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마킹을 통한 설계VE 추진절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Design VE Job Plan through the Benchmarking

  • 엄익준 (엄지하우스) ;
  • 정영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철웅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1.11.01

초록

정부에서는 고비용 저효율의 건설산업을 저비용 고효율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한 단계 올려놓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기법을 활용하여 기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비용을 절감하고자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에서 VE를 실시하도록 법령 및 지침을 제정 공포한 바 있다. 그러나 각종자료에 나타나 있는 VE추진절차는 나름대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하는 용어, 추진단계의 구분, 단계별 활동내용 등이 상이하여 설계VE 수행자들에게 적잖은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와 같은 혼란의 여지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설계W와 관련한 세 종류의 문헌과 네 종류의 제도 및 사례를 각각 조사, 비교, 검토하여 VE추진절차와 활동내용에 관한 차이점과 문제점을 도출한 후, VE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개선된 설계VE 추진단계와 활동내용을 제시하였다.

To convert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the high cost, the low efficiency' to 'the low cost, the high efficiency and value-added industry' and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products while reducing the cost, the related law and guideline were established and promulgated, which regulate that value engineering workshop during the preliminary design and the detail design stage should be a mandatory process. But VE practitioners are still confusing in choosing the proper value engineering process, because processes those are described in the various references use the different terms, steps and activities, even though they have their own specific characteristics. To resolve these confusions, the existing steps and activities of three kinds of the literature, four kinds of the organization's policy and other four kinds of study examples relating to the design VE were examined. And then, the differences and expecting problems were extract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ose materials. After that, VE specialists' opin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grasped. Based on those studies the improved design VE Job Plan and activity statements were sugges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