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of Elderly Women in Taegu and Rural Area in the Suburbs of Taegu

대구 시내 및 근교 농촌지역 노년기 여성의 리보플라빈 배설량 연구

  • Published : 1992.08.0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hysical activity, nutrients intakes and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of elderly women and to compare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of urban elderly women with rural elderly women. While average daily riboflavin intake of elderly women subjects was below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was adequate in terms of average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nergy expenditur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riboflavin intake. Nutrients intakes of urban and rural elderly wom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energy expenditur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rural than in urban elderly women. It is suggested that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was influenced by physical activity.

노년기 여성들의 일상적인 활동상황과 그와 관련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하기 위해 일상적인 생활양식이 다른 대구 시내와 근교 농촌지역의 여자노인들의 활동상황 및 영양소 섭취량,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일일 리보플라빈 평균 섭취량은 0.92mg으로 권장량에 매우 미달되었다. 반면에 소변중 리보플라빈 평균 배설량은 $175.6\mu\textrm{g}/24hr$으로 영양불량 판정 기준치보다 높아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평균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활동강도(p<0.005), 에너지 소비량(p<0.005), 크레아티닌 배설량(p<0.005)은 상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연령증가와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에너지 소비량 및 활동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리보플라빈 섭취량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도시와 농촌여자노인들간에 리보플라빈 섭취량,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등 식이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에너지 소비량(p<0.005), 활동강도(p<0.005),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p=0.053) 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농촌 여자노인들의 경우 도시 여자노인들보다 에너지 소비량, 활동강도가 유의하게 많았던 반면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활동량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활동량이 많을 경우 리보플라빈 섭취량을 증가시켜야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