC based system call that executes the system call using the SVC instruction that generates the exception.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ed the space separation in Zephyr v1.8.0 and evaluated safety through abnormal execution of the user code. As the result, the kernel was not crashed by the errors generated by the user code and was normally executed.

국산 솜대와 인도폐시아산 TALI를 이용한 대나무 Zephyr의 형태적 특성 비교 (A Morphological Comparison of Bamboo Zephyr Produced from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and Indonesian Gigantochloa apus)

  • 김유정;정기호;박상진;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84-90
    • /
    • 2001
  • 본 연구는 국산 솜대와 인도네시아산 TALI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Zephyr의 기본조직특성을 SEM관찰 및 화상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EM관찰의 결과, 국산 솜대 Zephyr 의 형태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이 두껍고 세포내강이 거의 없으며 조직이 치밀하였다. 세포간층의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유관속초간의 집단적인 할렬이 두드러졌고 할렬형태가 균일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인도네시아산 TALI Zephyr의 형태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이 얇고 세포내강이 크며 세포간극이 많아 세포간층의 분리가 쉬웠으며 가늘고 균일하게 할렬되었다. 화상분석법으로 두 죽종의 횡단면상의 유관속초용과 이들을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율을 조사한 결과, 국산 솜대의 유관속초율은 인도네시아산 TALI보다 낮았지만, 후벽섬유 세포벽률은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국산 솜대와 인도네시아산 TALI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양과 분포양식의 차이에 의해 제조된 Zephyr의 형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목재 단판-대나무 제퍼 복합보드 제조: II. 복합보드의 성능에 미치는 제조조건의 영향 (Manufacture of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II. Effec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8-117
    • /
    • 2007
  • 생장 기간이 매우 빠르고 섬유방향의 강도적 성질이 우수한 대나무를 합판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케루잉단판-솜대 zephyr 복합 패널(WBCB)의 제조 조건(수지접착제의 종류, 도포량, 도포방법)이 패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지의 종류에 따른 5-ply WBCB의 성능은 폴리메릭 이소시아네이트수지(PMDI)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어 페놀수지(PF), 페놀 멜라민수지, 요소 멜라민수지 및 요소수지의 순이었다. 사용한 수지 중 강도적 측면과 작업성을 고려할 때 PF 수지에 의한 복합 패널 제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PF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12 mm 두께의 5-ply WBCB의 경우, 수지의 도포량이 증가하면 패널의 성능도 향상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박리강도 측정 후의 파괴양상은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나무 외층-대나무 내층 경계층의 파괴가 증가한 데 반하여 대나무 제퍼 내부층의 파괴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WBCB 제조시 수지가 다소 zephyr 내부까지 침투할 정도의 수지 도포량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며, 표면 단판의 오염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320g/m^2$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PF수지 도포량에서 수지의 도포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5-ply 복합 패널의 성능은 양면과 편면 스프레이 도포 간과 스프레이와 롤러에 의한 도포방법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어진 환경에서 작업성이 좋은 도포방법을 채택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CP/IP Using Minimal Resources in IoT Systems

  • Lee, Seung-Chul;Shin, Do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25-1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Internet of Things(IoT) 시스템에서 최소의 메모리 및 프로세서 자원을 사용하는 4계층의 TCP/IP에 관하여 연구하고 설계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TCP/I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메모리 할당량을 최소화하여 메모리 자원을 최소로 사용한다. 둘째, 메모리 복사량을 최소화하여 프로세서 자원을 최소로 사용한다. 셋째, TCP/IP의 수행 시간이 고정 시간에 완료될 수 있다. 넷째, 메모리 누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메모리 할당량 및 복사량에 대한 최소 자원 기준은 기 구현된 IoT 시스템의 통신 서브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구현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리눅스 재단에서 발표한 공개 소스 커널인 Zephyr의 통신 서브시스템의 메모리 할당량 및 복사량을 측정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소 자원 기준보다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방법에 따라 Zephyr 통신 서브시스템을 개선하여 메모리 할당량 및 복사량이 각각 약 39% 및 67%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행 시간도 약 28% 감소하였다.

