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Use of Angelicae Gigantis Radix in Uterus and Gynecology Part of Dongeuibogam

동의보감 胞門과 婦人門 처방 중 당귀 용례에 대한 연구

  • Lee, Hye-I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 Dong-Youl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이혜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유동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Received : 2015.07.23
  • Accepted : 2015.08.0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gynecologic use of Angelicae Gigantis Radix in uterus and gynecology part of Dongeuibogam. Methods I searched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in uterus and gynecology part of Dongeuibogam and analyzed the selected prescriptions to research the use of Angelicae Gigantis Radix in uterus and gynecology part of Dongeuibogam. Results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are utilized for 10 disease patterns in uterus part. The number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is 50 in uterus part.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are utilized for 29 disease patterns in gynecology part. The number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is 90 in gynecology part. Angelicae Gigantis Radix was taken as a sovereign, minister drug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of uterus and gynecology part. In many prescriptions, Angelicae Gigantis Radix is used in the treatment of amenorrhea and dysmenorrhea in uterus part.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are used to treat not only female infertility but also male infertility in gynecology part. The Samul-tang is the most useful prescription which contains Angelicae Gigantis Radix. Conclusions Angelicae Gigantis Radix is an effectual medicinal herb for menstrual disease, vaginal discharge, pregnancy disease, postpartum disease. So I consider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s which improve convenience and effect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Keywords

Ⅰ. 서 론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생리기능을 유지하는 내장기관을 오장육부로 설명한다. 동의보감 편제를 살펴보면, 내경편에서 오장육부를 설명한 후 이어서 胞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胞는 奇恒之腑로 일명 자궁을 의미하는데 胞는 생명이 태어나는 근원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동의보감 胞門의 ‘胞爲血室’에서 血室은 피가 머무는 곳이고 營衛가 멈추는 곳이며, 경맥이 흘러 모이는 곳이라 하였다. 또한 남자는 기를 위주로 하고, 여자는 혈을 위주로 한다고 하여 여성에서 혈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당귀는 동의보감에서 여성 질환을 언급한 胞門, 婦人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당귀가 血病의 要藥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1).

당귀는 미나리과(산형과: 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당귀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根을 건조시킨 것이다.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 새싹이 돋기 전에 뿌리를 캐내어 莖葉 및 泥土를 제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여러 날 건조한다. 중국에서는 A. sinensis(Oliv.) Diels를 일본에서는 大和當歸 A. acutiloba Kitag.를 이용하고 있다2).

국내산 참당귀의 주요성분에는 α-pinene, limonene, β-eudesmol, elemol등의 정유를 포함한 decursin, decurisinol, nodakenen, B-sitosterol, stigmasterol 등이 있다3). 참당귀의 주요한 약리 성분인 decursin의 약리 효능은 항암작용4), 기억력 향상5), 항염증6), 항박테리아7), 면역 증강8), 혈당 강하9), 간 보호 작용10) 등이 보고되고 있다.

중국산 당귀에는 揮發油가 甘肅省産은 0.4%, 四川省産에는 0.7% 함유되어있다. 휘발유 주성분은 butylidene phthalide, n-valerop-henone-o-carboxylic acid 및 △2,4-dihydrophthalic anhydride와 다량의 蔗糖(40%)과 vitamin B12(0.25~4 mg/100 g) vitamin A류 물질(vitamin A 0.0675%)을 함유하고 있다2).

당귀의 性은 溫하고 味는 甘辛하며 補血和血, 調經止痛, 潤腸通便 등의 효능이 있어 月經不調, 經閉腹痛, 癥瘕結聚, 崩漏, 血虛頭痛, 眩暈, 痿痹, 腸燥便難, 癰疽瘡瘍, 跌撲損傷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2,11,12).

당귀는 心肝脾 三經에 귀경하는데 心은 血을 主하고 肝은 血을 藏하며, 脾는 血을 총괄하므로, 모든 血證을 치료하고 血病에 要藥이 되어 調經에 양호한 효과가 있으며, 衝, 任, 督, 帶脈을 조리하여 補血, 和血하여 婦人科의 經, 帶, 胎, 産病에 모두 사용되는 약으로 婦科專藥이라 하였다. 또한 外科, 傷科에도 활용하는데 혈액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어혈과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마비 증상을 풀어주고 통증도 완화시킨다고 하였다2,11,12).

