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keholder Oriented Economical Efficiency Analysis on the Scenario to Implement Smart Transportation Services

지능형 운송 서비스 구축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관계자 중심 경제성 분석

  • Received : 2015.03.20
  • Accepted : 2015.03.2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method to evaluate the objective validity to launch smart transportation services that various stakeholders are complicatedly inter-connected. First of all, we have designed the fundamental business model to form the smart transportation services and defined the stakeholders taking part in the services. Also,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economical validity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Especially, in the case EV drivers and charging service providers, the economical validity depends on the scale of spreading. Therefore, we have compared the two extreme scenarios, the poor and stable level of EV spreading. According to the result, it may be said that EV drivers and charging service providers cannot be guaranteed the economical validity due to the burden of initial investment. On the contrary to this, suppliers of EV and charging gears may secure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ofit. In addition, the government may have great profit due to reducing the CO2 emission and cost for importing energy sources. Therefore, it is needed to enhance the level of supporting EV drivers and charging service providers at the first stage. Also, the impact of the ratio of EV and charging service stations on the economical validity of smart transportatio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본 연구는 최근 정부의 주요 에너지 관련 정책 중 하나인 지능형 전력망 확산 사업 중 대규모 장비와 전기차, 충전사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지능형 운송 서비스를 도입하는 데 대한 객관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능형 운송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업 모형을 설계하고, 해당 사업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를 정의하였으며, 전기차 이용에 따른 이해관계자간 상호 거래를 중심으로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제시 하였다. 특히, 전기차 이용자와 충전사업자의 경우 전기차 보급 규모에 따른 경제성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극단적인 두 보급 시나리오를 설계하여 각 이해관계자들이 수익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장비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가진 전기차 이용자와 충전사업자의 경우 해당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인 반면 전기차 및 충전설비 공급자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해당 사업의 추진과 지원의 책임을 가진 정부의 경우 전기차 보급에 따른 에너지 수입 비용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따른 편익 증가를 통해 전기차 보급 규모에 따라 타 이해관계자에 비해 높은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전기차 이용자와 충전사업자에 대한 지원 비율을 일정수준 높일 필요가 있으며, 전기차 사용자와 충전사업자 간 이해가 상충되는 전기차대 충전설비 비율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이 추후 수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성공적인 지능형 운송 서비스 확산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개별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확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Dae-Jong Gwak, Young-Joo Lee, Hyejin Jin, Policy Issues for Promoting New Businesses and Strengthening Sustainability in Green Industry: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and Green Car, KIET, 2011-156, 2011.
  2. H.S. Chun, Electric Vehicle Policy of Major Nation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ETRI, 2012.
  3. Korean Smart Grid Institute, Smart Grid Annual Report, 2009-2011, 2012.
  4. Korean Smart Grid Institute, Smart Grid Annual Report, 2013.
  5. Korean Smart Grid Institute, Smart Grid National Roadmap, 2010.
  6.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Installation and operating instructions. 2013.
  7.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support standards-based composition and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dvertised, 2011.7.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promote the use of Smart Grid, 2011.
  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mart Grid Test-bed in Jeju, 2013
  10. National Petroleum Council (NPC), Emerging Electric Vehicle Business Models, Working Document of the NPC Future Transportation Fuels Study, 2011.
  11. Xiaomin Xi, Ramteen Sioshansi, and Vincenzo Marano, A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for Location of a Public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22:60-69, 2013. https://doi.org/10.1016/j.trd.2013.02.014
  12. Yong-Won Seo (2012). Integrated Model of Inventory and Waiting Time in EV Battery Switching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7(4), 51-65. https://doi.org/10.7737/JKORMS.2012.37.4.051
  13. 2012 Q1-Q4 The EV Project, The EV project quarterly report,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