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고등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안 -대학 동일전공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Interior Design Major Curricula at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nterior Design Major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 천진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전공) ;
  • 오혜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전공) ;
  • 김대년 (서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건축학과)
  • 발행 : 2002.02.01

초록

본 연구는 실업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실업고, 2(4)년제대학의 교육과정이 각각 분석.비교되었고, 실업고 재학생, 교사,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빈도분포와 백분율로 통계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1실업고에서 전공교육의 비중은 왜 높았으나 실내 디자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교과내용은 그리 많지 않았고, 홍미도와 중요성에 따라 실내디자인 전공 교과서의 활용도를 더 높이되 공업계.상업계 교과서 중 실내디자인 관련 부분을 발췌.사용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할 것이다. (22년제와 4년제대학의 전공이수학점 수는 비슷하였고, 2년제가 실내디자인실기.컴퓨터디자인.표현기법 등 실무를 위한 교과목 비율과 중요도가 매우 높은 반면 4년제는 전공실내디자인 비율이 특히 높고 연구능력함양, 전공특화를 위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선택의 폭이 높았다. (3실업고를 대학과 비교한 결과, 실업고는 대학과 근접한 교육을 지향 하나 전문기능인 양성을 위한 체계성.전문성이 부족하므로 실내디자인과 관련이 적은 교과목을 실무와 실기능력 함양을 위한 교과목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실내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은 실업고 학생들에게 CAD, 시공업무가 가장 적합하고 실업고 특화를 위해 이 과목들과 실내디자인실기와 가구과목 등이 강화되어야함을 밝혔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실업고에서는 대학과의 차별화, 산업현장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되, 현장연계교육과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interior design as a major at vocational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improve their curricula. The questionnaires of students, teachers, and interior designers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distribution and mea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showed that the alloted times with major fields were high, but those with classes related to interior design were comparatively low at vocational school. Vocational schools did not seem to supply the systemic and qualified major equation for the students who wanted to engage in interior design fields. Therefore curricula reflecting the demand of designers working for interior design companies and students should be made. Additionally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based on interior design field and achievement of certifi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vitalize the vocational scho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