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ciding factors of freight tariff for Truck Safety Rates

화물자동차 안전운송 운임제 운임결정 요인 연구

  • Park, Ji-Hoon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Kim, Hwan-Seong (Dept. of Logistic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박지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환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19.11.20

Abstract

Du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e transportation market, such as fraudulent competition and multi-level transportation transactions, tariff are not properly refIected to the final trucker even if freight tariff are increased due to diesel price hikes and transportation cost increases. By Launched "standard tariff system" in 2017 based on the trucks, government would tried to guarantee the minimum tariff such that prevents overloading, speeding, and strain for truck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advance the issue of the system and its impact on container freight.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the tariff system that is formed when the "Truck Safety Rates" is introduced, and also analyzes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xpenditure cost on the container freight which is applied to the "Truck Safety Rates".

화물자동차의 과당경쟁 및 다단계 운송거래와 같은 화물운송시장의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화물자동차운임은 경유가격 인상 및 운송원가상승 요인으로 운임이 인상되더라도 최종 화물차주에게 까지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는 운임 왜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2017년 신정부에서는 "표준운임제"를 토대로 사업용 화물자동차가 과적, 과속 및 과로를 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운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운송품목에 대한 원가를 도출한 후 적정이윤을 추가하여 운임을 공표하고 이를 위반하면 행정처분을 하는 "화물자동차 안전운송 운임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제도의 도입에 대한 이슈 및 컨테이너운임에 대한 영향에 대한 사전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물자동차 안전운송 운임제"가 도입될 경우 형성되는 운임제도에 관한 이슈와 이에 대한 대책을 분석하고 "화물자동차 안전운송 운임제"의 적용대상인 컨테이너운임에 미치는 지출비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