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 Freshmen's University Entrance and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At a crossroads before taking a leave of absence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 Received : 2018.06.18
  • Accepted : 2018.08.16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s currently considering if they should take a leave of absence after finishing the first year in S University located in Busan City. From March to July, 2018, this researcher explored the meaning of their university entrance and the essential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by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author drew 32 meaningful statements and also 10 main themes, "the excitement of campus life and the name of being an undergraduate", "parents' suggestion", "something other than being a massager", "Is it a place that anyone can enter? Or, is it a special place?", "loneliness within the public", "Everything is an obstacle.", "It's not giving up, but still I am in a vague moment.", "the beginning of another conflict", and "studying in a university is not for the present but for the future". They were categorized into being a university student and the meaning of it (category1),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reality (category 2), and one year after the entrance: the meaning of being a university student (category 3).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author intends to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about what universities can do for visually-impaired students to adapt to university life in the initial steps properly.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의 S대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치고, 현재 휴학을 고려하고 있는 3명의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7월 동안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진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입학 후 학교생활 경험은 무엇인가? 이며, 연구결과 "캠퍼스생활의 설렘과 대학생이라는 이름", "부모의 권유", "안마사 말고 다른 무엇", "누구나 들어가는 곳 인가? 특별한 곳인가?","대중 속의 고독", "모든 것이 장애물","포기한건 아니지만 여전히 애매한 시간 속으로", "또 다시 갈등 시작", "대학재학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한 것". 이라는 10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에 진학한다는 것, 그 의미(범주1), 대학생활 적응과 현실(범주 2), 입학 1년후: 대학 재학의 의미(범주 3)라는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이 시각장애인학생들의 초기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남, "장애대학생의 대학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충북K대학교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제50집, pp.2-23, 2016.
  2.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서울:교육부, 2015.
  3. 조현근, "중도 시각장애 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09-226, 2016.
  4.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 2015. 1. 29.⦘ ⦗법률 제12365호, 2014.1.28.,일부개정⦘
  5. 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시행2013.12.30.⦘ ⦗법률 제12127호, 2013.12.30.,일부개정⦘
  6. 김동일, 김경선, 김우리야, 이기정,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적응을 위한 통합 예비대학 프로그램 개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연구, 제52권, 제2호, pp.359-384, 2013.
  7. 박미화, "장애대학생의 가족지지와 대학생활 정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구 중복.지체부지유아교육), 제58권, 제4호, pp.147-168, 2015.
  8. 김경화,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4년제 대학교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청각장애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조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6권, 제3호, pp.187-202, 2015.
  9. 김동일, 고혜정, 정소라, 김주선,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에서의 리질리언트한 통합과정,"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4호, pp.295-318, 2012.
  10. 이지경, 안성우, "장애학생의 대학생활 및 수업에 관한 실태와 성별에 따른 인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2호, pp.259-284, 2014.
  11. 조현근, "근거이론 접근에 의한 시각장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과정," 시각장애연구, 제32권, 제3호, pp.1-33, 2016.
  12. 이해균, "시각장애학생의 학사지원에 대한 정안 대학생의 의식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1호, pp.1-18, 2005.
  13. 김성애, 박찬웅, 이해균, "장애 대학생 학업 성취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제37권, 제4호, pp.335-357, 2003.
  14. 정정진, 대학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 교육복지지원 실태조사 및 학습권 보장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15. 이옥경, "장애 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23권, 제1호, pp.169-195, 2004.
  16. 권현용, 김현미, "장애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43-56, 2004.
  17. 장순옥, "장애인 특례입학 대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관한 연구-지체장애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5권, 제1호, pp.85-108, 2001.
  18. 최지영,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2571-2589, 2009.
  19. E. L. Paul and E. H. Wong, "A pilot project o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Psychological Reports, Vol.77. No.1, pp.255-258, 1995. https://doi.org/10.2466/pr0.1995.77.1.255
  20. 김미선,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 교육권 그 너머," 시각장애연구, 제28권, 제4호, pp.97-117, 2014.
  21. 김호연, "시각장애 대학생의 학과 선택 및 진로준비에 관한 조사 연구," 시각장애연구, 제29권, 제1호, pp.1-23, 2013.
  22. 박영준, "시각장애 안마사의 고용확대 방안에 관한 인식비교 연구," 장애인 고등 교육 연구, 제2권, 제1호, pp.153-168, 2016.
  23. 유훈, 김계현, "장애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6권, 제5호, pp.157-170, 2015.
  24. 김미선, 박중휘, "시각장애 대학생의 대학 내 교육복지 지원 경험과 인식," 시각장애연구, 제29권, 제2호, pp.1-22, 2013.
  25. 김태형, 임진섭, "시각장애대학생의 역량강화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접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제27권, 제2호, pp.19-40, 2011
  26. 서혜란, 강은영,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4호, pp.5-30, 20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4.005
  27. 권형용, 김현미, "장애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7권, 제2호, pp.34-56, 2004.
  28. 한국장애인개발원, 시각장애인의 직업선택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장애인개발원, 2009.
  29. 김미선, 박중휘, "대학에서의 학업지원에 대한 시각장애 대학생의 인식과 요구," 시각장애연구, 제26권, 제1호, pp.25-41, 2010.
  30.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the Univercity of Western Ontario, Canada," 1990, 신경림, 안규남 공역, "체험연구," 동녘, 1994.
  31. 정상원,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교육문화연구, 제20권, 제3호, pp.5-42, 2014.
  32. L. E. Lindstrom, Patterns of career development: case studies of young women with disabilities entering the workforce, P 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2000.
  33. 오윤진, 이순민, "시각장애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의 관계연구 :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제29권, 제2호, pp.45-66, 2013.
  34. 김동일, 손지영, "장애대학생 수업 지원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지원방안," 특수교육저널:이론과실천, 제10권, 제1호, pp.85-112, 2009.
  35. 김동일, 이태수, 김익수, 김혜영, 박유정, "장애인고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장애와고용, 제14권, 제2호, pp.5-24, 2004.
  36. 김미선, 박중휘, "시각장애 대학생의 진로와 취업 지원 경험과 인식," 시각장애연구, 제30권, 제4호, pp.213-232, 20,2013.
  37. 장애인복지법.⦗시행 2015.9.12.⦘⦗법률 제13216호, 2015.3.11., 타법개정⦘
  38. 이혜경, 여성 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9. 유영주, "문화복지서비스 성과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비스 이용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3호, pp.271-300, 2013.
  40. 김자경, 강혜진,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적응비교,"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제51권, 제2호, pp.211-22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