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Statistical Clustering Methods and Kohonen Self-Organizing Maps for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National Highway

일반국도 도로특성분류를 위한 통계적 군집분석과 Kohonen Self-Organizing Maps의 비교연구

  • 조준한 (한양대학교 교통정보센터) ;
  • 김성호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8.11.04
  • Accepted : 2009.03.25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This paper is described clustering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based highway classification in order to deviate from methodologies of existing highway functional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the clustering techniques performance based on the total within-group errors and deriving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 This research analyzed statistical clustering method (Hierarchical Ward's minimum-variance method, Nonhierarchical K-means method) and Kohonen self-organizing maps clustering method for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The outcomes of cluster techniques compared for the number of sample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from subsets derived by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 As a comprehensive result, the k-means method is superior result to other methods less than 12. For a cluster of more than 20, Kohonen self-organizing maps is the best result in the cluster metho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use important the basic road attribution information that produced the highway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본 연구는 기존의 도로기능분류 정의와 방법론을 벗어나 교통특성에 따른 도로분류 방법론인 도로특성분류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로특성분류에 대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다양한 교통특성을 반영하는 설명변수를 기초로 요인점수를 산출하고, 동질한 도로구간을 그룹핑하는 군집화 분석과정과 적정 군집수 도출에 따른 군집결과비교에 본 연구는 초점을 맞추었다. 도로분류를 위해 병합적 계층 군집분석인 Ward법, 비계층적 군집분석인 K-means법, 자율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K-SO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각 군집기법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비교분석한 결과, 군집 수 5 이하에서는 K-means법, 군집 수 14 이상에서는 Kohonen selforganizing maps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수 5~9사이에서는 Ward법과 Kmeans법의 군집 성능이 불규칙한 패턴을 보임에 따라 세밀한 결과분석을 통해 우수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교통특성을 고려한 도로구간의 군집 속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분류화 작업에 중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의(2001) 일반국도의 수행기능분석에 의한 적정 설계기준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1호, pp. 53-61.
  2. 건설교통부(1999) 국도기능분류 및 효율적 투자방안 연구.
  3.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4. 김주현, 도명식, 정재은(2002) 국도기능분류를 위한 그룹핑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5호, pp. 131-144.
  5. 양병화(2006), 다변량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6. 유완, 정필현(2004) 도로교통량 특성에 의한 국도기능의 분류 및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1호, pp. 251-261.
  7. 임성한, 오주삼(2005) 일반국도 유형분류 및 유형별 교통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4D호, pp. 555-563.
  8. 임성한, 오주삼, 김현석(2005) 관광부도로의 판별 및 교통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1호, pp. 81-92.
  9. 이순묵(1995) 요인분석 : Exploratory factor analysis를 중심으로, 학지사.
  10.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11. 정헌영, 권정철(1996) 도로의 구조 및 이용실태분석에 의한 기능 유형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1권 제3호, pp. 111-123.
  12. 조준한, 김성호, 노정현(2008)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도로특성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6권 제3호, pp. 53-66.
  13.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89, 2001), Highway Functional Classification : Concepts, Criteria and Procedure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4. Flaherty, J. (1993) Cluster analysis of arizona automatic traffic recor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10, pp. 93-99.
  15. Kohonen, T., Self-Organizaion and Associative Memory (1989)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6. Lingras, P. (1995) Classifying highways : Hierarchical grouping versus Kohonen neural network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1, No. 4, pp. 364-368.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5)121:4(364)
  17. Lawrence, J. (1993)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design Theory and Application, California Scientific Software Press.
  18. Pal, N.R., Bezdek, J.C., and Tsao, E.C. (1993) Generalized clustering networks and Kohonen's self-organizing, IEEE Transaction on Neural Networks, Vol. 4, No. 4, pp. 549-557. https://doi.org/10.1109/72.238310
  19. Tabachnik, B.G. and Fidell, L.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HarperCollins.
  20. Traffic Monitoring Guide, Office of Highway Policy Information (2001)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21.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2) Guidelines for amending urban boundaries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Planning and Capital Program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