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hibitory of seed germination by an extracellular metabolite of Pseudomonas sp. F721

Pseudomonas sp. F721의 세포외 대사산물에 의한 종자의 발아억제

  • 오경택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류인재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이민주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홍재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성준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정선용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11.07

Abstract

Pseudomonas sp. F721 isolated from soil produced a substance related in seeds germination inhibition. Addition of phytohormone, and GA (gibberellin acid) in the culture broth elevated production of the germination inhibition substance. The production of the substance was optimized in the culture conditions of $35^{\circ}C$, pH 9.0, 150 rpm, 48 hr, glucose 0.5% (w/v), and innoculation ratio 1.0% (v/v). The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of the substance in the variety of pH ranging from 2.0 to 12.0 and from freezing to $100^{\circ}C$ were shown. The germination inhibition substance suppressed 90% of germ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experiment in a few days.

농작물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미생물, Pseudomonas sp. F721을 자연계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리고 식물성장 호르몬에 의하여 발아억제물질이 유도되어 생산됨이 밝혀졌다. 분리된 균주의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35^{\circ}C$, pH 9.0, 15Orpm, 48 hr, substrate 0.5% (w/v), strain 1.0% (v/v)이었다. 발아억제의 정도는 종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발아억제물질의 물리${\cdot}$화학적 안정성 검토결과 pH 2.0${\sim}$12.0, $-20{\sim}100^{\circ}C$에서 대하여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다. 발아억제 물질은 발아 초기에 대조 시험보다 약 90% 이상 발아를 억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