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cusing on Busan Area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4.21
  • Accepted : 2011.06.0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is the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s there any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276 fifth graders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in Busan were administrated self-control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es were separately performed on total and subscale scores.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lf-control, self-efficacy including two subscales,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cluding five subscales. Second,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and five subscales. Finally,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cluding five subscales. And discussions on the results were presen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순(2009).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조절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두성. 민수홍(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 억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 김병찬(1995).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5. 김아영.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6. 김용래.유효현(2002).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인문과학지, 10권.
  7. 김의철.박영신(1999). 한국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8. 김의철.박영신.곽금주(1998).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 79-101.
  9. 김현숙(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 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김효기(2002). 스트레스, 대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귀국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태자(2001). 자기관리훈련이 시험 불안감소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목점선(2004).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애착.학교생활 적응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문진희(2007). 초.중학생의 학교중도 탈락의도에 대한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 부적응의 인과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민수홍(2005).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로서의 청소년 비행과 학교에서의 징계 경험, 청소년학연구, 12(2), 1-25.
  15. 박현영.강승의(201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 학교생활적응 행동,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구조.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43-55.
  16. 백혜정(2007). 자아통제, 자기신뢰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57-373.
  17. 윤성민(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화.정혜영(2007).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통제소재와 학교적응의 구조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8-18.
  19. 이장희(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기대감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지민(2009).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구조,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5), 1021-1033.
  21. 이희영.하경선(2010).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및 부모의 애착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05-217.
  22. 임동난(1998).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장성순(2006).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미숙(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수준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정혜연(2009).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체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주현정(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차유미(2009).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하창순.김지현.최희철.유현실(2006).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7(1), 181-200.
  2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0.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s: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6), 1173-1182.
  32. Gottfredson, M. R., & Hirschi, T.(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Grasmick, H. G., Tittle, C. R., Bursik, R. J., & Arneklev B. J.(1993). Testing the core.
  34. Kagan, J.(1984). The nature of the child, NY: Basic Books.
  35. Kendall, P., & Wilcox, L.(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1020-1029.
  36. Lazarus, R. S.(1969). Patterns of adjustment and human effectiveness, NY: MacGraw Hill.
  37. Normandeau, S., & Guay, F.(1998). Preschool behavior and first grade school achievement: The mediational role of cognitive self-contr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111-121.
  38. Patterson, C. J., & Mischel, W.(1975). Plans to resist dist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9.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