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s of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between the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Sesamum indicum in Keumsan Area

금산 지역 들깨와 참깨의 비호정성 원소 함량 비교

  • 송석환 (중부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김일출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This study is for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of Perilla frutescens and Sesamum indicum from the Keumsan: biotite granite, phyllite and shale areas. In the soils, high elements are shown in the granite and phyllite areas, and in the areas of the Perilla frutescens. Positive correlations are distinctive within the granite for the Perilla frutescens, but the shale for the Sesamum indicum. These relationships can be explained with relative propositions of minerals containing the incompatible element. In the plants, high elements are shown in the shale and the Sesamum indicum are high in the comparisons of the same soil types. The low parts are mainly high. Regardless of the soil types, the lower and upper parts, respectively, are high in the Y, Zr and Rb contents for the Perilla frutescens, but, Ta, Nb, Th and U contents for the Sesamum indicum. Positive correlations are distinctive within plants of the phyllite. Comparing with the soil types, all HFS and Cs contents of the LFS in the plants are low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o hundred times, but high in the Sr contents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In the comparisons between plants and soil types, Y, Zr, Hf, Ta, Nb, Rb, and Sr of the phyllite and Th, U, Ba and Cs of the shale for the Perilla frutescens as well as Y, Zr, Hf, Rb, Sr, Ba and Cs of the phyllite and Ta, Nb, Th and U of the shale for the Sesamum indicum are chemically similar to the soils. In the comparisons of the each parts for the plant types, differences with the soils are big in the granite.

