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칠의 정제기술에 관한 연구(I) - 생산지·생산시기에 따른 생칠과 옻칠의 특성 및 도막 특성 -

Study on Refining Technique of Raw Lacquer (I) - Properties of Raw Lacquer, Refined Lacquer and Film according as Their Collecting Places and Seasons -

  • 송홍근 (건국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한창훈 (건국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Song, Hong-Ke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onKuk University) ;
  • Han, Chang-Ho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00.02.14
  • 심사 : 2001.01.10
  • 발행 : 2001.03.30

초록

본 실험은 생산지별 채취시기별 물리적 화학적 성상의 차이를 파악하여, 그 상이성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높은 품질의 옻칠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생칠은 국내 원주산 생칠과 중국의 섬서성(陳西省)산 생칠, 귀주성(貴州省)산 생칠, 안휘성(安微省)산 생칠 등이었다. 정제 특성 실험은 실험실용 정제기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이 정제기에 의해서 생산된 옻칠은 도막의 건조시간, 인장강도, 도막의 균일성 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을 시험하였다. 도막은 자동 도포기(Film applicator)로 만들었고, 만들어진 도막은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였다. 도막의 균일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초점 현미경에 의하여 2차원 및 3차원 화상을 얻어 판정하였다. 채취시기에 따른 정제조건 변이는 없었으나 생산된 옻칠의 점도는 시기에 따라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다. 흑칠 제조시 철분의 굵기에 따라 혼합시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 흑칠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정제시간의 길이, 점도, 인장강도 등이 정제조건보다는 산지에 따라서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obtained fundamental data about Korean raw lacquer'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o produce high quality lacquer. The tested raw lacquers were obtained from Won-ju in Korea, Shanxishang, Guizhoushang, Anhuishang in China. The drying time of refining lacquers, tensile strengths of dried films and uniformity of films are measured. The refined lacquers were prepared by experimentally scaled refining equipment. Films of lacquer were applied on glasses by film applicator. This films were tested by universal strength test machine. The films were pictur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confocal microscopy to define the uniformity of them. The refining method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different kind of raw lacquers which were different their collecting time and places. But the viscosity of them were quite different. When black refined lacquer is made with iron powder, the adding time of iron powder is critical to control the viscosity of it. The refining times, viscosity and tensile strength of refined lacquers were not depended the method of refining condition but the place of collecting of raw lacqu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