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 of Action of the Bacteriocan from Lactobacillus sp. GM7311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Lacte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Gram 음성균에 대한 작용형태

  • KANG Ji-Hee (Dept of Micro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Suk (Dept of Micro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강지희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
  • 이명숙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The antimicrobial ac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sp. GM7311 against three Gram negative bacteria, Proteus mirabil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scherichia coli, was investigated, When the bacteriocin was added to the culture at different stages, viable cells of all of the indicator strains tested were decreased, even though the most inhibited indicator cell growth stages were different.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indicator strains treated with bacteriocin revealed cell Iysis, indicating the cell membrane appears to be the primary site of action. The amino acids concentration of indicator strains treated with bacteriocin were diminished and fatty acids compositions were changed as compared with controls.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이 진행 중인 세 가지 시험균주의 TSB 배양액에 일정한 시간 간격별로 최종 농도 100 BU/ml가 되도록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후 그 균수 변화와 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험 균주의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경우 Proteus mirabilis의 경우는 대수증식기 중기 이전까지의 지시균에 대해서 강한 억제작용을 보이는 반면, Vibrio parahaernolricus와 Escherichia coli는 첨가 시기 모두에서 급격한 균수 감소를 보였으며 다만 정지기에 있어서는 저해 효과가 적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세 가지 시험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시험 균주의 세포벽 파괴와 함께 세포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bacteriolytic action 형태를 보였다.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하여 각 균주별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증식시기를 선택해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의 경우는 세 균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산은 크게 감소하는 성분은 없었지만 각 성분들의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