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exural Strength and Durability Evaluation by Freezing and Thawing Test of Repaired Reinforced Concrete Beams

보수보강을 실시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동결융해시험을 통한 휨강도 및 내구성 평가

  • 이창현 (한국인프라관리 주식회사) ;
  • 어석홍 (창원대학교 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
  • Received : 2018.10.11
  • Accepted : 2018.10.31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bout flexural strength and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epaired using ductil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DFRCC) and carbon fiber sheet through freezing and thawing test. Total 14 RC beams of $100{\times}100{\times}400mm$ size were tested by 3-point bending and freezing and thawing test by KS F 2456. The beams were reinforced using 3D10 steels on both the tensile and compressive sides, and repaired on 3 sides expect on top cycl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beams repaired using fiber carbon sheet revealed about 15% higher values of flexural strength compared than the cases of DFRCC motar.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did no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durability. For further research, consideration of the steel interference effect and real old specimens such as taken from real deteriorated structures are needed to be tested after repairing with DFRCC and carbon fiber sheet.

본 논문에서는 DFRCC 보수모르타르와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하여 보수보강을 실시한 철근콘크리트보를 대상으로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하여 휨강도 및 동탄성계수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한 실험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00{\times}100{\times}400mm$ 크기의 각주형 보를 총 14개 제작하여 KS F 2456에 따른 동결융해시험과 휨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및 압축측에서 각각 3-D10의 철근을 배치하였으며, 보수보강은 보의 3면에 각각 실시하였다. 동결융해시험에서는 각각 100 Cycle 및 200 Cycle에서 상대동탄성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휨강도에서는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한 경우가 DFRCC 보수모르타르의 경우보다 약 15%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 동탄성계수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공시체 크기에 비해 비교적 많은 철근량이 배근되어 간섭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어 추가적인 실험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45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DFRCC 보수모르타르 시험체 제원

CCTHCV_2018_v18n11_45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탄소섬유시트 시험체 제원

CCTHCV_2018_v18n11_45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시험체의 제작(DFRCC 및 탄소섬유보강)

CCTHCV_2018_v18n11_455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동결융해 시험 전경

CCTHCV_2018_v18n11_455_f0005.png 이미지

그림 5. 휨강도 시험 전경

CCTHCV_2018_v18n11_455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동결융해작용에 따른 휨강도 변화

CCTHCV_2018_v18n11_455_f0007.png 이미지

그림 7. 동결융해 후 보강 유무 및 종류에 따른 휨강도 변화

CCTHCV_2018_v18n11_455_f0008.png 이미지

그림 8. 보수보강 전, 후 동탄성계수 비교

표 1. 콘크리트 배합표

CCTHCV_2018_v18n11_455_t0001.png 이미지

표 2. DFRCC(HRM-400) 재료 특성

CCTHCV_2018_v18n11_455_t0002.png 이미지

표 3. 수용성 신구콘크리트 접착제(HRM-50) 재료 특성

CCTHCV_2018_v18n11_455_t0003.png 이미지

표 4. 탄소섬유(SK-300) 재료 특성

CCTHCV_2018_v18n11_455_t0004.png 이미지

표 5. 실험체 분류표

CCTHCV_2018_v18n11_455_t0005.png 이미지

표 6. 보수보강에 따른 휨강도 변화

CCTHCV_2018_v18n11_455_t0006.png 이미지

표 7. 공명진동수 및 상대동탄성계수 측정결과

CCTHCV_2018_v18n11_455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송준호, 김경수, 김재욱, 배주성, "동결융해를 받은 섬유시트 보강 콘크리트 휨부재의 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525-528, 1999.
  2. 고경택, "동결융해에 대한 설계 및 대책 방안," 콘크리트학회지, 제13권, 제6호, pp. 44-51, 2001.
  3. 장용헌, 윤현도, 서수연, 최기봉, 김윤수, 김선우, "균열발생으로 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동결융해 사이클에 따른 휨 거동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 제2호, pp. 277-280, 2008.
  4. 김선우, 최기봉, 윤현도, "균열손상 후 동결융해를 경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콘크리트학회논문집, pp. 399-407, 2010.
  5. 박정원, 박상렬, 민창식, "탄소섬유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보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781-789, 2000.
  6. 윤현도, 박완신, 양일승, 한병찬, H.Fukuyama,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의 최신기술 : DFRCC의 구조적 성능 적용," 콘크리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36-43, 2005.
  7. 이재연, 윤현도, 전에스더, 송동엽,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HPFRCC)의 특성과 적용 사례," 시설안전, 2005겨울호2, pp. 96-113, 2005.
  8. 박종섭, 정우태, 유영준, 박영환, "탄소섬유쉬트에 의해 휨보강된 RC보의 휨강도 추정," 콘크리트학회논문집, pp. 213-220, 2005.
  9. 한병찬, 김재환, 임승찬, 권영진, Naoharu Mori, "균열제어형 DFRCC를 사용한 RC 구조물 보수 공법," 콘크리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56-61, 2006.
  10. 김정희, 김재환, 박선규, 권영진, "고인성 내화.보수 모르타르를 활영한 RC구조물 보수공법의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3권, 제6호, pp. 88-96, 2009.
  11. 김정희, 임승찬, 김재환, 권영진, "고인성 내화 보수모르터를 활용한 RC구조물 보수공법의 내구성능 및 내화력에 관한 실험적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제16권, 제2호, pp. 75-86, 2012. https://doi.org/10.11112/jksmi.2012.16.2.075
  12. 어석홍, 손기민, "고인성 섬유 시켄트 복합재료를 사용한 RC보의 전단보강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 5844-5853,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9.5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