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ual Fluctuation (2000 ${\sim}$ 2003) of Water Quality and Cyanobacterial Abundance in the Lower Part of Han-River

한강 하류의 남조류 및 환경요인의 연간 (2000 ${\sim}$ 2003) 변화에 대하여

  • Suh, Mi-Ye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Hanyang Universit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Environment) ;
  • Kim, Baik-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Hanyang University) ;
  • Bae, Kyung-Seo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Environment) ;
  • Han, Myung-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Hanyang University)
  • 서미연 (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백호 (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
  • 배경석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한명수 (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For 4 years (2000 ${\sim}$ 2003), annual fluctuations of standing crops of cyanobacteria 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examined at five sites from Bridge of Seungsoo to Bridge of Seungsan in the lower part of Han River. The cyanobacterial abundance (ND to 4,167 cells $mL^{-1}$) was strongly decreased during the heavy rains in every year. During the similar periods in 2003, cyanobacteria hardly observed, and comprised below of 10 percentage of total phytoplankton. In the period of little cyanobacteria, some green algae and diatom domin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hile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has not largely chan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avy frequent precipitation strongly limited the growth of cyanobacteria, and lead an algal succession by the appearance of new algal groups.

한강 중하류의 남조류 및 환경요인의 연간변화 (2000 ${\sim}$ 2003)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년간 성수대교에서 성산대교까지 총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계의 기초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남조류의 현존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장기간 강우가 가장 많았던 2003년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총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대한 남조류의 기여도는 약 10%범위내였다. 이러한 현상은 매년 강우집중기 동안 팔당댐으로부터 많은 방류수가 유입됨으로서 수온감소는 물론 광량감소, 영양염류 희석 등에 의한 남조류의 성장이 제한된 것으로판단되며, 동일시기에 다른 조류 (녹조, 규조 등)의 높은 성장으로 엽록소 a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한강 하류의 고온기 동안 남조류 성장은 잦은 강우와 방류에 의해 제한을 받지만 규조나 녹조와 같은 다른 조류들의 높은 성장으로 대치되는 천이현상을 보였으며, 기후영향을 크게 받는 전형적인 하천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철, 김동섭, 황길순, 최광순, 허우명, 박원규. 1996. 부영양화 한 낙동강 수계에서 유기물 오염에 대한 조류 1차생산의 기여도, 한국조류학회지 11: 231-237
  2. 김범철, 안태석, 조규송. 198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1: 151-163
  3.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의 강우가 낙동강 하류 (물금)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 160-171
  4. 서울특별시. 1998.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5. 서울특별시. 1999. 한강 조류발생 방지대책 및 수질개선 방안 연구
  6. 심재형, 최중기. 1978. 한강하류에 있어서 부유성 조류군집의 구조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3: 31- 41
  7. 이진환, 장 만. 1997.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0: 193-202
  8. 유호식. 2004. 한강수질의 월변동성에 관한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0: 352-356
  9.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2003.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5. 식 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징. Algae 18: 255-262 https://doi.org/10.4490/ALGAE.2003.18.4.255
  10. 최재범. 1990. 한강종합개발과 관련한 한강의 수질개선효과 (보고). 한국하수도학회지 1: 38-44
  11.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 141- 149
  12. 환경부. 1997.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3. Andersen R.J., H.A. Luu, D.Z.X. Chen, C.F.B. Hol mes, M.L. Kent, M. Le Blanc, F.J.R. Taylor and D.E. Williams. 1993. Chemical and biological evidence links microcystins to salmon 'netpen liver disease'. Toxicon 31: 1315-1323 https://doi.org/10.1016/0041-0101(93)90404-7
  14.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189 https://doi.org/10.1023/A:1026578117878
  15.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 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 27-49 https://doi.org/10.1023/A:1025602213674
  16. Carmack, E.C. 1979. Combined influence of inflow and lake temperature on spring circulation in a riveraine lake. J. Phy. Oceanogr. 9: 422-434 https://doi.org/10.1175/1520-0485(1979)009<0422:CIOIAL>2.0.CO;2
  17. Devidze, M. 1998. Harmful algal events in Georgian waters. In: Harmful Algae (Reguera B, Blanco J, Fernndez L, Wyatt T, eds). Vigo, Spain:Xunta de Galicia, Paris, France: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p. 91
  18. Granhall, V. and B. Berg, 1972. Antimicrobial effects of Cellvibrio on blue-green algae. Arch. Microbiol. 84: 234-242
  19. Lee, K. and S.K. Yoon. 1994. Morphologic accounts of the diatom genus Aulacoseira, the dominant of the Han River. Kor. J. Phycol. 9: 135-143
  20. OECD. 1983. Eutrophication of waters. 3rd ed. W.B. Saunders. Philadelphia
  21. Penaloza R., M. Rojas, I. Vila and F. Zambrano. 1990. Toxicity of a soluble peptide from Microcystis sp. to zooplankton and fish. Freshwater Biol. 24: 233-240 https://doi.org/10.1111/j.1365-2427.1990.tb00705.x
  22. Rheinhermer, G. 1985. Aquatic Microbi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45-184
  23. Rodger H.D., T. Turnbull, C. Edwards and G.A. Codd. 1994. Cyanobacterial (blue-green-algal) bloom associated pathology in brown trout, Salmo trutta L., in Loch Leven, Scotland. J. Fish. Dis. 17: 177-181 https://doi.org/10.1111/j.1365-2761.1994.tb00211.x
  24. Toranzo, A.E., F. Nieto and J.L. Barja. 1990. Mortality associated with cyanobacterial bloom in farmed rainbow trout in Galicia (Northwestern, Spain). Bull. Eur. Assoc. Fish. Pathol. 10: 106-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