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 인지 변화 -의료기관 인증평가 전·후 비교-

Awareness,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Change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Before and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 투고 : 2018.11.05
  • 심사 : 2018.12.07
  • 발행 : 2019.01.28

초록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인지 변화에 대해 의료기관 인증평가 전 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6월1일부터 7월17일까지 실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인증 인지, 이직의도, 안전관리인지도의 인증평가 전 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인증평가 후 평균점수는 높게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인증평가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25, p=<.005). 즉, 인증평가 전이 인증평가 후 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증평가를 준비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업무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의료기관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인적 물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safety management cognition of a general hospital nurse before and after the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2016 to July 17,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cert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turnover intention, and safety management awareness, but mean score was high and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certification.(t = 2.825, p = <. 005). That is, the job stress was higher than that after the authentic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of nurses preparing for certification, active and diverse human and physical support of medical institutions that can reduce work burden is needed.

키워드

CCTHCV_2019_v19n1_38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CCTHCV_2019_v19n1_385_t0001.png 이미지

표 2.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의료의 질 향상 효과 차이

CCTHCV_2019_v19n1_385_t0002.png 이미지

표 3. 직무스트레스 차이

CCTHCV_2019_v19n1_385_t0003.png 이미지

표 4. 이직의도 차이

CCTHCV_2019_v19n1_385_t0004.png 이미지

표 5. 안전관리 인지 차이

CCTHCV_2019_v19n1_385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http://www.koiha.kr/member/kr/contents/sub02/sub02_01_01.do, 2018.10.7.
  2. 김경숙,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대한 조사위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 http://www.koiha.kr/member/kr/certStatus/certList.do, 2018.10.7.
  4. 김영순, 박경연, "임상간호사의 의료기간 인증제에 대한 인식도, 역할과 부담,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6권, 제6호, pp.3377-3392, 2014.
  5. 홍문희, 박주영,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제22권, 제2호, pp.167-177,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67
  6. 윤지선, 의료기관인증제의 인지도가 의료서비스질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이혜승, 병원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도에 관한 인식도 조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 조홍주,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의료기관 근무자들의 인식 및 태도,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정준, 병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연구-간호 부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B. F. Manzo, H. C. Ribeiro, M. J. Brito, and M. Alves, "Nursing in the hospital accrediation process: Practice and implications in the work quotidian,"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Vol.20, No.1, pp.151-158, 2012. https://doi.org/10.1590/S0104-11692012000100020
  11. 김정자, 최신기본간호학, 정담미디어, 2006.
  12. 조우현, 이상일, 김소윤, 정재복, 이선미, 천자혜, 조현아,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인증제 도입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복지부, 2008.
  13. 김선미, 국제의료기관평가가 직원들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친 영향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이혜승, 양유정,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구성원만족도와 병원운영효과에 미치는 영향, 비인증병원과 인증병원 비교," 디지털 융복합연구, 제12권, 제1호, pp.431-442, 2014.
  15. 이명선, 오지현, 황혜민, 권은진, 이정희, 박은영, "의료기관 평가에 관한 병원종사자들의 경험, 포커스 그룹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4호, pp.569-579, 2011.
  16. 김미자, 최정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87-95, 2015.
  17. 양남영 최정실. "간호사의 국제의료기관평가 에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평가관련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9,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1
  18. 최연순, 간호사의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9. 문숙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0. L. Anderson, P. Y. Chen, S. Finlinson, A. D. Krauss, and Y. H. Huang, "Roles of safety control and supervisory support in work safety," In: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2004.
  21. 정수경, 병원조직구성원의 안전문화풍토와 안전이행에 대한 설명모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2. 이혜승, 전영주,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운영과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 비인증 병원과 인증병원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235-259, 2015.
  23. 이희태,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병원의 서비스의 질관리체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307-328, 2013.
  24. 윤금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 정수경, "병원조직구성원의 안전문화풍토와 안전이행에 대한 설명 모형,"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8호, pp.947-961, 2017.
  26. Y. H. Huang, M. Ho, G. C. Smith, and P. Y. Chen, "Safety climate and self-reported injury: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afety contro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8, pp.425-433, 2006. https://doi.org/10.1016/j.aap.2005.07.002
  27. 25-R. Ramanujam, K. Abrahamson, J. A. Anderson. Influences on Nurse Perception of Hospital Unit Safety Climate: an HLM Approach. Regenstief Center for Healthcare Engineering RCHE Publications. http://docs.lib.purdue.edu/rche_rp/34/,June27,(2009). 2018. 10. 7.
  28. 유지현, 강경아, "종양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호 활동," 종양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19-126, 2014.
  29. 남문희, 임지혜,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349-35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