3 토양별 조성 비교에서 식물체 종류에 관계없이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셰일 지역은 낮은 원소가 많았다. 각 식물체별 토양 함량 비교는 대부분 원소가 들깨 지역에서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정의 관계가 들깨 재배지는 화강암 지역이, 참깨 재배지는 셰일 지역이 우세하였다. 토양별 절대 함량 관계와 토양 내 원소 함량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토양내 특정 원소를 함유하는 광물의 함유 비율 탓으로 해석된다. 식물체에 대한 3 토양별 비교에서 들깨와 참깨 모두, 셰일 지역이 높았고, 화강암 지역이 낮았다. 들깨와 참깨에 대한 토양별 비교에서, 참깨가 들깨보다 높은 원소가 많았고, 특히 참깨 재배지의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많았다. 토양 차이를 무시한 각 식물체 내, 상, 하부의 절대 함량 비교에서 지역 및 식물의 종에 관계없이 대부분 비호정 원소가 하부에서 높음을, 공히 Rb, Sr은 상부가 높음을 암시한다. 상, 하부 각각의 절대 함량에 대한 종간의 비교 시 상, 하부 공히 Y, Zr, Rb는 들깨가, Ta, Nb, Th, U 에서는 참깨가 높음을 암시한다. 연구 지역 식물체들의 종간, 부분별 원소 흡수 정도는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의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이 될 수 있을 듯하다. 상관관계에서 들깨 및 참깨 모두 천매암 지역이 정의 관계가 우세하였다. 이는 토양 내 이 들 성분을 구성하거나, 교대하는 광물과, 이들의 2차 광물인 점토광물의 함량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각 지역별 전체 평균값에서 토양과 식물의 상, 하부 평균 함량의 비(토양/식물체)는 식물의 종 및 토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HFS와 LFS 중 Cs는 수 배에서 수 백 배 차이로 토양이, LFS 중 Sr은 수 배 차이로 식물체가 높음을 암시한다. 3 종류의 토양과 각각 식물체의 상, 하부 평균값의 함량 비교에서, 들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Ta, Nb, Rb, Sr, 셰일 지역의 Th, U, Ba, Cs, 참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Rb, Sr, Ba, Cs, 셰일 지역의 Ta, Nb, Th, U가 토양 조성에 가까웠다. 토양과 식물체의 상, 하부 함량 비의 비교 시, 들깨 및 참깨 공히, 3 비교 토양의 상, 하부 모두에서, 화강암 지역이 제일 커서, 화강암 지역의 토양과 식물체의 함량 차이가 제일 큼을 암시한다. 3 토양과 식물체의 부분별 함량 비교에서, 참깨, 들깨 공히 하부는 천매암 지역에서, 토양의 조성에 가까움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lina, K. P. and P. Henryk. 1985.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2. Bin, Y. H., Z. R. Choe, M .S. Yang, and S. H. Park. 1988. Effects of date and degrees of defoliation on seed yiel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erilla (Perilla ocymoides L.). Korean J. Crop, Sci. 33(2) : 182-188
  3. Chaney, R. L., M. Malik, Y. M. Lee, S. L. Brown, J. S. Angle, and A. J. M. Baker. 1997. Phytoremediation of soil metals. Manuscript for Current opinions in biotechnology
  4. Deer, W. A., R. A. Howei, and J. Zussman. 1966. An introduction to rock-forming minerals. Longman Group Ltd., London
  5. Hoffaman, E. L 1997.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in geoanalysis. J. Geochemical Explor. 44 : 297-319 https://doi.org/10.1016/0375-6742(92)90053-B
  6. Homer, F. A., R. S. Morrison, R. R. Brooks, J. Clemens, and R. D. Reeves. 1991. Comparative Studies of Nickel, Cobalt and Copper Uptake by Some Nickel Hyperaccumulators of the Genus Alyssum. Plant and Soil 138 : 195-205 https://doi.org/10.1007/BF00012246
  7. Mason, B, and C. B. Moore. 1992.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8. Nanda, K. P. B. A., D. Viatcheslave, M. Harry, and R. Ilya, 1995. Phytoextraction: The use of Plants to Remove Heavy Metalsfrom Soils. Environ, Sci. Technol. 29 : 1232-1235 https://doi.org/10.1021/es00005a014
  9. Oh, M. K., S. J. Yu, J. T. Kim, Y. S. Oh, Y. K. Cheong, Y. S. Jang, J. J. Park, and K. Y. Park. 1995. Flowing response to r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in perilla. Korean J. Crop. Sci. 40(5) : 222-226
  10. Park, J. H. and C. B. Yang. 1990. studies on the removal of phytate from Korean perilla (Perilla ocimoides L.) 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3): 343-349
  11. Reimann, C. and P. Caritat. 1998. Chemical elements in the environment. Springer-Verlag. Berlin
  12. Rollinson, H. 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Scientific. Technical, UK
  13. Salmons, W., U. Forstner, and P. Mader. 1995. Heavy metals: Problems and solution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4. Taylor, S. R. and S. M. McLennan. 1981. The Composition and Evolution of Continental Crust: Rare Earth Element Evidence from Sedimentary Rocks, Phil. Tran. Roy. Soc. A 301, 381pp https://doi.org/10.1098/rsta.1981.0119
  15. Velde, B. 1995, Origin and mineralogy of clays: Clay and Environment. Springer, Heidelberg, Germany
  16. 금산군청. 2006. 금산군청 홈페이지. www.geumsan.go.kr
  17. 김동관, 정찬식, 천상옥, 국용인, 김명석, 방극필. 2004.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한작지 49(3) : 184-187
  18. 농촌 진흥청. 1986. 식품성분표(제3개정판). pp. 3-31
  19. 농촌 진흥청. 1996. 식품성분표(제5개정판). pp. 3-96
  20. 류수노, 김관수, 이은정. 2002. 참깨의 품질 평가의 현황과 전망. 한작지 47(8) : 140-149
  21. 류수노, 이은정, 윤혜신, 강삼식. 2003. 참깨 리그닌 성분의 화학 구조와 생리활동. 한작지 48(8) : 65-71
  22. 송석환, 강영립, 김일출. 2005. 금산의 화강암 및 함탄질 셰일지역 토양내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2) : 251-259
  23. 송석환, 유선균, 민일식. 2006. 금산 지역 인삼의 비호정성 원소함량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30(3) : 135-152
  24. 이봉호, 류수노, 곽태순. 2002. 들깨 품질 평가 현황 및 전망. 한작지 47 : 150-162
  25. 정순주, 김월수, 차광홍, 한태호. 2004. 한국 원예 작물 도감. 전남대학교농업기술특성화사업센터
  26. 최석원, 김억수. 1996. 의학환경지구화학. 도서출판, 춘광
  27. 홍승호, 최위찬. 1978. 금산도폭. 자원개발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