인터넷정보자원을 활용한 부가가치정보서비스 (The Value-Added Information Services Using Internet Resources)

  • 김석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29권1호
    • /
    • pp.40-53
    • /
    • 1998
  • 인터넷은 도서관정보서비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인터넷의 개요과 인터넷정보자원을 활용하여 부가가치정보서비스를 개발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전자메일을 통한 신착 정보서비스의 사례로서 미국워싱턴대학의 Zephyr, 독일 베링거맨하임사의 BM-SwetScan, 한국과학기술원의 Jcontents를, 웹기반 통합시스템으로서 미국의 HarperSource, Ei Village, IPL, 그리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ETLARS를 소개하였다. 인터넷정보자원을 탐색하여 평가하고 조직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큰 과제이다.

  • PDF

사용할 변수의 예측에 사용되는 반복적 알고리즘의 계산순서 재정렬을 통한 수행 속도 개선 (Improvement of Iterative Algorithm for Live Variable Analysis based on Computation Reordering)

  • 윤정한;한태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8호
    • /
    • pp.795-807
    • /
    • 2005
  • 기존의 LVA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은 반복적 정보흐름분석(Iterative Data Flow Analysis -DFA) 프레임워크에 따라 프로그램 전체를 반복적으로 스캔하면서 진행되어진다. Zephyr[1] 컴파일러의 경우 이와 같은 반복적 알고리즘으로 LVA를 수행하는 시간이 전체 컴파일 시간에서 약 $7\%$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 LVA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로 개선할 점들이 있다. LVA를 수행하는 기존의 반복적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의 특성상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basic block들에 대한 방문이 잦고, 살아있는 변수들의 집합을 점차적으로 증가해 가면서 구하는 특성상 큰 변수들의 집합에 대한 연산을 계속 하게 된다. 우리는 기존의 알고리즘과 달리 사용된 변수들(USE set)에 대해 Control Flow Graph(CFG)에서 거슬러 올라가면서 LVA를 수행하는 반복적인 알고리즘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알고리즘과 같은 결과를 내면서 더 빠른 알고리즘이다. DFA에서의 flow equation을 적용하는 순서를 바꿈으로써 많은 중복 계산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basic block을 방문해야만 하는 횟수를 줄이면서 전체 수행 시간을 단축시킨다. 간단한 추가 구현만으로 Zephyr 컴파일러에서의 실험 결과에서 LVA만을 수행하는 시간에서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36.4\%$ 짧은 시간을 사용하였고, 이는 전체 컴파일 시간을 $2.6\%$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Development of Bamboo Zephyr Composite a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 SUMARDI, Ihak;ALAMSYAH, Eka Mulya;SUHAYA, Yoyo;DUNGANI, Rudi;SULASTININGSIH, Ignasia Maria;PRAMESTIE, Syahdilla Risandra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134-147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ber direction arrangement and layer composition of hybrid bamboo laminate boards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raw material used was tali bamboo (Gigantochloa apus (J.A. & J.H. Schultes) Kurs) rope in the form of flat sheets (zephyr) and falcata veneer (Paraserianthes falcataria (L) Nielsen). Zephyr bamboo was arranged in three layers using water-based isocyanate polymer (WBPI) with a glue spread rate of 300 g/m2.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substitution of the core layer with falcata veneers (hybrid) as much as two layers and using a glue spread rate of 170 g/m2. The laminated bamboo board was cold-pressed at a pressure of 22.2 kgf/cm2 for 1 h, a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ber dire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dimensional stability, modulus of rupture, modulus of elasticity, shear strength, and screw withdrawal strength.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lay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bonding quality of bamboo laminate boards with WBPI was considered to be quite good, as shown by the absence of delamination in all test samples. The bamboo hybrid laminate board can be an alternative based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at can meet laminated board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