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ism Diopter According to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Center and Pupil Center

안경 광학중심과 동공중심의 불일치에 의한 수평, 수직 유발프리즘의 측정

  • Kim, Hyojin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 Park, Jee-Hyun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 Park, Seon-A (Departmen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
  • Baek, Ji-Seo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 The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
  • Lee, Eun-Hee (Departmen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 박지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 박선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 백지선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이은희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0.11.01
  • Accepted : 2011.03.1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Purpose: Measuremen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ism diopter was investigated which was occurred due to distance differences between the optical inter-centeral distance (OC) and the interpupillary distance (PD) of the prescribed glasses. Methods: We surveyed 96 subjects (192 eyes) at the average age of 21.56 years old. The PD was measured by using the PD measurement system (DONGYANG PD-85, Korea), and the OC of the glasses was measured by using the projective peak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system (TOPCON CL-200, Japan). The OH value was measured by using Penlight and the PD ruler. Results: The PD which had been measured by the PD system and the OC of the glasses revealed 78.1% of differences. 62.5% of the objects were base-in value prescribed glasses; 58.3% were out of permissible error. Only 8 subject showed concurrence between the prescribed glasses and the OH value, and 82.3% of the objects were induced vertical prism of over 1 (prism diopter).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ision function of people who wear glasses,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accuracy of PD, OH measurement and making glasses as well.

목적: 본 연구는 조제 가공된 안경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와 동공간거리의 일치여부를 알아보고, 안경의 광학적 중심높이와 OH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수평, 수직 차이에 의한 유발 프리즘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나이21.56세의 96명(192안)을 대상으로 동공거리계(DONGYANG PD-85, Korea)로 동공간거리를 측정하였고, 안경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는 투영식 정점 굴절력계(TOPCON CL-200, Japan)로 측정하였다. OH는 펜라이트와 PD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착용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동공거리계로 측정한 동공간 거리와 투영식 정점 굴절력계로 측정한 안경렌즈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는 78.1%(150안)에서 일치하지 않았고, 62.5%(60명)에서 기저내방으로 안경이 조제되었으며, 이 중 58.3%(56명)가 허용오차 범위 외에 있었다. 조제 가공된 안경과 피검사자의 OH를 비교한 결과 수직 유발 프리즘은 단 8명(8.3%)에서만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79명(82.3%)이 1 이상의 프리즘이 유발되었다. 조제후 7개월이 지난 경우에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수직 OH의 차이가 더 컸다. 결론: 안경 착용자에게 양안 시기능을 보다 좋고 편안하게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PD와 OH 측정 및 조제에 더욱 정확성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확한 조제 및 가공과 함께 안경원의 정기방문 또한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08년 전국 안경사용율", 보도자료(2008).
  2. 진용한, "굴절검사와 처방", 중보판, 울산대학교 출판부, 417-427(1966).
  3. Garcia G. E., "Handbook of refraction 4th ed", Little. Brown and Co, Boston/Toronto/London, pp.168-212(1989).
  4. Michaels D. 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3rd ed", The C.V. Monsby Co., St. Louis/Toronto/ Princeton, pp.560-575(1985).
  5. Osuobeni E. P. and al-Fahdi M., "Differences between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interpupillary distanc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65(4):265-71(1994).
  6. 이미영, 김만수, 김재호, "안경의 광심간 거리와 착용자의 동공간 거리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30(4):605-610(1989).
  7. 김혜동, 박은규, 김기홍, "안경광학중심과 동공중심의 일치에 관한 임상적 고찰", 한국안광학회지, 8(2):19-24(2003).
  8. 성풍주, "안경 조제 및 가공", 대학서림, 387(2007).
  9. 김상균, 성아영, "고등학생 안경 착용자의 착용상태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9(1):19-27(2004).
  10. 이영달, 이영일, 배선량, "안경의 광심과 동공중심 불일치에 의한 유발 프리즘", 대한안과학회지, 44(8):1859-1864(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