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loyment conditions and Career planning of ex-participants of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CTP)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an specific Small and Medium Business

기업·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의 근로여건과 경력설계 실태

  • Lim, Se Yung (Korea Univ.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Choi, Hyun Sook (HR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Univ.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임세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최현숙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연구소)
  • Received : 2008.07.20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mployment conditions and career planning of ex-participants of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CTP)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the specific Small and Medium Business through 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1. The average ex-participant of CTP was employed in small size company with 50 employees, earned 1~1.2 Million Won monthly, worked about 50 hours per week. 2. They were earnestly considering and worried about their career. They had their career goals : Engineer in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CEO of a company, Design engineer. 3. They were not able to invest enough time and energy in developing their capabilities and skills. 4. There were feelings of respondents, which the main barriers of their career achievement were : (1) their deficiency of personal competencies and endurance. (2) not time enough to learn (3) the fallacy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atmosphere.

이 연구는 기업 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의 경력설계 및 개발 촉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업 공고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개념과 관련 정책, 경력설계 및 개발 이론을 검토하고 프로그램 수료 후 어떤 경력발달이 가능한지를 구안해보았다. 그리고 아직은 수료자들이 경력설계 초기단계에 있지만 향후 자신의 경력을 개발해 나가기 위해 현재 어떻게 근무하며 성장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수료한 근로자의 근무현황과 경력설계 및 개발 실태를 설문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료근로자들은 평균적으로 기업규모가 50여명 되는 기업에서 주당 50여 시간 근로하며, 초과근무수당 포함 월100만원~120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실습 시 단기간의 OJT를 통해 직무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으며, 선배근로자(46%) 혹은 직반장들(42%)의 도움을 받아 초기 직무를 습득하고 있었다. 자신의 경력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도 이들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료근로자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상당히 고민하고 있었다. 이들은 대다수가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맞춤프로그램과 관련된 분야에서 쌓은 경험을 유리하게 활용하여 성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는데, "제조생산기술자(31.7%)", "사장(30.5%)", "설계기술자(13.8%)", "연구개발기술자(12.0%)" 등의 순서로 경력개발목표를 설정하였다. 넷째, 수료근로자들은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었다. 목표 달성을 위해 하는 노력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은 "상사의 지시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60.5%)이었다. 다섯째,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장애로 예상되는 것은 시간부족(31.7%), 능력부족(30. 5%), 의지력과 지구력부족(25.6%) 등 자기 자신과 관련된 것이었다. 소수가 회사의 분위기나 가족의 후원 부족이 장애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태(2005). 경력개발제도 운영 사례와 시사점 보고서. 서울 : 대한상공회의소
  2. 김흥국(2000). 경력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산출판사.
  3. 노동부(1999).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점검요령. 노동부 1999.6.
  4. 노동부 능력개발심의관실(1999). 맞춤훈련 시행지침. 노동부 1999.6.
  5. 이병철(1997). "한국기업의 경력개발제도 현황 및 개선방향". 임금연구. 가을. 경총.
  6. 이연복(2008).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진규(2001). 전략적.윤리적 인사관리. 서울. 박영사.
  8. 임세영․최현숙(2008). 직업교육체제혁신방양에 따른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교육과정 적절성제고를 위한 학교컨설팅.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소 2008. 2
  9. 중소기업청(2006). 기업․공고 연계 맞충형 인력양성사업 관계규정집. 중소기업청. 2006.10
  10. 중소기업청(2007a).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보고서. 중소기업청.
  11. 중소기업청․한국기술교육대학교(2007a). 기업․공고 맞춤형 교과과정개발 기본 매뉴얼. 중소기업청․한구기술교육대학교.
  12. 중소기업청․한국기술교육대학교(2007b). '07년 직장 적응 훈련 교사 연수자료. 중소기업청․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7.5
  13. 진미석․윤형한(2003). 성인의 진로개발체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4. 윤석천 외(2005). 기업. 공고 맞춤형 교과과정개발 기본매뉴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술교육혁신센터 2005.12. 미발간 연구보고서.
  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소. 2008학년도 산학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소. 2008.
  16. Arthur, M. B., Hall, D. T. & Lawrence, B. S. (1989). Generating New Directions in Career Theory. in: Handbook of Career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17. Dalton, G. W, Thompson, P. H. & Price, R. L.(1977). The four stages of professional career : A new look at preformance by professioal Organization Dynamics. New york :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Summer
  18. Feldman, D. C.(1988). Managing Career in Organizations. Scott, Foresman & Company
  19. Hall, D. T.(1976). Careers in organization. Santa Monica: Calf Goodyear Publishing Co.
  20. Hall, D. T., Mirvas, P. H. (1996). The New Protean Career: Psychological Success and the Path with a Heart. in D. T. Hall & Associates(eds.). The Career is Dead: Long Live the Career: A Relational Approach to Career. San Francisco: Jossey-Bass, pp.15-45.
  21. Hall, D. T.(1984).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 Fombrun, N. M. Tichy & M. A. Devanna, Strategic Human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159-182.
  22. Herr, E. L. (2001). Career Development and its Practice: A Historical Perspectiv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9(3), pp.196-211.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1.tb00562.x
  23. Leach, J (1976). Career Management : Focusing on Human Resources. The Personnel Administrator, Nov.
  24. Schein, E. H (1978), Career Dynamics : Match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Need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5. Sonnenfeld, J. (1985).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Homewood, III: Ir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