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erceiver's Personality on Visual Evaluation of Clothing

지각자의 성격특성이 의복의 시각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Hwang Mi-S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M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황미선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of visual evaluation according to perceiver's personality(introvert-extrovert) and clothing styles. Subjects were 120 women in age from 18 to 31 years in Seoul. The stimuli of 7 clothing styles were used for visual evaluation. Three dimensions of visual evaluation were derived by falters analysis: elegance, activity individuality, and fashionability. The pants suit was estimated low in activity individuality and fashionability, but the hip-hop style high in activity individuality. The skirt suit was rated high in elegance, but the 8th length pants low in elegance. Persona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evaluation of activity individuality. Extrovert women perceived all stimuli to be more active and individual than introvert. Fashionability factor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personality and clothing expenses. The introvert women in low clothing expenses group evaluated the stimuli to be more fashionable than the introvert in high clothing expense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all clothing styles according to personality. Extrovert women liked 8th length pants more than introvert. The introvert women in low clothing expenses group liked the skirt suit less than the extrovert.

Keywords

References

  1. Sweat, S. J., & Zentner, M. A. (1985). Attributions toward female appearance styles, in Solomon, M. R. ed. The Psychology of Fashion. Lexington. Mass.: D. C. Health and Co., pp, 321-334
  2. Paek, S. L. (1986),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 perception personal trai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1), pp. 10-16 https://doi.org/10.1177/0887302X8600500102
  3. Thurston. J. L.. Lennon, S. J.. & Clayton, R. V. (1990). Influence of age, body type, fashion, and garment type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9(2), pp, 139-150 https://doi.org/10.1177/1077727X9001900204
  4. 류숙희. 류지은 (2001a). 여성 의복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지각자 특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9(4), pp. 639-651
  5. Delong, M. R.. Salusso-Deonier. C.. & Larntz, K. (1983), Use of perceptions of female dress as an indicator of role definitio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1 (4), pp. 327 - 336 https://doi.org/10.1177/1077727X8301100402
  6. 김광경, 강혜원 (1992). 남성적 . 여성적 의복이 직장 여성의 직업특성과 직업적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I ): Suit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2), pp. 1-20
  7.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 대전 지역 남 . 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12-320
  8. 이미연, 이명희 (2000).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제1보): 실루엣과 네크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24-735
  9. 이현화, 박찬부 (1990). 지각자의 성격변인에 따른 의복단서의 인상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 (3), pp 341-352
  10. 류숙희, 김보연 (2001), 자기 이미지가 의복 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9 (5), pp. 734-746
  1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개정판) 서울: 교문사, p. 206
  12. Kahng, H. (1971). Clothing interests and clothing aspirations associated with selected social-psychological factor for a group of college wome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p. 65-79
  13. 강혜원 (1974). 대학생의 개성과 유행을 중심으로 한 의상행위와 성격특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논총, 11, pp. 349- 375
  14. 박길순 (1981). 직물문앙의 기호와 내향성 외향성 성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홍선옥 (1983), 성인 남자의 의복행동과 사회적 내향 성-외향성 성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미혜, 이인자 (1990). 성격차원이 선호 의복 상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8(3), pp 13-24
  17. 유경숙, 이명희 (1998) 외향성-내향성, 성별 및 연령과 의복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pp. 105-114
  18.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 (2001).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p. 148
  19. Allport, G. (1937), Personality: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Henry Holt & Co. p. 500
  20.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p. 159
  21. Sweat, S. J., & Zentner, M. A. (1985). Attributions toward female appearance styles, in Solomon, M. R. ed. The Psychology of Fashion. Lexington. Mass.: D. C. Health and Co., pp, 321-336
  22. Butler, S., & Rossel, K. (1989). Research note: The influence of dress on student' perceptions of teacher characteristic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7(3), 57-59 https://doi.org/10.1177/0887302X8900700309
  23. Thurston. J. L.. Lennon, S. J.. & Clayton, R. V. (1990). Influence of age, body type, fashion, and garment type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9(2), pp. 139-150 https://doi.org/10.1177/1077727X9001900204
  24. Bell, E. L. (1991). Adult's perception of male garment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 pp, 8-12 https://doi.org/10.1177/0887302X9101000102
  25. Behling, D. (1995). Influence of dress on perception of Intelligence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with minority populations. Clothing & Textiles Research Journal. 13(1). pp. 11-16 https://doi.org/10.1177/0887302X9501300102
  26. 강혜원, 이주현(1990).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의복의 의미(1) : 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4(1), pp 31-43
  27. 남미우, 강혜원(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28. 이미숙(1995). 의복의 격식차림, 음양수준 및 아동체형이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전호경. 황선진 (1998). 직장상황 임산부의 의복스타 일과 직업유형이 호의도와 업무수행능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6), pp. 706-715
  30. 방희선. 고애란 (1999). 청소년의 의복스타일이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11), pp 1-17
  31. 류숙희, 김보연 (2001), 자기 이미지가 의복 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9 (5), pp. 734-746
  32.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pp 41-53
  33. 김영인 (1989), 선호 디자인 감각에 따른 의복구매자 유형과 관련된 생활양식 특성에 관한 연구(2), 의복 구매자 유형과 스타일 선호 및 구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3( 4). pp. 412-426
  34. 류숙희, 김보연 (2002). 연령에 따른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호도.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8, pp. 63-74
  35. 정삼호 (1989) 성인여성의 체형과 연령에 다른 의복 디자인 선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64
  36. 임숙자 (1992). 여대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8
  37. 정삼호, 문선정 (2001) 연예인 유행스타일 선호도에 다른 유행선도력 및 의복태도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 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집, 14, pp. 163-186
  38. 이승희, 임숙자 (1998)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의 추구혜택 및 의복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7), pp 942-951
  39. 장혜원 (1996).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 p 52
  40. 류숙희, 류지은 (2001b). 첫인상 형성 상황에서의 이상적 여성상과 의복스타일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5(4). pp. 817-827
  41. CC Club. 자료검색일. 2002. 10. 3, 자료출처 http://www.ccclub.co.kr
  42. Fubu. 자료검색일. 2002. 10. 3, 자료출처 http://www.fubu.co.kr
  43. Levi's Korea. 자료검색일. 2002. 10. 3, 자료출처 http://www.levi.co.kr
  44.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4-76
  45. 주소현, 이경희 (1999),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1), pp. 78-89
  46.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47. 장혜원 (1996).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9-375
  48.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379-391
  49. 박소향, 김인숙 (1994), 남자대학생의 여성복 이미지 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70-179
  50. 이명희 (2003) 지각자의 유행관여가 의복색 지각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7), pp. 851-861
  51. 김일분, 유태순 (1998).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 pp. 10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