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 취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Time to College Students' Employment

  • 투고 : 2018.06.08
  • 심사 : 2018.07.23
  • 발행 : 2018.08.28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소요기간 및 정규직으로의 취업 소요기간에 있어서 개인의 특성, 대학의 특성 및 대학에서의 교육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1개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계열 전공자에 비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전공자의 취업소요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 소요기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또한 남성일수록,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일수록 취업 소요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분석에서 취업 소요기간은 대학 특성 및 대학에서의 경험보다 개인 특성으로 더 많이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공계열별 차별화된 지원, 학생들의 요구에 맞춘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olleg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t college on the length of employment and length of employment for regular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employment required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medicine major was shorter than that of major in humanit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er the time required for the job, the more the male and the university gradu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ngth of time required for employment could be explained mor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t colle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ifferentiated support for each major and the necessity of supporting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of students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안기돈, "생태계적 작동원리에 기초한 효과적인 대학 취업지원 방안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취업진로연구, 제6권, 제3호, pp.21-43, 2016.
  2. 강주연, 오유, 김기승, "대졸자 특성과 취업 소요기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산업관계연구논문지, 제25권, 제2호, pp.31-49, 2015.
  3. M. A. Kuijpers, F. Meijers, and C. Gun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career competencies of students in vocational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8, No.1, pp.21-30, 2011. https://doi.org/10.1016/j.jvb.2010.05.005
  4. 김미성,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 송정련, 대학 졸업자 첫 직장 이행과 임금에 대한 구직 프로그램 및 구직활동의 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 채창균, 김태기,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논문지, 제29권, 제1호, pp.89-107, 2009.
  7. 김병주, "부실대학의 개념 및 평가요소 탐색," 교육행정학연구논문지, 제34권, 제2호, pp.287-311, 2016.
  8. 전재식, 민주홍,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I), 연구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 2009.
  9. 성효용, 김민경,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문지, 제65호, pp.117-148, 2003.
  10. 장희원, 김경근, "대학생의 졸업 속도 영향요인에 대한 생존분석: 4년제 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연구, 제24권, 제3호, pp.217-241, 2014.
  11. 주휘정, 차성현, "대학생의 휴학 결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논문지, 제29권, 제1호, pp.277-293, 2011.
  12. 남기곤, 윤진호, 이시균, "대학 재학 중 활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경제발전연구논문지, 제16권, pp.143-172, 2010.
  13. 이종찬, 박지현, "대학생 취업에 관한 이론적 접근과 NCS 기반 채용의 활용가능성 탐색," 한국취업진로학회 취업진로연구, 제5권, 제4호, pp.139-160, 2015.
  14. 강창동, "한국의 국립대와 사립대의 대학경쟁력 비교 연구," 한국교육학연구논문지, 제20권, 제3호, pp.301-323, 2014.
  15.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노동경제논집, 제28권, 제2호, pp.1-2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