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errain Change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using GIS

GIS를 이용한 광산개발지역의 추이 현황 분석

  •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re is a need to restore the terrain back its natural environment after mining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original and developing surfaces for post-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terrain change to develop a process for efficient restoration plan.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change to the terrain by annual mining development using GIS. Contours digitized with CAD based on photogrammetry are classified into annual data and created by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By producing profiles and cross sections using TIN, many stations are distinguished. As a result of the terrain changes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from 2000 to 2003 by operating elevation values each cell converted to raster from TIN, $11,094,460m^3$ are cut and $5,127,968m^3$ are filled up to 46% of cut volume, and annual surface changes of cut and fill area to mining are analyzed to visual and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is used for the restoration plan and additional min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annual change,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can be used to return the terrain close to its original condition for finished mining area.

광산 개발 후 자연환경과 유사한 지형으로의 복원 및 복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사후 관리를 위하여 원 지형과 개발중인 지형에 대한 특성 비교가 필요하며, 효율적인 복원계획을 위한 개발 진행에 따른 지형의 추이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년별 광산개발에 따른 지형의 추이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공사진측량으로 수치화 된 캐드 자료중 년도별로 등고선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 불규칙삼각망으로 생성하였다. 수치지형모형인 불규칙삼각망을 통해 종 횡단면을 작성하여 변화량이 많은 지점들을 판별할 수 있었으며, 불규칙삼각망을 래스터로 변환하여 각 셀별 고도 값을 연산함으로써 2000년부터 2002년과 2003년까지 광산개발로 인한 지형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11,094,460m^3$가 절토되고 절토량의 46%인 $5,127,968m^3$이 성토되었다. 또한 채굴에 따른 년도별 절 성토 지역의 표면 변화 양상을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광산개발에 따른 년별 추이 현황 비교는 채광이 완료되는 지역의 경우 성토를 통해 최대한 과거 지형에 근접하도록 설계할 수 있도록 광산 추가개발 및 복원계획에 대한 자료로 사용가능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장용구, 김상석, 김윤수 (2002), 3차원 지형모델을 이용한 면적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0권, 제 2호, pp. 7-14
  2. 고제웅, 정영동 (1999),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가시권에 따른 경과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7권, 제 2호, pp. 153-160
  3. 김대형, 이경한 (1999), 석회석광산개발관련 환경규제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월간 자원정보, 5월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문일석, 전재홍, 조규전 (1995), DTM에서의 토공량의 산정방식에 따른 토공량의 정확도 비교, 한국측량학회지, 학국측량학회, 제13권, 제2호, pp.277-283
  5. 신봉호, 양승용, 엄재구, 송왕재 (1996), 3차원 지형 모델링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4권, 제 2호, pp. 151-157
  6. 안철호 외 9인 (1991), 위성영상을 이용한 3차원 정사투영 영상 생성법에 관한 연구, 국방과학연구소, p. 228
  7. 양인태, 한성만, 윤희천, 김흥규 (2004), 사용자중심적 GI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시계열적 원격탐사 영상의 변화탐지 기법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2권, 제 2호, pp. 151-159
  8. 최승필, 양인태 (2003),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지표변화정보 추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1권, 제 3호, pp 261-267
  9. 최철웅, 곽재하, 박상길, 강인준 (1995), 경년변화추출가법을 이용한 해안지형변화 예측,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3권, 제 2호, pp. 169-176
  10. Jay Lee (1991), Comparision of existing methods for building triangle at irregular network models of terrain from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rmation Systems (IJGIS), Taylor and Francis Ltd. Vol. 5, No.3, pp. 267-285 https://doi.org/10.1080/02693799108927855
  11. Naser EI-Sheimy (1998), Digital Terrain Modeling (ENGO 573), Department of Geomatics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Calgary, pp.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