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cience-Gifted Camp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기관 캠프 운영 실태 분석

  • Received : 2011.05.11
  • Accepted : 2011.06.2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using a questionnaire about camp programs, we surveyed 375 gifted education institutes, including 285 classes for the gifted, 70 institutes for the gifted at education offices, and 20 institutes for the gifted at universitie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relating to camp design, camp operation, and camp introspection. The questions relating to camp operation are subdivided into questions relating to content, process, product, and learning environment of the camp. In the analysis of camp design, experience-centered camps entailing visits to research institutes, science museums, and so on showed the highest ratio. The camps were generally carried out in summer vacation as two day/one night programs. The average score of camp content was 3.72, that of camp process was 3.78, that of camp product was 3.77, and that of camp environment was 3.58. In the analysis of camp introspection, the item 'a lack of information about diverse camp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difficult thing. Integrating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formation about diverse camp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and the camp environment strengthen the freedom of students to select camp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85개 영재학급, 70개 교육청 영재교육원, 20개 대학 영재교육원을 합한 총 375개 영재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캠프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캠프 설계, 캠프 실행, 캠프 결과로 구성하였으며, 캠프 실행은 캠프 교육내용, 교수 학습과정, 산출물, 학습환경으로 세분화 하였다. 캠프 설계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소, 과학관 등의 방문 중심캠프가 가장 많았고, 여름방학에 1박 2일 이하로 실시되는 기관이 가장 많았다. 캠프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리커르트 5점 척도에서 3.72점을 보였으며, 교수 학습과정은 3.78점, 산출물은 3.77점, 학습환경은 3.58점을 보여 캠프 학습환경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캠프 학습환경은 개방성여부, 다양한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프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다양한 활동 사례 정보의 부족'이 캠프 운영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파악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캠프에서 개방적이고 다양한 환경 및 시설의 활용이 가능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노력과, 캠프 활동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임주 (2007). 과학 캠프가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과학기술부 (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진흥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정책연구.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4. 구자억, 김홍원, 박성익, 안미숙, 이순주, 조석희 (2002). 동서양 주교 국가들의 영재교육. 문음사: 서울.
  5. 김상용 (2006). 초등과학캠프 운영 실태와 선호도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6. 김성원, 이현경 (1996). 우리나라 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175-189.
  7. 김연정 (1999). 캠프형 자연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8.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연구 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김창만 (2005). 체험 중심 과학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0. 김현정, 유준희 (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11. 노미말 (2007). 중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사고유형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2.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13.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 (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9-339.
  14. 박창용 (2002). 중등학교 과학캠프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5.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7). 중학교 과학캠프 운영자료. 서울: 삼진인쇄.
  16. 석경희 (2004). 영재과학캠프를 통한 학습자특성에 따른 학습선호도 특성 및 학습모형과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7.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41-255.
  18. 양웅섭 (2006). 제 4물결 창조경영. 서울: 한국창조성본부.
  19. 이군현 (1991). 교육심리학. 서울: 박영사.
  20. 이현경 (1995). 우리나라 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22. Barron, F. (1963). Scientific creativity. NY: John Wiley & Sons. Inc.
  23. Betts, G. T., & Kercher, J. K. (1999). Autonomous learner model: Optimizing ability. Greeley, CO: ALPS Pub.
  24. Maker, C. J., & Nielson, A. B.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X: Proed.
  25.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26.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111-141). Needham Height, MA: Allyn and Bacon.
  27. Treffinger, D. J. (1978). Guidelines for encouraging independence and self-direction among gifted student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 14-20.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8.tb00155.x
  28. Wellington, J. (1994).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