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44 children were used in a study in the Korean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program was held 2 times per week for 7 weeks and was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Korean traditional play in comparison to the ordinary outside pla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sub-factors of social abilities of scrupulosity, cooperation and sociability; it found that Korean traditional play had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skills in contrast to ordinary outside play. Also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Korean traditional play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ecuted ordinary outside play. This shows there is a positive effect in the increase in resilience from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resilience sub-factors of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control impulse, optim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mpathy skill, efficacy and active participation to challenges. In other words, Korean traditional plays had a positive effect on a sub-factor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emotional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