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Difference among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under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trait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which dominated in Korean mountain, we treated the sapling of the three oak species under the major environment factors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with four gradient levels, for 8 months in glass house. Then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growth difference among them. The growth of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were increased with higher light intensity, but there is no apparent trend in Q. mongolica for light gradients. Q. mongolica did not show high reduction of growth, even in the lowest light intensity.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had a constant growth state to soil moisture treatment, but only Q. acutissima grew well in higher soil moisture gradient condition. All the growth of three oak species decreased with higher nutrient gradient condition. The growth reduction was increased in order of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Q. acutissima. with increased nutrient gradient level. These results means that Q. mongolica,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have adaptation ability to shade, high moisture and low nutrient condition, respectively.

우리나라의 주요 우점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물생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광, 토양수분, 영양소를 이들 3종의 참나무 유식물에 각각 실내에서 처리하여 그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광이 높을수록 잘 자라는 경향이 있었고, 신갈나무만이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신갈나무는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수분구배에 따라 생육의 차이가 없었고, 상수리나무만이 약간 높은 구배에서 잘 자랐을 뿐이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모두는 영양소가 적을 때 잘 자랐고, 높을수록 못 자랐다. 영양소 구배에 따른 감소정도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신갈나무는 피음조건에, 상수리나무는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 그리고 굴 참나무는 유기물이 적은 조건에서 각각 적응한 종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선갈나무 숲 그의 환경, 식생과 생활. 원광대학교출판국. pp. 118-139
  2. 김선희, 성주한, 김판기. 2004. 수분환경에 따른 참나무 4수종의 생리적 반응특성.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1:145-147
  3. 노형진, 정한열. 2002. STATISTICA에 의한 알기 쉬운 통계 분석. 형성출판사
  4. 마상규. 1974. 수치분석에 의한 참나무 기본종의 유연관계, 한국임학회지. 21:47-51
  5. 백명수. 1995. 참나무속 3종의 유식물 정착과 생장과정의 비교, 가롤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변무섭 .2000. 광도와 토양수분 구배에 따른 참나무류 (Quercus serrata, Q. mongolica, Q. variabili ) 치수의 발아 및 성장.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과학기술연구소
  7. 성주한, 김선희, 김판기, 유세결. 2004. 비음처리에 의한 참나무 4수종의 생장과 광함성 반응 특성.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1:142-144
  8. 송민섭. 2007. 한국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접구조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9. 심주석, 한산섭. 2003. 낙엽성 참나무류의 생리.생태적 특성-광도변화에 대한 잎의 광함성 반응. 한국임학회지. 92:208-214
  10. 이윤영, 문형태. 2001 상수리나무림의 토양 호흡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4:141-147
  11.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914pp
  12. 임업연구원. 1989.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 과학기술처 p.3
  13. 임주훈. 2002. 참나무와 우리문화. pp.122-132
  14. 장규관, 송호경, 김성덕. 1997.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림과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214-222
  15. 장근정. 2006. 한국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정동준, 신만용. 2003. 중부지방 굴참나무림의 입지 환경에 따른 생장 및 수분생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립기상학회지. 5:233-237
  17.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329-435
  18. 하사헌. 1989. 상위한 광 강도 하에서 자란 참나무속 유식물의 생장과 광합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634pp
  20. Kim JW and JH Kim. 1994. Stomatal control and strategy segregation to drought stress in yonng trees of several Oak species. Korean J. Ecol. 17:241-249
  21. Menitsky YL. 2005. OAKS OF ASIA. Science Publishers, Inc., Enfield, NH. USA. 14pp
  22. Walter H. 1973. Vegetation of the Earth: In relation to climate and the Eco-physiological Condition. Springer-Verlag. New York. 23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