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ing Precise Geoid Model for Conversion of Airborne LiDAR Data into Orthometric Height

항공라이다데이터 정표고 변환을 위한 정밀지오이드 모델 이용

  • 이원춘 ((주)아세아항측 부설연구소 사업개발팀) ;
  • 위광재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한진정보통신(주) 기술연구소) ;
  • 정태준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권오섭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intend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ecise geoid model and to find the best geoid model for working by the airborne LiDAR system. So we have calculated the geoid height from the precise geoid models (KGEOID08, EGM2008, EIGEN-CG03C) and have analyzed results by comparing the geometric geoid height from surveying and geoid heights from geoid models. As a result, the KGEOID08 that had 0.152m of RMSE was assessed the best geoid model for making DEM(DTM) by airborne LiDAR system. Also we have found the needed arrangement and numbers of reference point when the KGEOID08 was used for conversion into orthometric height of LiDAR data.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에 있어서 정밀 지오이드 모델의 활용 가능성 및 항공라이다 측량 작업을 위한 최적 지오이드 모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KGEOID08, EGM2008, EIGEN-CG03C 모델을 대상으로 하여 여기서 산출된 지오이드고와 실측을 통해 계산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 0.152m의 RMSE를 나타낸 KGEOID08 모델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GEOID08 모델을 사용하여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배치 및 수량 등의 기준점 선점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09), 항공레이저측량작업규정
  2. 황학, 윤홍식, 이동하, 정태준 (2009), 남한지역에서의 초고차항 중력장모델 EGM2008의 정확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9권 제 1D호, pp. 161-166.
  3. 이석배 (1998), 베셀타원체상에서의 한반도 지오이드 모델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6권, 제 2호, pp. 213-223.
  4. 윤홍식, 조재명 (2005), GPS/Leveling데이터를 사용한 새로운 지구중력장모델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3권 4호, pp. 353-358.
  5. 이동하 (2008), 한국의 고정밀 합성 지오이드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6. 이석배, 김진수, 김철영 (2008), GPS/leveling 데이터에 의한 EGM2008 지구중력장모델의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 3호, pp. 117-126.
  7. 위광재, 양인태, 서용운, 심정민 (2006), 현지 측량점을 이용한 LiDAR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4권제4호, pp. 1-8
  8. Yun, H. S. and Adam, J. (1994) The global geopotential models i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2권, 제 1호, pp. 95-106.
  9. Yun, H. S. (1999),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by spherical FFT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Earth Planets Space, 51, pp. 13-18. https://doi.org/10.1186/BF03352204
  10. Pavlis. N.K., Holmes, S.A., Kenyon, S.C., and Factor, J.K. (2008) An Earth Gravitational Model to Degree 2160: EGM2008, presented at the 2008 General Assembly of 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Vienna, Austria, pp. 13-18.
  11. Forste C., F. Flechtner, R. Schmidt, U. Meyer, R. Stubenvoll, F. Barthelmes, R. Konig, K.H. Neumayer, M. Rothacher, Ch. Reigber, R. Biancale, S. Brinsma, J.M. and Lemoine, J.C. Raimondo (2005), A New High Resolution Global Gravity Field Model Derived From Combination of GRACE and CHAMP Mission and Altimetry/Gravimetry Surface Gravity Data, EGU General Assembly 2005, Vienna, Austria, pp. 24-29

Cited by

  1.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항공라이다 데이터의 기하보정 vol.30, pp.3,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2.30.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