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earing Status of the Near Visio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 for Presbyopia in Each Residential District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거주지별(충청남도와 경기도) 노안의 근거리 시력교정안경 착용 실태

  • Kim, Jung-He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 Lee, Young-Il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 Kang, Su-Ah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김정희 (동남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 이영일 (동남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 강수아 (동남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09.01.28
  • Accepted : 2009.03.06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wearing status of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s of elders who reside in a city or in a small town district. Methods: Each of opticians from a small town or a city was selected for the study of wearing status of presbyopia correction device for each residential district in units of percentage. with the analysis of the age and gender distributions of the elders, numbers of elderly members, and the kinds of presbyopia correction. Results: The wearing rate of progressive lens was reduced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age for the people of presbyopia in a twon. Pepople in 60s living in a town perferred to wearing bifocal lens, but people of 50~60s preferred to single vision lenses. However, none of people living in a city who is diagnosed as presbyopia had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 and no one used bifical lenses. The progressive lens was mostly used in the people of 40~50s and using rate of those lenses reduced with the age; and single vision lens had the highest rate of in the 40~50s but no one wore it in the 70s. Conclusions: Among the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s, the progressive lens was most widely worn by presbyopia group who is living in a town or a city. In particular, the refractive error correction devices were most preferred in 40~50s of early presbyopia.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progressive lens in the people with the early presbyopia indicates that the wearing rate of the progressive will be increased in future. Therefore, the opportunity of systematic education on the progressive lens should be increased.

목적: 사회생활이 비교적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 지역과 사회생활이 비교적 한정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농촌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읍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근거리 시력교정안경 착용실태를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읍 지역과 시 지역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노안의 연령과 성별분포, 가입도의 크기, 노안 교정안경 종류를 각각 조사하여 거주지별 노안교정안경 착용실태를 백분율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읍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연령에 따른 노안의 시력보정안경 착용률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은 감소하고, 이중초점안경은 70대에서 가장 선호하였으며, 단초점안경은 50~60대가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안의 연령별 시력교정안경 착용률은 이중초점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고, 누진다초점안경은 40~50대에서 주로 착용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단초점안경은 40~50대가 착용률이 높았고 70대에서 착용하는 사람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은 읍 지역이나 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안 모두 시력교정안경 가운데 가장 높았으며, 특히, 초기 노안인 40~50대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이와 같이 초기 노안에서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이 높다는 것은 향후 누진다초점안경의 착용률 향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누진다초점안경에 관한 교육의 기회가 증대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Pascal, J. I., "Scope and Significance of the Accommodation Unit", A.A.A.O., 29:113(1952).
  2. Irvin M. Borish, "Clinical Refraction", 3rd Ed., Professional Press Books, New York, U.S.A., pp. 178-179(1970).
  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6.
  4. 김정희, 이옥진, 이승원, 이영일, "한국 노인들의 효과적인 시력관리에 관한 연구, I. 충청북도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상태 및 건강태도와 안보건과의 상관관계", 대한시과학회지 5(2):17-31(2003).
  5. Duke-Elder S., "System of Ophthalmology", 1st Ed., C.V. Mosby Co., St. Louis, pp. 484-490(1970).
  6. 윤경한, "노안의 근용가입도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1(1):1-5(2005).
  7. 유근창, "크로스실린더 검사법을 이용한 노안의 근용 가입도", 한국안광학회지, 12(3):71-75(2007).
  8. 홍진석, "누진굴절력렌즈 사용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을지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