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Utilization of Technology Foresight Using a Scenario : Renewable Energy Scenario

시나리오를 이용한 과학기술예측조사의 정책 활용도 제고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 시나리오

  • 임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
  • 한종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
  • 손석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
  • 황기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 Received : 2010.03.22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creation and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has been speeding up dramatically in modern times. There are also significant uncertainties about the future shape of markets, governance and social values that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organizations and their capacity to meet their objectives. These rapid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 and uncertainties make the upsurge of interest in technology foresight, giving rise to its emergence as a global concept and policy tool. A wide range of future methods are available for technology foresight. Selection of methods will depend upon several factors, most notably available and the time financial resources, and the objectives of the exercise. Although Delphi has been widely used for many years, scenario becomes very popular in recent years. The use of scenarios can take better account of the complexity and unpredictability of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Scenarios tell the stories describing paths to different futures, which help organizations make better decisions today. In this study, the scenario method was employed to draw the images of the future of renewable energy. Renewable energy grows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is still considerable uncertainty with regard to the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due to environment regulation, energy costs, and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s in the main supplier countries for oil and natural gas. Scenario can help us to identify the risks and opportunities when we develop the renewable energy, and to prepare for them. The scenario method is expected to be more utilized in the national technology foresight.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기술 발전 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조직 목표를 달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장, 거버넌스 및 사회적 가치의 미래 모습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사회 발전의 가속화 및 증가하는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미래사회 전망을 바탕으로 미래유망기술을 도출하는 기술예측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기술예측에는 다양한 예측 방법론이 이용 가능하나 예측의 목적 및 재원 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델파이 방법이 오랫동안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시나리오 또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시나리오는 사회, 경제 및 정치 등의 환경요인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폭넓게 고려할 수 있으며 미래의 다양한 모습을 이야기 식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기술개발 및 보급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가용잠재량은 지역적으로 큰 편차가 있으며 기술적 진보, 환경규제 및 화석연료의 가격전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그 발전추이를 예측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시나리오 기반의 예측 프로세스를 국가과학 기술예측에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델파이 위주의 단정적 예측의 단점을 보완한 전략적 예측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