동의보감에는 여성과 관련된 질환이 광범위하게 수록되어 있다. 내경편의 胞門에서 월경병, 대하병을, 잡병편의 婦人門에서 임신병, 분만시 질환, 산후병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외형편의 乳門에서는 유방질환을, 前陰門에서는 외음부질환 및 생식계통과 유관한 질환을 다루고 있다.

그 중에서 胞門과 婦人門을 대상으로 하여 사물탕의 주요 약재인 당귀가 부인과 질환에 얼마나 빈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우리나라 대표 의서인 동의보감의 胞門, 婦人門 처방 중 당귀가 포함된 처방의 병증과 주치, 당귀의 사용량과 군신좌사, 사용부위, 수치법, 제형 등에 대하여 문헌적으로 고찰하여 당귀의 부인과 질환 치료에 대한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본 론

동의보감 내경편의 胞門 중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49개, 잡병편의 婦人門 중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90개로 총 139개의 처방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당귀가 포함된 처방의 기준은 처방 구성에 당귀가 포함된 것으로 하였으며, 催生散과 같이 복용 시 芎歸湯에 타서 먹거나 無極丸과 같이 당귀, 숙지황을 달인 물로 쑨 풀로 반죽하는 경우, 칠제향부환과 같이 당귀가 법제시 사용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처방은 동의보감의 각 병증의 본문 하단에 별도로 처방 설명(처방명, 주치, 처방구성, 제제, 용약법 등)이 기재된 처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 胞門, 婦人門에서 질환을 기준으로 분류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의 수

동의보감 胞門의 처방 수는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총 74개였다. 당귀가 포함된 처방의 수는 50개였으나, 溫淸飮과 解毒四物湯은 동일한 처방이므로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49개였다. 그리고 胞門에서 질환별로 분류한 처방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월경병이 75%, 대하병이 35%였다(Table 1).

Table 1.*AGR : Angelicae Gigantis Radix

동의보감 婦人門에서 사용된 처방 수는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총 218개였다. 佛手散의 처방 구성은 瘦胎令易産에서 제시되었는데 胎漏 胎動, 下死胎에서도 佛手散이 언급되었으므로 처방 수에서는 중복되어 제외하였다. 濟陰丹과 益母丸, 龜殼散과 加味芎歸湯은 처방명이 다르지만 처방 구성은 동일하므로 같은 처방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중복된 처방을 제외하면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총 90개였다. 그리고 婦人門의 질환별로 분류한 처방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불임이 76%, 임신병이 37%, 산시병이 13%, 산후병이 45%, 기타 질환이 59%였다(Table 2).

Table 2.*AGR : Angelicae Gigantis Radix

2. 胞門,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병증에 따른 당귀 용량 및 군신좌사

胞門,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을 병증별로 분류하고 당귀의 용량 및 용량에 따른 군신좌사를 정리하였다. 당귀 용량의 단위는 錢으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Table 3, 4).

Table 3.Disease Patterns, Dosage and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Courier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in Uterus Part

Table 4.Disease Patterns, Dosage and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Courier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in Gynecology Part

처방 구성이 黑龍丹과 같이 인용서적마다 다른 경우는 먼저 언급된 출전을 기준으로 하였다. 胞門의 增味四物湯, 奇效四物湯, 六合湯과 婦人門의 增損四物湯은 사물탕가감방인데, 용량이 따로 표기되어있지 않아, 동의보감에 제시된 사물탕의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婦人門의 加味歸脾湯은 귀비탕에 가미하였는데, 용량이 따로 언급되지 않아 동의보감에 제시된 귀비탕의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정리하였다(Table 3, 4).

군신좌사의 구분은 약물의 용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약물이 모두 동일한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모두 군으로 간주하였다(Table 3, 4).

3.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당귀의 사용부위에 따른 병증과 주치

胞門, 婦人門의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당귀 사용부위에 따라 병증, 주치를 정리하였다(Table 5).

Table 5.The Parts of Medicinal Material and Major effect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4.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당귀의 수치법에 따른 병증과 주치

胞門, 婦人門의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당귀 수치법에 따라 병증, 주치를 정리하였다(Table 6).

