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orts on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Mellicta ambigua

여름어리표범나비(Mellicta ambigua (Menetries))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보고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0.28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the butterflies, Mellicta ambigua, had been decreasing rapidly, and already disappeared at many habitat. In this studies, we investigated ecological environment of Mellicta ambigua for preparing of primary research data recovering habitat, and studied on bionomical characteristics. Two different habitat, Jindo and Inje,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We investigated four times during 3-month, from June to August in 2012. In Jindo, we observed more than 100 butterflies and a lot of host plants,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But only 5 butterflies and only a few host plants, Veronicastrum sibiricum were observed in Inje. We could not observe the eggs, the larva and pupa on the host plants at all. For finding of bionomical characteritics, we reared butterflies at natural conditions. Collected 3-female butterflies from Jindo laid 465 eggs on the leaves of 3-host plants, Veronicastrum sibiricum. 120 ~ 186 eggs per each female were laid in the shape of cluster. An egg was globular shape, 0.6 mm diameter and 0.7 mm height. The egg periods were $9.96{\pm}0.4days$ after ovipositioning, and the hatchability was 95.% at natural condition. The larval periods were $4.1{\pm}0.6days$ (1st instar), $2.1{\pm}1.0days$ (2nd), $8.1{\pm}0.7days$ (3rd), $239.2{\pm}10.9days$ (4th), $12.3{\pm}1.3days$ (5th), $17.1{\pm}1.1days$ (6th), $10.5{\pm}1.0days$ (7th) each other. The larva of 4th instar overwintered in the nest that had been made into the leaf of host plant with secreted thread as a group until early March next year. In the early March next year, overwintered larva went around their nest in search of host plants, and went to other host plants, Veronica persica and Plantago asiatica, sometimes. The overwintered larva of Mellicta ambigua could grow up on two other host plants normally. In the following experiment, the butterflies of Mellicta ambigua laid eggs on the leaves of Plantago asiatica, but the 1st instar larva from eggs died all. The headwidth of each developmental larval stage were $0.28{\pm}0.02mm$ (1st), $0.45{\pm}0.02mm$ (2nd), $0.58{\pm}0.02mm$ (3rd), $0.75{\pm}0.03mm$ (4th), $0.89{\pm}0.05mm$ (5th), $1.23{\pm}0.06mm$ (6th), $2.13{\pm}0.11mm$ (7th). The pupal ratio was 92.0%. The pupal period were $9.1{\pm}1.6days$, and the emergence rate was 88.6%. As a result we determined that Mellicta ambigua can rear at natural conditions. But indoor-rearing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and not useful industrially, because they have long term larval stage and only one life cycle per an year.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여름어리표범나비의 생태를 복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서식지에서의 생태를 확인하였으며, 인공사육을 통해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여름어리표범나비의 서식지는 최근에 발견된 바 있는 강원도 인제와 전라남도 진도지역을 조사하였으며, 성충의 활동시기인 2012년 6 ~ 8월경 4회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진도 지역에서 약 100마리 이상의 대형 군체가 확인되었다. 