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erties of Permeable Formwork using Permeable Liner

투수시트를 활용한 투수거푸집의 특성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2.10.25
  • Published : 2012.11.15

Abstract

Fresh concrete has 10~20% extra water in it. As those water remain entrapped air in the concrete, life span of structures is reduced. For that reason, if extra water is eliminated, it will be useful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s. Though there were many reports about permeable formwork, the study on the properties of permeable liner itself has been insufficient. In addition, making holes on the form causes lowering of workability.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properties of woven and non-woven permeable liner and formwork which has no holes on the form. For the woven and non-woven permeable liner, they showed great application with W/C decrease, lowering roughness, increased compressive strength of surface area and slight loss of cement paste, when the were applied to concrete. In addition, they showed differ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nsity of woven liner or thickness of non-woven liner. Furthermore, when using the draining non-woven permeable liner which has drainage path inside, concrete surface showed required performance with high workability, without drilling the holes on the form.

굳지않은 콘크리트에는 항상 일정량의 잉여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수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갇힌공기로 남게 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잉여수를 제거할 수 있다면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에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투수시트의 특성에 대한 상세한 검토는 부족한 상태이며, 거푸집의 천공에 따른 시공성 저하는 여전히 의문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투수거푸집 시스템에서 직포 및 부직포 투수시트를 적용할 경우의 기초적인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고 시공성 향상을 위해 거푸집에 천공을 하지 않는 투수거푸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수거푸집에서 직포와 부직포 투수시트를 사용한 경우 직포의 조밀성 및 부직포의 두께 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W/C 감소, 표면 평탄성 증가, 표면부 강도 향상이 있었으며, 시멘트손실은 미미하여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수시트 내부에 탈수된 잉여수의 배수통로를 가지고 있는 배수 부직포 투수시트를 적용한 경우 거푸집에 천공을 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탈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봉근, 서치호, 유택동, 박재성(2003) 탈수섬유시트 거푸집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7권 제2호, pp. 141-148.
  2. 정재동(2003) 유공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층부의 밀실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7호, pp. 71-78
  3. 우광민, 이학기(2003) 콘크리트 성능개선을 위한 탈수거푸집공법의 실용화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4권 제4호, pp. 88-95.
  4. 笠井芳夫, 長野基司, 佐魔孝一, 菅一雜(1988) 透水性型び合板型を用いたコンクリ一ト品質判定に關する硏究. コンクリ一ト工學年次論文集, JCI, 10-2, pp. 441-446.
  5. 三島直生, 畑中重光, 小林廣實, 犬飼利嗣(2004) "透水.脫水によるコンクリ一トの品質改善方法硏究委員會の活動". コンクリ一ト工學年次論文集, JCI Vol. 26, No. 1, pp. 19-26.
  6. 立松和彦, 石原誠一郞(1997) 透水性型樺によるコンクリ一トの細孔構造 變化と耐久性の向上. コンクリ一ト工學論文集, JCI, Vol. 8, No. 1, pp. 171-178.
  7. 中田善久, 田佳, 毛忠綬, 西山直洋(1996) "コンクリ一トの各種表面處理方法による鹽化物イオン浸透制御效果". コンクリ一ト工學年次論文集, JCI, Vol. 18, No. 1, pp. 765-770.
  8. 井一彦, 枝稔, 犬飼利嗣, 石原誠一郞(2004) "透水性型樺によるコンクリ一トの品質改善". コンクリ一ト工學年次論文集, Vol. 26, No. 1, pp. 369-374.
  9. Basheer, L., Nanukuttan, S.V., and Basheer, P.A.M. (2008) The influence of reusing 'Formtex' controlled permeability formwork on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41, pp. 1363-1375. https://doi.org/10.1617/s11527-007-9335-9
  10. Cairns, J. (1999) Enhancements in surface quality of concrete through use of controlled permeability formwork liners.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51, Issue 2, pp. 73-86. https://doi.org/10.1680/macr.1999.51.2.73
  11. McCarthy, M.J., Giannakou, A., and Jones, M.R. (2001) Specifying concrete for chloride environments using controlled permeability formwork.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4, pp. 566-576. https://doi.org/10.1007/BF02482183
  12. Price, W.F. and Widdows, S.J. (1991) The effects of permeable formwork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43, Issue 155, pp. 93-104. https://doi.org/10.1680/macr.1991.43.155.93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Excess Water Dewatered Concrete Using Permeable Liner vol.25, pp.6, 2013, https://doi.org/10.4334/JKCI.2013.25.6.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