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ke Juam was surveyed from June 1993 to May 1994 in order to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water resources. Secchi disc transparency, epilimnetic chlorophyll a (chi-a),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in the range of $2.0{\sim}4.5\;m$, $0.9{\sim}13.6\;mgChl/m^3$, 0.78$\{sim}$2.32 mgN/l, $11{\sim}56\;mgP/m^3$, $270{\sim}2.160\;mgCm^{-2}\;day^{-1}$,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P, Chl-a and Secchi disc depth, the trophic state of Lake Juam can be classied as mesotrophic lake. The phosphorus inputs from non-point sources are concentrated in heavy rain episodes during the monsoon season. As a result, phosphorus concentration are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P loading from the watershed were estimated to be $0.9\;gPm^{-2}yr^{-1}$, which correspond to a boundary of the critical loading ($1.0\;gPm^{-2}yr^{-1}$) for eutrophic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lgal assay, both phosphous and nitrogen act as limiting nutrients in algal growth.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Lake Juam was similar to that observed in other temperate lakes. Diatoms (Asterionella formosa and Aulacoseira granulate var. angustissima)fujacofeira BraHuJafa uar. aHgusHrsiaia) weredominant in spring and winter, cyanobacteria) were dominant in warm season. The organic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of lake sediment were $9.5{\sim}14.0\;mgC/g$, $1.01{\sim}1.82\;mgN/g$ and $0.51{\sim}0.65\;mgP/g$, respectively. The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from the watershed and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by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were determined to be 1,122 tC/yr and 6,718 tC/yr, respectively. To prevent eutrophication of Lake Juam, nutrient management of watershed should be focus on reduction of fertilizer application, proper treatment of manure, and conservation of topsoil as well as point source.
수자원관리에 중요한 육수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3년 6월에서 1994년 5월까지 주암호에 대하여 월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의 투명도, 엽록소 a, 총질소, 총 인농도 및 일차생산력은 조사기간 각각 1.7${\sim}$4.5 m, 0.9${\sim}$12.5 mgChl/m$^{3}$, 0.53${\sim}$1.48 mgN/l, 6${\sim}$29 mgP/m$^{3}$, 304${\sim}$2,549mgCm$^{-2}$day$^{-1}$로 이들의 하계 평균농도로 산정한 주암호의 영양상태는 중영양호로 해당된다. 유역으로부터의 인 유입은 집중호우시에 다량 유입되기 때문에 총인 농도도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다. 주암호의 연간 수면적당 인부하량은 0.94gPm$^{-2}$yr$^{-1}$로 부영양화 임계부하량(1.0gPm$^{-2}$yr$^{-1}$)에 거의 근접하고 있다. 주암호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제한영양소 조사결과 인과 질소가 동시에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별 천이양상은 온대호수의 일반적 경향과 같이 동계에 춘계에는 규조류(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가 우점하였고, 하계에는 남조류(Microcystis aeruginosa, M. sp., M. viridis)가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유생이 연중 우점하였고 8월에는 요각류 유생 이외에 지각류인 Bosminopsis longirostris가 각각 우점하였다. 조사기간 주암호 퇴적물의 조사 정점별 유기탄소 및 인, 질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9.5${\sim}$14.0 mgC/g, 1.0${\sim}$1.82mgP/g, 0.51${\sim}$0.65mgN/g의 분포를 보여주었다. 주암호 유역으로부터의 유기물 유입량은 1,222 tonC/yr이며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에 의한 자체생성유기물량은 6,718 ton/yr으로 전체 유기물부하량중 자체생성 유기물 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암호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앞으로의 유역관리는 점오염원의 관리와 더불어 비료사용량의 축소, 축산분뇨의 적절한 처리, 토양유실방지등 유역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