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당뇨병 환자의 자율신경계 합병증에 관한 연구

Autonomic Neuropathy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Mellitus

  • 유은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안선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덕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Yoo, Eun-G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S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uk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3.01.27
  • 심사 : 2003.04.10
  • 발행 : 2003.06.15

초록

목 적 :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이상은 청소년기 당뇨병 환자의 7.7-28%에서 동반되며,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은 심장 교감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돌발성 부정맥 및 돌연사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소아 및 청소년기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이상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파악하여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 8-26세의 1형 당뇨병 환자 80명(남자 27명, 여자 53명)과 2형 당뇨병 환자 12명(남자 4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발살바 동작시 R-R 간격의 변화(발살바 비), 심호흡시 심박수의 변화, 기립시 R-R 간격의 변화(30 : 15 비), 기립성 저혈압의 4가지 항목에 대하여 검사를 시행하여 환자의 연령, 유병기간, 당화혈색소, 소변 알부민 배설량, 신경전달속도 이상 및 당뇨병성 망막증 유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검사 당시 연령 및 평균 유병기간은 1형과 2형 당뇨병 환자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병의 발병연령은 2형에서 더 높았다. 체질량지수는 1형에 비해 2형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 혈압 및 당화혈색소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1형 당뇨병 환자의 22.5%에서 조기, 8.7%에서 중등도, 1.3%에서 심한 자율신경병증에 해당하였으며, 2형의 경우 16.7%에서는 조기, 8.3%에서 중등도, 8.3%에서 심한 자율신경병증에 해당하였다. 전체적으로,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 이상은 1형의 32.5%에서, 2형의 33.3% 에서 나타나 빈도에 있어서 두 군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형에서는 발살바 비와 유병기간 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형에서는 발살바 비와 연령, 심호흡시 심박수 변화와 당화혈색소, 그리고 기립성 저혈압과 유병기간 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1형과 2형 당뇨병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시행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상, 연령(OR=1.133(1.003-1.279), P<0.05) 및 유병기간(OR=1.148(1.009-1.307), P<0.05)만이 자율신경 기능 이상의 의미있는 예측인자로 나타났으며, 당화혈색소, 혈압, 소변 알부민 배설량, 신경전달속도 이상 및 당뇨병성 망막증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다. 검사항목 중 발살바 비는 31.5%의 환자에서, 심호흡시 심박수의 변화는 41.3%의 환자에서 경계역 또는 이상소견을 보인 반면, 30 : 15 비 및 혈압변화는 각각 14.1%, 9.8%에서 경계역 또는 이상소견을 보였다. 발살바 비(OR=0.001(0.000-0.083), P<0.01)와 심호흡시 심박수의 변화(OR=0.840(0.754-0.934), P<0.01)는 자율신경 기능이상 유무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쳤으나, 30 : 15 비 및 기립성 저혈압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 론 :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이상은 소아 및 청소년 당뇨병 환자의 32.6%에서 동반되었으며, 중등도 이상의 뚜렷한 자율신경 기능이상도 10.8%에서 관찰되었다. 혈당 조절이 양호한 환자에서도 자율신경계 합병증의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 연령 및 유병기간이 증가할수록 그 위험은 더욱 증가하였다. 소아 및 청소년기 당뇨병 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검사시, 발살바 비와 심호흡시 심박수의 변화가 가장 유용한 검사 항목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and its relationship to risk factors in adolescents with diabetes mellitus(DM). Methods : Ninety-two diabetic patients(80 with type 1 DM and 12 with type 2 DM), ranging from eight to 26 years of age, were studied for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to age, duration of diabetes, glycated hemoglobin(HbA1c), urinary albumin excretion, and the presence of diabetic retinopathy and abnormal nerve conduction velocities(NCV) were analysed.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measuring heart rate variation during valsalva manoeuvre, deep breathing and standing from a lying position(30 : 15 ratio), and postural hypotension. Results : Among patients with type 1 DM, 22.5% had early, 8.7% had definite, and 1.3% had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and among patients with type 2 DM, 16.7% had early, 8.3% had definite, and 8.3% had severe autonomic dysfunction.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both type 1 and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age of the patient(OR=1.133(1.003-1.279), P<0.05) and duration of diabetes(OR=1.148(1.009-1.307), P<0.05) significantly predicted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while HbA1c, blood pressure, urinary albumin excretion, and presence of diabetic retinopathy and abnormal NCV did not. The valsalva ratio was borderline or abnormal in 31.5% of patients,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in 41.3%, the 30 : 15 ratio in 14.1%, and postural hypotension in 9.8% of patients. The valsalva ratio and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significantly predicted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but the 30 : 15 ratio and postural hypotension did not. Conclusion :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was found in 32.6% of diabetic patients and 10.8 % of patients had definite or severe involvement. The risk of cardiovascular autonomic dysfunction increased with the patient's age and the duration of D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lsalva ratio and the heart rate variation on deep breathing are the most useful tests in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