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주요요인과 교육만족도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Educational Assessments

  • 권도희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정영애 (부산과학기술대학교 피부미용과)
  • Kwon, Do-Hui (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
  • Jung, Young-Ae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2.10.19
  • 심사 : 2012.10.25
  • 발행 : 2012.12.30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improve future-orient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their curriculum and major courses and proposing their basic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in Busan (5 junior colleges and 1 four-year univers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questionnaire items on the curriculum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curriculum development', 'facility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s', 'instructor/teacher activities', 'educational evaluation activitie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nd 'output evalu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ll positive relations. Seco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output factors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utput factor levels were high a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ge', 'teacher/instructor activities', curriculum requirement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high. In overall, relatively good results (69.0%) were observed. A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urriculum in educating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by applying their educational evaluation to optimum standard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장업사(1986), 대한화장품공업협회, 약업신문, pp.325-327.
  2. 이명영(1998), 종합미용이론, 유신출판사, p.17.
  3. Richey R.(1986),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es of instructional design, Kogan Page, pp.12-185.
  4. 황계진, 조평규(2007),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직업의식 및 진로인식에 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1);123-133.
  5. 김남희, 김경원(201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자기 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 실습만족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4);41-51.
  6. 임광명(2000), 여성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p.68-103.
  7. 황치석(2004),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대학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p.117-156.
  8. 류지연(2000),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참여 특성 및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논문, pp,68-79.
  9. Gary D. Borich(1988), Effective Teaching Methods, Merrill Publishing Company, pp.8-322.
  10. 강용원(2004),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pp.18-39.
  11. 백은순 외(2005), 독학학위제 교육훈련기관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pp.1-89.
  12. Astin A.W.(1993), What matters in college? Jossey-Bass, pp.4-26.
  13. Oliver R.L.(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7(November);460-469.
  14. 이현숙, 김승희(2011), 보건행정전공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3);89-100.
  15. 임희야, 김원중, 김미영, 문덕환(2011), 전문대학 미용교육의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Vol.17(1);49-56.
  16. 박종숙(2007), 미용학과 학생들의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년제 대학 헤어전공자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pp.30-55.
  17. 박보경(2006), 미용관련과 재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pp.5-15.
  18. 김문주(2000), 미용 산업관련 종사자들이 기대하는 전문대학 미용관련학과 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pp.52-58.
  19. 장선하(2007), 미용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pp.79-80.
  20. 김혜원(2009), 성인여성들의 미용교육과정 만족도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논문, p.55.
  21. 서은주(2010), 미용실 종사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미용 교과 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석사논문, p.57.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Relationship Marketing Factors and Relationship Quality on Relationship Performance in Cosmetics Industry vol.7, pp.3,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045
  2.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vol.14, pp.1, 2012, https://doi.org/10.15810/jic.2018.1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