Table 6.Processing of Medicinals and Major effect of Prescriptions Containing Angelicae Gigantis Radix

 

Ⅲ. 고 찰

동의보감은 후한 시대에서 명에 이르는 중국 의서 83종과 우리나라 의서 3종, 총 86종을 참고하여 서술되었다. 동의보감이 편찬되던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반에는 임진왜란으로 기근, 질병이 창궐하고 적극적 치료법의 부재로 인구증가율과 인구규모가 최저치였다. 그러므로 허준은 임신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과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고 산후조리를 하는 방법을 동의보감에 담고자 하였다13-5). 또한 동의보감에서 부인과 질환을 위주로 서술된 胞門과, 산과 질환을 위주로 서술된 婦人門을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편제를 기존 의서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과학적으로 분류하고 있고, 병증에 있어서도 현대의 산부인과 질환에 해당하는 병증들을 포괄하여 광범위하게 수록하고 있다16).

胞門에서 당귀가 사용된 처방을 살펴보면 중복되는 처방을 제외하면, 전체 처방 수는 74개이며 그 중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은 49개로 전체의 66%를 차지하였다. 월경병에 쓰이는 57개의 처방 중 75%인 43개의 처방에서 당귀가 사용되었고, 대하병의 17개의 처방 중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은 6개로 전체의 35%였다. 특히 당귀는 대하병보다도 월경병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는 월경병의 병인이 血虛, 血熱, 血寒, 血瘀 등 기본적으로 혈의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에 반해 대하병은 濕痰, 濕熱을 주요 병인으로 인식하므로 理氣化濕, 祛痰시키는 약물을 위주로 처방을 구성했기 때문에 당귀가 들어간 처방의 비중에 적었다고 사료된다(Table 1).

부인문에서 당귀가 사용된 처방을 살펴보면 중복되는 처방을 제외하면, 전체 처방 수는 218개였으며, 그 중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은 90개로 전체의 41%를 차지하였다. 불임 관련 병증(求嗣, 驗胎法)에 쓰이는 21개의 처방 중 76%인 16개의 처방에서 당귀가 사용되었고, 임신병의 68개의 처방 중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은 25개로 전체의 37%였다. 산시병의 총 38개의 처방 중의 13%인 5개의 처방에서 당귀가 사용되었으며, 산후병의 총 69개의 처방 중의 45%인 31개의 처방에서 당귀가 사용되었다. 婦人門에서 불임 관련 병증인 求嗣와 驗胎法에서 전체 처방의 76%로 당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 산후병, 임신병, 산시병의 순이었다. 산후병은 분만시의 출혈과다로 亡血傷津하며 瘀血로 인하여 발생하므로 血病의 要藥인 당귀가 45%의 처방에서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임신병에서는 임신 중의 소화기계, 비뇨기계, 호흡기계 질환 등 다양한 증상이 포함되어 주요 증상에 따른 약물로 처방을 구성하므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다고 사료된다. 또한 산시병에서는 行氣除濕하는 약물을 위주로 사용하여 태아를 쉽게 출산하도록 하였으며, 난산시 적용하는 外貼法에서는 피마자, 사향, 웅황 등을 下死胎에서는 계심, 사향등을 위주로 사용하였므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적었다고 본다. 기타 병증은 姙娠通治, 婦人雜病과 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藏燥證인데 姙娠通治, 婦人雜病에서는 대부분의 처방에 당귀가 들어갔으나 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藏燥證의 처방에는 당귀가 포함되지 않았다(Table 2).

胞門에서는 崩漏治法, 通血治法, 調血治法, 帶下治法 등 총 10개의 병증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총 49개였다. 崩漏治法에 사용된 처방수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通血治法에서 10개, 調血治法에서 6개 등의 순이었다. 동의보감 胞門에 처방이 실린 11개의 병증 중 10개의 병증에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모두 들어가 있을 정도로 胞門 처방에서 당귀는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었다(Table 3).

婦人門에서 총 29개의 병증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94개였는데 그 중에서 중복된 처방을 제외하면 婦人門에서 총 90개의 처방에 당귀가 사용되었다. 婦人門에서는 求嗣에서 사용된 처방수가 15개로 가장 많았고, 胎漏胎動, 婦人雜病에서 10개, 産後發熱에서 7개, 半産에서 6개 등의 순이었다(Table 4).

通血治法과 室女月經不行, 血結成瘕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은 무월경을 기본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무월경의 병인이 七情損傷, 腎陰虛, 胃氣下陷, 寒, 熱, 血虛 등 다양함으로 보아, 당귀는 배합되는 약재에 따라 다양한 병인의 무월경을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1).