진도 지역의 서식지에서는 기주식물인 수염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이 대규모로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제 지역에서는 국내에 기주식물로 알려진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주식물에서 알이나 애벌레, 번데기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여름어리표범나비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부지방의 서식지에서 자생하는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를 기주식물로 이용하였으며, 진도의 서식지에서 인공사육 실험을 위한 모충으로 암컷 3마리를 채집하여 사육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주식물 화분에 망을 씌우고 암컷 개체 1마리씩을 넣어 채란을 받았다. 총 산란량은 465개였으며, 암컷 한 마리당 산란량은 120 ~ 186개로 나타났다. 알은 한 곳에 무더기로 낳아 난괴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알의 크기는 직경 0.6 mm, 높이 0.7 mm로 구형에 가깝다. 120개의 알이 산란된 난괴를 대상으로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란된 알은 $9.96{\pm}0.4$일이 경과한 후 부화하였으며, 부화율은 95.0%였다. 부화한 애벌레는 1령 기간이 $4.1{\pm}0.6$일, 2령 $12.1{\pm}1.0$일, 3령 $8.1{\pm}0.7$일로 나타났다. 4령 애벌레는 활동이 둔해지면서 스스로 실을 내어 기주식물 잎을 둥글게 말은 후 그 속에서 집단으로 모여 있다가, 그 상태로 겨울을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 봄(3월 초)에 깨어난 애벌레는 주변을 배회하다 먹이식물의 새싹이 나오면 먹이식물로 이동하여 먹이식물을 섭식한다. 큰개불알풀이나 질경이에 대한 먹이식물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월동이후의 4령 애벌레부터는 정상적으로 섭식하고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차년도에 질경이를 이용한 사육시에는 산란은 하였으나 부화한 1령 애벌레가 모두 폐사하여 추가 실험이 불가능하였다. 큰개불알풀에서는 산란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1령 애벌레를 이동시켜 사육실험을 진행하였으나 1령 애벌레시기에 모두 폐사하였다. 여름어리표범나비는 6회의 탈피를 통해 총 7령까지 성장하고, 4령 애벌레는 월동기간을 포함하여 $239.2{\pm}10.9$일, 5령 기간은 $12.3{\pm}1.3$일, 6령 기간은 $17.1{\pm}1.1$일, 7령 기간은 $10.5{\pm}1.0$일로 나타났으며, 총 애벌레 기간이 무려 $303.4{\pm}14.0$일에 이른다. 탈피각을 통해 애벌레의 두폭을 확인한 결과 1령이$0.28{\pm}0.02mm$, 2령 $0.45{\pm}0.02mm$, 3령이 $0.58{\pm}0.02mm$, 4령이 $0.75{\pm}0.03mm$, 5령이 $0.89{\pm}0.05mm$, 6령이 $1.23{\pm}0.06mm$, 7령이 $2.13{\pm}0.11mm$로 나타났다. 7령 말기의 애벌레는 약 2일간의 전용기간을 거친 후 먹이식물의 줄기나 주변의 식물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의 크기는 약 13 mm였으며 용화율은 약 92.0%로 나타났다. $9.1{\pm}1.6$일간의 번데기 기간을 거친 후 성충으로 우화하였으며, 우화율은 88.6%였다. 본 실험 결과 여름어리표범나비의 인공사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벌레 기간이 길고 1세대가 1년에 걸쳐 이루어지는 등의 단점으로 인해 대량사육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름어리표범나비의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증식과 서식지 복원 및 보존을 위한 노력이 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Fukuda H, Hamada E, Kuzuya T, Takahashi A, Takahashi M, Tanaka B, Tanaka H, Wakabayashi M, Watanabe Y (1983) The life history of butterflies in Japan Vol. II. Hoikusha. Japan. pp. 325.
  2. Ju HJ, Kim SS, Son JD (1997) A butterfly of Korea. Kyohaksa. Seoul. pp. 437.
  3. Kim JH (2005) Simply search of Insect. Jinsun publisher. Seoul. pp. 639.
  4. Kim SS, Lee WG (2006) A hundred butterfly of Korea. Hyeonamsa. Seoul. pp. 476.
  5. Kim SS, Seo YH (2012) Life histories of Korean butterflies. Sakyejul. Seoul. pp. 539.
  6. Kim TJ (1998) Korean resources plants IV. Seoul Nat. Univ. pp. 337.
  7. Kim YS (2010) Illustrated book of Korean butterflies in colorenlarged edition. Kyohaksa. Seoul. pp. 305.
  8. Lee SH, Kim SG, Nam GP, Son JD, Kim NE, Park YG, Kang PD, Choi YC (2013) Investigation of habitat and development of indoor-rearing condition of peacock butterfly, Inachis io(Linnaeus). J Seric Entomol Sci 51(1), 1-8.
  9. Nam SH, Lee SY, Lee WG (1998) Insect life in Korea V. Korea Insect Institute Affiliated. Korea Univ. Seoul. pp.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