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er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공동AP(대학과정선이수제)제도에 대한 교원인식

  • Received : 2015.04.27
  • Accepted : 2015.07.0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111 teachers from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regarding AP program and were willing to teach AP program. However, teachers perceived that schools were not ready to start AP program. Also, They perceived that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more teachers to teach AP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needed to set up AP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60-hours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ncentive system for the AP teachers were neede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2016년부터 20개 과학고와 5개 특성화 대학 간의 공동AP제도를 도입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에서 공동AP제도 도입에 앞서 과학고 및 영재고 교원 111명을 대상으로 공동AP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동AP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및 교원의 전문성 신장방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AP교과를 담당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P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고의 공동AP제도 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AP제도에 대한 학교차원의 준비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공동AP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관련하여 수업 및 교육자료 개발과 AP담당 교사 증원, AP담당 교원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AP담당 교원과 관련해서는 행정업무 축소와 수업시수감면, 연구비 지급과 같은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전문성 신장을 위한 60시간 정도의 연수(온라인: 19시간, 집합: 35시간, 산출물: 6시간)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AP제도 도입에 앞서 공동AP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수, 정현철, 이영주, 채유정, 신윤주, 박혜진, 이범진, 김희목 (2014).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고등학교 AP과정 운영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BAN0001.
  2. 김동원 (2012).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류 및 과학고/영재학교와의 연계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3. 박선미, 김용남, 심재영, 배새벽, 안정훈 (2005). 선수학점 인증 시험에 관한 연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대전
  4. 박선미, 김경대, 김훈, 김국현, 박일수 (2010). 대학과목선이수제 중등교육기관에의 적용 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10-8-339.
  5.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 (2008).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8-28-310.
  6. 박선미, 김재춘, 김훈, 김경대, 이태상 (2006). AP(Advanced Placement) 제도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6-2-249.
  7. 박선미, 김훈, 김경대, 이태상, 박일수 (2007).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7-22-276.
  8. 신윤주, 이영주, 채유정, 박혜진, 이범진, 김희목 (2014). 대학과목 선이수과정(AP) 운영지원 개선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BAF0001-2.
  9. 정현철, 이운지, 조선희 (2012).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영재학교 AP과정 운영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26.
  10. 한국과학기술원 (2012). 2011-2012 학사요람.
  11. 한기순, 최호성(2014). 과학영제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6), 1001-1024. https://doi.org/10.9722/JGTE.2014.24.6.1001
  12. College Board (2012). AP Program Guide. College Board.
  13. College Board (2014). The 10th Annual AP Report to the Nation. College Board.
  14.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홈페이지 http://up.kcue.or.kr/index.jsp (검색일: 2015.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