調血治法, 通血治法, 室女月經不行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 중에 월경통을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다1). 이는 당귀의 최근 연구에서 밝혀진 휘발성 성분이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하여 자궁의 긴장을 풀고 家兎의 장근육 수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자궁근의 경련과 수축으로 인한 소복통을 감소시키는 작용과 일맥상통한다고 생각된다11,12)(Table 3).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求嗣에서 15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求嗣는 자식을 구하는 법이라는 의미로 불임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는데, 당귀가 포함된 15개의 처방 중 固本健陽丹, 續嗣丹, 溫腎丸은 남성 불임에 사용되었고, 나머지 처방들은 여성 불임에 사용되었다1). 이처럼 당귀는 여성 불임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배합하는 약재에 따라 남성의 불임에도 사용할 수 있었다(Table 4).

婦人門의 胎漏 胎動에도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10회 언급되었는데, 이는 당귀가 자궁 태반 관류를 개선시키고, 태반기능을 높여 태아를 보호하는 기능 및 생식기의 발달과 그 기능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 것과 연관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瘦胎令易産과 下死胎에서 佛手散을 사용하는 것은 당귀의 수용성 및 비휘발성 성분이 자궁을 흥분 수축시키는 작용과 연관된다고 생각된다11,12). 또한 子癎, 子腫, 子淋, 子痢, 子懸 등 임신 중의 여러 증상과 血暈, 血崩, 産後見鬼譫語, 産後發熱, 産後陰脫 등 산후병에도 당귀가 들어간 처방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Table 4).

당귀가 포함된 처방의 처방 구성과 당귀 사용량을 살펴본 결과 散, 湯劑는 1첩 분량이 기재되어 있어 당귀 사용량을 상호 비교하기 쉬웠으나 丸, 丹, 元劑는 각기 처방마다 환의 크기, 복용량이 다르고, 제환 과정에 합하는 보료의 양이 표기되지 않아 당귀 사용량을 일률적으로 계산하기가 어려워 丸, 丹, 元劑와 散, 湯劑를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胞門의 총 49개의 처방 중 丸劑는 12개였으며 散, 湯劑는 37개였다. 婦人門의 총 90개의 처방 중 丸, 丹, 元劑는 26개였으며 散, 湯劑는 64개였다(Table 3, 4).

胞門에서 당귀가 들어간 12개의 丸劑 중에서 帶下治法의 처방이 5개로 가장 많았으며 당귀 사용량을 보면, 20錢이 사용된 처방이 4개, 10錢이 사용된 처방이 4개, 5錢과 4錢이 사용된 처방이 각각 1개 있었다. 또한 芩白樗皮丸과 苦練丸은 구성 약재들이 各等分으로 사용되었다(Table 3).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26개의 丸, 丹, 元劑 중에서 求嗣에 사용하는 처방이 13개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26개의 丸, 丹, 元劑에서 당귀 사용량을 보면 10錢을 사용하는 처방이 12개로 가장 많았으며, 20錢을 사용하는 처방이 9개였다. 이 외에 30, 15, 7.5, 5, 2.5錢을 사용하는 처방이 각각 1개 있었다(Table 4).

胞門과 婦人門의 총 38개의 丸, 丹, 元劑 중에서 불임을 치료하는 처방은 胞門에서 2개, 婦人門에서 13개, 총 15개였다. 또한 婦人門의 求嗣에서 당귀가 들어간 총 15개의 처방 중에서 丸劑는 9개, 丹劑는 4개로 87%를 차지하였다(Table 3, 4). 이는 환제가 복용이 간편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의 지속성이 길고 휴대와 저장이 편리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임상에서 관습적으로 비교적 귀중한 약물이나 특수한 효능을 가진 약물 제제를 丹이라하는데 당귀가 포함된 총 6개의 丹劑중에 4개가 求嗣에 사용된 것을 보면, 불임치료에 당귀를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었다17).

胞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散, 湯劑에서 당귀의 사용량을 보면, 최대 12錢에서 최소 0.3錢이며 1錢이 13개의 처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Table 3).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散, 湯劑에서 당귀의 사용량을 보면 20錢에서 0.5錢까지이며 1錢이 22개의 처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Table 4).

