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ive Inquiry :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roduction to Engineering

공학입문 교과 실행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박경문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Narratively I have described interactions between two teachers performing an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class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place, teacher, student and subject. I have specifically illuminated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embracing the culture of the university, the college of engineering and the ABEEK(Accreditation Board of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timulate the students' motivation, the teachers have to make not only their class PowerPoint slides match the size of the classroom, but the content of the slides must be condensed with core concepts. They also should utilized some video clips to empower students' interest in the subject within their classrooms. Second, the teachers should do various class activities in the classroom. Instead of spending most of the class time with his/her explanation, it would be advantageous for the teachers to allow the students to perform a task in class. Third, the teachers should ask their students about assignments which are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planning of their future. Lastly, the teachers need to design the mid-term and the final tests inducing the students' motivation. Those tests also must test students' creativity and insight of the subject. Thus, the test should consist of an interpretive exercise and an essay type of item thus reducing the multiple choice types of item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the study.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what we found here because it is a case study. Second, we could not study in depth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eachers who were performing the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course during the academic semester. Third, this study just probed into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the course. Hence, we have to understand more by focusing on each issue such as adapting to a new learning environment as a student from abroad, a practical experience boosting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to the engineering course, also a practical experience on process based learning-versus result based learning, and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tudent team presentation etc.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장소, 교사, 학생, 교과목)을 중심으로, 특히 공학입문을 가르치는 두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특히 내러티브의 3차원적 탐구 공간 속에서 학교의 문화, 공과대학, 공학인증 프로그램 등을 바탕으로 공학입문이라는 교과목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학생의 흥미유발을 위한 두 교수의 실행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첫째,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파워포인터의 글씨나 배경이 좀 더 크고 선명하게 즉, 큰 강의실에 맞추어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 내용을 핵심내용으로 축소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영상의 소개가 이전보다 많아야 한다. 둘째, 교수방법으로는 설명위주로 주어진 자료를 강의하는 것을 자재하고, 매 수업시간에 수업내용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그룹 활동이나 개인 활동을 보다 많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과제물은 부족한 수업내용을 보충하고 본 수업 이후에도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험문항과 형식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객관식 위주 보다는 단답형 또는 서술형 주관식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생각과 깊은 통찰력을 물을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여러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케이스 연구이므로 이것을 일반화 하기는 무리가 있다. 둘째,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수들 간의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효과를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기 중 담당교수들 간의 정보공유와 그에 따른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와 효과를 다루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묘사하는데 그쳤다. 각 이슈들에 대한 묘사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슈들을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학교 적응이나 삶, 학생의 흥미유발 방법에 대한 실행경험, 과정중심 교육과 결과중심 교육의 실행경험, 팀 발표의 효과적인 운영 경험 등을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랑, 윤우영, 김복기 (2008).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평가 모형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42-49
  2. 김진수 (2007). 공학교육연구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내용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0(2). 19-43
  3. 이병기, 조벽 (1998). 미국의 공학교육 인증∙평가:ABET 공학교육 인증 소개. 공학교육과 기술, 5(3), 49-56
  4. 이희원, 민혜리, 이경우(2008).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3), 24-32
  5. Clandinin, D. J., & Connelly, M. F.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CA: Jossey-Bass
  6. Clandinin, D.J., & Connelly, M. F. (1988). Teachers as a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7. Clandinin, D. J., & Connelly, M. F. (1996). Teachers' professional landscapes: Teachers' stories-Stories of teachers-School stories-Stories of school. Educational Researcher, 25(3), 25-30
  8. Connelly, M. F.,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9005002
  9. Connelly, F. M. & Clandinin, D. J. (Eds). (1999). Shaping a professional identity: Stories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0. Craig, C. (2003). Narrative inquiries of school reform: storied lives, storied landscapes, storied metaphors.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11. Johnson, M. (1987).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Jong, T. D. (1996). Types and Qualities of Knowledge. Educational Psychologist. 31, 105-114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102_2
  13. Paivio, A. (1975). Perceptual comparisons through the mind's eye. Memory & Cognition, 3, 635-647 https://doi.org/10.3758/BF03198229
  14. Polanyi, M.(1962). Personal Knowled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Schö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16. Schwab, J. J. (1983). The practical 4: Something for curriculum professors to do. Curriculum Inquiry, 13(3), 239-265 https://doi.org/10.2307/1179606
  17. Wagner, R. K. (1991). Managerial problem solving. In R. J. Sternberg &P. A. Frensch (Eds.), Complex problem solving: Principles and mechanisms (pp. 159 18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