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n 'We are the First Graders' Textbooks

시·도 교육청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 내용 분석

  • Received : 2010.11.26
  • Accepted : 2011.02.0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local primary textbooks for the subject of 'We are the First Graders'.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ree textbooks developed by the three educational bureaus of Seoul, Daegu and Busan. The criterion of analysis were scope, sequence and integration of curriculum representing the principles for developing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pes of topics included in 2007 National Curriculum of 'We are the First Graders' were faithfully reflected in the three local textbooks. Second, the sequences of textbooks were gener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urriculum content except for some contents. As for 'Wise School Life', some contents were presented at the first unit of the three textbooks and the others were gradually expanded at the latter of the textbooks. Third,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ppeared meaningfully in the three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on the activites for the adaptation at the early stage in the primary school under 2009 National Curriculum.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I.
  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김대현(2010). 교육과정, 서울 : 학지사.
  4. 김보강(2004). '우리들은 신나는 1학년'교과의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비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평국(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6. 김희영(2007).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과 국어과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대구광역시교육청(2009).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우리들은 1학년, 대구 :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8. 대구광역시교육청(2009). 우리들은 1학년, 대구 :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9. 문애선(2003). '우리들은 1학년'의 수업목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소영.김대현(2008).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68-183.
  11. 박순경(2005). "우리들은 1학년' 교과의 성격과 지역화의 실태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87-205.
  12. 박순경(2010).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교육과정연구, 28(3), 85-105.
  13. 백경준(2005). '우리들은 1학년' 기초학습 기능 영역의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부산광역시교육청(2009). 교사용 지도서 우리들은 1학년, 부산 :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15. 부산광역시교육청(2009). 우리들은 1학년. 부산 :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16. 서울특별시교육청(2009). 교사용지도서 우리들은 1학년,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17. 서울특별시교육청(2009). 우리들은 1학년.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18. 안효일(2007). "통합교과로서 '우리들은 1학년'의 성격과 문제점 및 그 대안", 초등교육연구, 20(3), 129-150.
  19. 이미숙(2008). "초등 통합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시행된 '현장 적합성 검토'의 의의와 비판적 쟁점 분석 - '우리들은 1학년'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연구, 21(3), 147-174.
  20. 이미희(2006). '우리들은 1학년' 교육내용 적합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화(1996). 부산시 초등학교의 '신나는 1학년' 프로그램 평가,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화(2001).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조직 요소 재구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22(2), 167-187.
  23. 채희은(2006).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CA Department of Education(2010). Health eucation content standards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25. Yeboah, D. A.(2002). Enhancing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Evidence from the research literature, Early Years, 22(1), 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