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정진희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원미순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
  • 이수진 (서울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 Received : 2013.05.31
  • Accepted : 2013.06.24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for universities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by examining how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a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respondents. For this study, the social work self-efficacy,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 of 502 students of social welfare in five universities were measured.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collected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 were slightly lower than mid-point on 5 point scale respectively. Secondly, social work self-efficacy was not cor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while social work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o the career-related behavioral levels. In particular, the client support self-efficacy of the three sub-factors in social work effica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ly, social work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intensively was correlated with their career preparation-related behavioral levels.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5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는 별다른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변인 중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은 행동적인 측면인 진로준비행동과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선미, "한국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도입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2권, pp.123-145, 2010.
  2. 이기영, 최명민, "사회복지전문인력 개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권, 제1호, pp.1-52, 2006.
  3. 김승용, 허선, "사회복지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취업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pp.23-51, 2009.
  4. 통계청, 2007년 인력실태조사결과, 통계청, 2008.
  5. 김태순, 황혜원,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9권, pp.97-126, 2009.
  6. 이예진, 이기학,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267-287, 2010.
  7. 박주현, 김용태,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9권, 제3호, pp.59-80, 2009.
  8.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2012.
  9.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86-49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486
  10. 강종수,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특성이 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12-22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12
  11. D. G. Betsworth and N. A. Fouad, "Vocational interests: a look at the past 70years and a glance at the futur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6, pp.23-47,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689.x
  12. D. Brown, "The role of work and cultural values in occupational choice, satisfaction, and success," J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80, pp.48-56, 2002.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65.x
  13. J. E. A. Russell, "Vocational Psychology: an analysi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J of Vocational Behavior, Vol.59, pp.226-234, 2001. https://doi.org/10.1006/jvbe.2001.1828
  14. 어윤경,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1029-1046, 2010.
  15. 이주희, "대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6권, 제1호, pp.103-115, 2004.
  16. R. D. Duffy and B. J. Dik, "Beyond the self: External influences i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8, pp.29-43, 2009.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9.tb00171.x
  17. E. A. Norman, A. B. William, L. Maria, D. B. Lee and K. Emily, "Career decisions from the decider's perspectiv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8, pp.336-351, 2010. https://doi.org/10.1002/j.2161-0045.2010.tb00182.x
  18.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 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9. 강재태, 양재석, "고등학생들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미결정 유형간의 관계", 한국직업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51-65, 2001.
  20. 김은주, 한국대학생 진로준비유형화 검사의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1. 박정희,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125-144. 2009
  22. G. Holden, T. Meenaghan, J. Anastas, and G. Metre, "Outcomes of social work education: The case for social work self-efficacy,"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8, No.1, pp.115-133, 2002. https://doi.org/10.1080/10437797.2002.10779086
  23.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24. 최소연,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사회복지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2권, pp.73-96, 2010.
  25. C. R. Wanberg and P. M. Muchinsky,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9, No.1, pp.71-80, 1992. https://doi.org/10.1037/0022-0167.39.1.71
  26. 김봉환, 대학생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7. 양난미,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선택 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8. http://www.academyinfo.go.kr/
  29. S. H. Osipow, C. G. Carmey and A. Barak,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 of Vacational Behavior, Vol.9, pp.233-243, 1976.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30. 고향자,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 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Cited by

  1.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vol.22, pp.2,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