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ot Cutting Effects on the Productivity and Nutrient Removal of Some Wetland Plants

습지식물의 지상부 제거가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량에 미치는 효과

  • 정연숙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
  • 오현경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
  • 노찬호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
  • 황길순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is work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timing and the frequency of shoot cutting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and the nutrient removal of three emergent macrophytes, Phrag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in natural wetlands. Shoot cutting significantly enhanced biomass production and resulted in more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from water in these three experimental specie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However, the frequency and the timing of shoot cutting, and the enhancement ratio were different among three species. For Phragmites stands, the highest productivity was 1.9 times of control in June treatment of the first year experiment, while 1.3 times in May treatment of the second year experiment. Zizania and Typha stands were both 1.2 times of control in August treatment and June and August treatment. Calculating the total annual removal rate of nitrogen and phosphorus based on the highest productivities among treatments, in Phragmites stands, 2.0 times of nitrogen and 1.8 times of phosphorus were removed in the first year, and both 1.4 times in the second year experiment. Likewise, for nitrogen and phosphorus; 2.4 and L.8 times in Zizania stands, and 1.8 and 1.9 times in Typha stands were removed.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utting treatment of shoots be effective. Thus, shoot cutting of two times during a growing season were recommended to maximize the effects: that is, in May or June, and October for Phragmites stands, and in August and October fur Zizania and Typha stand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습지의 주요 우점종인 갈대, 줄 및 애기부들을 대상으로, 자연습지에서 생육기 중에 시기와 횟수를 달리하여 지상부를 제거하는 것이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상부 제거는 세 종 모두에서 지상부 생산력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증가시켰으며, 최대효과를 위한 시기와 횟수 및 효과의 정도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갈대는 1차년도 실험에서 6월 제거구의 연총생산력이 1,014g/$m^2$로서 대조구의 1.9배이었고, 2차년도에는 5월 제거구가 1,494g/$m^2$ 로서 대조구의 1.3배이었다. 줄은 8월 제거구의 생산력이 1,386g/$m^2$으로서 대조구의 1.2배, 애기부들은 6월과 8월의 3회 제거구와 8월 제거구의 생산력이 각각 1,670, 1,620g/$m^2$로서 대조구의 1.1~l.2배이었다. 영양염류 제거량에서 갈대는 질소와 인이 1차년도에서 대조구의 2.0배와 1.8배, 2차년도에서 각각 1.4배, 줄은 2.4배와 1.8배 그리고 애기부들은 1.8배와 1.9배로서 생산력의 증가비율보다 더 많은 영양염류를 제거하였다. 종합적으로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량 그리고 관리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갈대는 5~6월과 10월의 2회, 그리고 줄과 애기부들은 8월과 10월의 2회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과학재단 학연산연구교류 제198회 대형수생생물을 이용한 수질개선 기법의 현황과 전망 공동수
  2. 호소 만입부에서의 조류 대량 증식억제 기술개발 국립환경연구원 호소수질연구소
  3. 강원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군부대 오수처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공습지의 이용방안 김도선
  4. 부산수산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수생식물(부레옥잠)을 이용한 돈사폐수의 처리 이남희
  5. J. KSWQ 영양염류농도에 따른 부레옥잠의 성장특성에 관한 연구 전만식;김범철
  6. 한국생태학회지 v.12 간척지 갈대의 영양생장과 지상부 모듈의 개체군 동태 정연숙;김준호
  7. 양어장 배출수의 정화를 위한 수생관속식물의 적용가능성 정연숙
  8.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인공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순환 조강현
  9. Methods in Plant Ecology Chemical Analysis Allen SE;HM Grimshaw;AP Rowland;PD Moore(ed);SB Chapman(ed)
  10.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mation of water and wasterwater APHA
  11. Soil Science v.59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available forms of phosphorus in soils Bray P;LT Kurtz
  12. AMBIO v.18 The use of aquatic macrophytes in water-pollution control Brix H;H Schierup
  13. Pond littoral ecosystems Control of reed mace stands by cutting Husak S;D Dykyjovaed);J Kvet(ed)
  14. Korean J. Environ. Agric v.7 Studies on the nutrient removal potential of selected aquatic plants in the pig waste water Kim B;K Kim;Y Park
  15. Water v.5 The potential for wasterwater treatment by aquatic plants in Australia Mitchell DS
  16. CIENC. BIOL v.12 The effect of cutting upon of Typha domingensis Plasencia-Fraga JM;J Kvet
  17. Aquatic Botany v.15 Growth and metabolism of Typha species in relation to cutting treatments Sale PJM;RG Wetzel
  18. Aquatic Botany v.36 Effect of aboveground organs of Typha angustata Bory and Chaub on its growth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Sharma KP;Rajasthan SPS
  19. SYSTAT 7.0 SPSS Incorporation
  20. Wetlands v.16 Functional assesment of five wetlands constructed to mitigate wetland loss in Ohio, USA Wilson RF;WJ Mit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