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Full-Time Housewife′s Employment

′가사노동 전담자′인 전업주부에게 취업은 대안인가 아닌가\ulcorner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복지전공)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is ethnographic case-study explores the interpretation and behavior in job considering among full-time housewiv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eleven middle class full-time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In-depth interviews based on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Six full-time housewives tend to think their full-time housewife-lives more convenient, something unable to substitute and more profitable compared to the counter partner's lives. But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for full-time housewife life. One group has found out more positive meaning in their life but the other group has not yet and they are doubtful about real life and other opportunity. In Contrast, other five full-time housewives tend to interpret employment as a more productive source to secure family resourc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repay the loan used to buy larger apartment. And the job is considered to confirm her own individuality and the feeling for the social entity as a competent social entity. But two of them who have never been employed do not try to get a job as a new identity alternative. And the various elements like household income, job experience, health, children's age and husband's attitude to his wife's employment etc. are defined to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and the job considering behavior among full-time housewives.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주(2003). 페미니스트 홈메이커 Ph.D. 서울:문예당.
  2. 김명혜(2000).백화점 문화센터와 소비문화시대의 주부정체성. 한국방송학보, 16(2), 7-40
  3. 김선미(1999).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6-31
  4. 김선미 . 이기영(2002), 인적자원활용관점에서 본 전업주부정책. 한국생활과학회지, 11(1), 13-29
  5. 김소영(2000). 주부의 자원 활동에 관한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학위논문
  6. 김창대(2004). 대상관계. 한국아동학회 2004 하계 제1차 아동 상담사 워크삽 자료집, 17-34
  7. 문옥표(1997). 도시 중산층의 가족생활과 주부의 역할, 성 가족 그리고 문화. 서울:집문당 189-234
  8. 박상미 . 김광억(1998). 한국 여성에 있어서 집안일의 의미와 정체성, 1980-1990년대 한국의 여성지위 변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자료집
  9. 박정희 . 유영주(1999). 주부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 관계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91-119
  10. 박희성(1994). 기혼자녀의 친모에 대한 애착과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신경아(1997). 한국여성의 모성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30대 주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12. 염영미(1998). 여성정책성 변화에 대한 연구-지역 여성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주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윤택림(199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도시 중산층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2(2), 79-117
  14. 윤택림(2002). 질적 연구방법과 젠더:여성주의 문화기술지의 정립을 향하여. 한국여성학, 18(2), 201-229
  15. 이상희(2000). 여가활동과 한국 중산층 전업주부의 문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6. 이재인(2004). 한국기혼여성의 생애이야기에 나타난 서사유형과 결혼생활.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학위논문
  17. 이형실(2000).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생활 및 직업생활 경험과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15-24
  18. 장혜경 . 김영란(1998). 취업주부의 역할분담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 장혜경 . 김영란(2000). 전업주부의 심리 . 정서적 안녕과 갈둥예방을 위한 제언. 한국여성개발원
  20. 정현희 . 구혜령(2001). 도시전업주부의 사회활동 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21세기 주부문화연구소 내부자료
  21. 조용환(1999).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교육과학사
  22. 조혜정(1981). 부부간의 권력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본 취업, 비취업주부의 연구. 한국사회학, 15, 37-47
  23. 조혜정(1997). 한국의 가부장제에 관한 해석적 분석, 성 가족 그리고 문화. 서울:집문당, 9-72
  24. 조희금, 이연숙(1998). 취업기혼여성의 노동부담 및 대처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125-139
  25. Spradely J.P.(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Holt, Reinhart & Winston, 이희봉 역 (1996).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6. Susan K.raus Whiteboume(1986). The Me I Know:A Study of Adult Identity. New York:Springer-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