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Parents abou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System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 Received : 2011.02.21
  • Accepted : 2011.04.1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ystem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2008 and to obtain the implementation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otal of 1,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00 parents in Busan, and 766 of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follows excluding the retrieved and insincerity responses. First, the national assessment showed negative perception from the teachers, whereas the par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nd the method to reduce the gap of perception is needed. Second, it has to be improved after collecting opinions of a teacher and parents of students for improvement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and reviewing enough the potential problem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n Korea and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성(2004). 미국의 학교평가, 학교평가 국제동향 탐색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 김명숙(199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 및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술세미나.
  3. 김명숙(200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안): 평가 영역 및 방법,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체제(안) 수립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CRE 2001-2, 1-23.
  4. 김명숙 외(200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1-2.
  5. 김명숙(200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의 주요 쟁점과 발전 방향, 교육평가연구, 16(1), 241-264.
  6. 김명숙 외(2005). 초.중등학생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5-17.
  7. 김미숙(2004). 학업성취도평가: 통제에서 교육복지로, 한국교육개발원.
  8. 김신영(2008).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제와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16.
  9. 김형립(1997).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제와 전망, 교육심리연구, 11(1), 85-93.
  10. 박정.김경희.김수진.손원숙.송미영.조지민(2006).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 기술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O 2006-4.
  11. 박정기(2009). 전집형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관한 실태분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반재천 외(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분석, 충남대학교.
  13. 상경아(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에 대한 의견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16.
  14. 서경원(2008). 학력평가를 생각해본다, 교육비평, 24, 97-113.
  15. 서정화.홍성창(2008). 학업성취도평가에 관한 정책평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6(4) 407-430.
  16. 성기선(2002).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의 방향, 교육비평, 가을(9).
  17. 손원숙.박정(200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본설계 개선 연구, 교육평가연구, 20(4), 99-120.
  18. 윤정일.이범수(2006). PISA 2003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국제비교연구: 한국, 일본, 미국, 독일, 핀란드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4(2),523-548.
  19. 이경자(2005).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결과 공개 및 활용방안'에 대한 학부모 의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평가결과 및 원자료 공개 수준에 대한 법제화 공청회 자료집.
  20. 이규민(2003).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이론적 발전 방향, 2003년 한국교육 평가학회 춘계 학술세미나 발표 논문.
  21. 이미경 외 (2005). 2005년도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TIMS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5-2-1.
  22. 정은영 외(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8-2.
  23. 조지민.김명화.최인봉.송미영.김수진(200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03-2006년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7-3-1.
  24. 허형(2003). 초.중등교육의 경쟁력과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과학연구 16.
  25. 호사라.전재현(2006). 미국의 사레가 학업성취도평가 중심의 학력향상 정책 개발에 주는 시사점, 교육평가연구, 19(1), 73-99.
  26. 文部科學省(2007). http://www.mext.go.jp,
  27. Brennen, R. L.(2006). Educational Measurement (4th ed),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28. Cannell, J. J. (1998). Nationally normed elementary achievement test in America's public school: How all 50 states are above the national average.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7(2), 5-9.
  29. Massey, A., Green, S., Dexter, T. and Hamnett, L.(2002). Comparability of National Tests over Time: Key Stage Test Standards between 1996 and 2001.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Research Report
  30. Miller, M. D., Linn, R. and Gronlund, N.(2008).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Teaching(5th Ed), Pearson Education International.
  31.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2000). The NAEP Guide, http://nces.ed.gov/nationsreportcard.
  32. NCA(2008). National curriculum assessment; 2007 maladministration report.
  33. Stobart, G.(2001). The validity of National Curriculum Assess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9(1), 26-39. https://doi.org/10.1111/1467-8527.t01-1-0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