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Elsie T. Freeman, 'In the Eye of the Beholder: Archives Administration from th User's point of View,' The American Archivist, Vol.47, No.3(1984), p.116
- 주웅영, '제 7차 교육과정을 통해 본 역사수업 환경의 구조와 성격,' 역사교육논집, 제26호(2000), pp.144-146
- 주웅영, '제 7차 교육과정을 통해 본 역사수업 환경의 구조와 성격' 역사교육논집, 제26호(2000), pp.150
-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7) (서울: 교육부, 1997), p.85
-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7) (서울: 교육부, 1997), p.127
-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7) (서울: 교육부, 1997), pp.82-114
- Mary Jo Pugh,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2nd ed.(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5), pp.282-290
- Hendry, Julia,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Vol.70, No.1(2007), p.115
- Hendry, Julia,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Vol.70, No.1(2007), p.114
- Anne J. Gilliland-Swetland, 'An Exploration of K-12 User Needs for Digital Primary Sources Materials,' The American Archivist, Vol.61, No.1(1998), pp.136-157
- Anne J. Gilliland-Swetland, Yasmin B. Kafai, and William E. Landis, 'Integrating Primary Sources into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 Case Study of Teachers' Perspective,' Archivaria, No.48(1999), pp.89-116
- Julia Hendry,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Vol.70, No.1(2007), pp.114-129
- Sharon Anne Cook, 'Connecting Archives and the Classroom,' Archivaria, No.44(1997), pp.102-117
- 강성기, 초등학교에서 향토사 자료를 활용한 사회과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강원대 교육대학원, 1998).장재훈, 고지도를 활용한 연기지역 향토사 학습 방안(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2).우주영, 국사과 수업 시 향토사 자료 활용(석사학위논문, 안동대 교육대학원, 2002).이문숙, 서천지역 향토사 자료를 활용한 국사학습 지도 방안(석사학위논문, 건양대 교육대학원, 2003).배수일, 향토사 자료를 활용한 국사 학습 지도 방안 연구: 구미지역의 서원자료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3).오금춘, 고등학교 국사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지역사 자료 활용 방안: 전북 익산지역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원광대 교육대학원, 2004).김금희, 사회과 교육에서 향토사 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역사수업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순천대 교육대학원, 2005)
- 김민정, 중학교 국사 교육에서의 향토사 자료 활용 실태와 분석: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계명대 교육대학원, 2003)
- 이재희, 전국역사교사모임의 활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 교육대학원, 2005)
- 본 연구 계획시에는 전국역사교사모임의 16개 지역모임 전체를 설문대상으로 설정하고, 전국역사교사모임 본부에 설문지원 요청을 하였으나 개인연구자의 요청이므로, 개별 지역모임의 대표와 연락하라는 답신을 받았다. 16개 지역모임의 대표에게 이메일과 전화를 통하여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요청을 하였으나, 요청에 응한 모임은 2개 지역모임이었다
- 두 가지 이상으로 그 이유를 설명한 경우 개별 처리하였음
-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7) (서울: 교육부, 1997), pp.82-114
- Hendry, Julia,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Vol.70, No.1(2007), p.114
- 김상호, '기록보존소 발행 교육용 사료집에 관한 고찰: 호주와 미국, 영국 국립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4권, 제1호(2004), p.99
- 심성보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성 및 개발절차,' 한국기록학회 제55회 월례연구회 발표문. 2007.9.15. p.41
- Hendry, Julia, 'Primary Sources in K-12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Vol.70, No.1(2007), p.114
- Anne J. Gilliland-Swetland, 'An Exploration of K-12 User Needs for Digital Primary Sources Materials,' The American Archivist, Vol.61, No.1(1998), pp.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