당귀가 사용된 처방을 군신좌사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胞門에서 당귀가 군으로 사용된 처방은 49%로 절반에 가까웠으며, 군신으로 사용된 경우는 84%였다. 또한 婦人門에서도 당귀가 군으로 사용된 처방은 48%로 절반에 가까웠으며, 군신으로 사용된 경우는 82%였다. 이처럼 당귀는 胞門과 婦人門의 많은 처방에서 사용되는데, 특히 군신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3, 4).

당귀의 사용 부위에 대한 효능은 일반적으로 當歸身은 補血養血하고, 當歸尾는 活血祛瘀하며, 全當歸는 補血和血한다고 하였다2,12). 동의보감 湯液編 草部에서는 當歸頭 부분은 破血에 쓰고 當歸尾는 止血止痛시킨다고 하였으며 전체를 다 쓰면 어혈을 풀고, 한편으로는 피를 멎게 하니 바로 和血하는 것이라 하였다.

각 처방에서 당귀의 사용부위에 대하여 살펴보면 當歸身은 胞門의 崩漏治法에 해당하는 開鬱四物湯, 全生活血湯, 益胃升陽湯에서 사용되었다. 崩漏는 갑자기 血脫하게 되므로 인사불성과 같은 증상도 수반되는데 當歸身은 補血養血하므로 부족해진 기혈을 보충하므로 崩漏治法의 처방에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當歸尾는 胞門의 備金散, 紅花當歸散, 歸朮破癥湯과 婦人門의 黃芪芍藥湯에 사용되었는데, 備金散은 崩漏治法의 처방이고, 紅花當歸散은 室女月經不行과 腰腹疼痛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이는 當歸尾의 止血止痛의 효능을 활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歸朮破癥湯은 血結成瘕에 사용되는데 삼릉, 봉출, 홍화 등의 活血祛瘀藥과 活血祛瘀의 작용을 하는 當歸尾를 배오하여 어혈을 제거하여 血瘕를 치료한다고 생각된다. 當歸身尾는 婦人門의 産後風痓의 歸荊湯에 사용되었다. 표에서와 같이 胞門, 婦人門의 일부 처방에서 효능별로 當歸身과 當歸尾로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별도로 언급되어 있지 않은 처방의 당귀는 뿌리 전체를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Table 5).

당귀의 修治法에 따른 효능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酒當歸는 行氣活血에 주로 사용하고, 酒炒하면 行氣活血 작용을 증강시킨다고 하였다2,12). 동의보감 湯液編 草部에서는 酒浸하면 상부의 병을 낫게 하고, 酒洗 하면 외부의 병을 낫게 한다고 하였으며, 血病에는 酒蒸해서 쓰고, 痰病에는 薑汁炒한다고 하였다. 술에 담갔다가 쓰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1).

처방에서 당귀의 修治法을 살펴보면, 當歸酒浸은 婦人門의 煖宮螽斯丸에 사용되었다. 동의보감 湯液編 草部에서 當歸酒浸은 상부의 병을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煖宮螽斯丸과 같이 하부의 병을 치료하는 처방에 당귀를 酒浸하여 사용한 것은 혈맥을 통하게 하는 酒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라 생각된다2). 當歸酒炒는 胞門의 三神丸에서 어혈을 제거하는 현호색과 배합되어 行氣活血의 효능을 증강시켜 무월경을 치료하는데에 활용되었다. 當歸酒洗는 胞門의 子芩丸, 婦人門의 調經養血元, 滋陰地黃丸, 先天歸一湯, 千金保胎丸에 사용되었다. 當歸身酒洗는 婦人門의 調經種玉湯, 固本健陽丹에 사용되었다. 동의보감 湯液編 草部에서 當歸酒洗가 외부의 병을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처방의 주치를 살펴보면 이는 酒의 通血脈, 爲百藥之先하는 효능을 이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當歸微炒는 婦人門의 內補丸에 사용되었다. 당귀의 修治法에서 酒가 보료로 다용된 것은 당귀의 주요 성분이 정유 성분이므로, 유효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도록 하며18), 혈맥을 통하게 하여 약의 기운을 잘 행하게 하는 酒의 효능을 활용한 것이라 생각된다(Table 6).

처방 구성에서 사물탕이 포함된 경우를 살펴보면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가 모두 포함된 처방은 胞門에서 12개, 婦人門에서 13개였다. 숙지황 대신에 생건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胞門에서 6개, 婦人門에서 2개였다. 胞門과 婦人門의 당귀가 포함된 처방에서 사물탕의 4가지 약재 중 당귀를 포함한 2가지 이상 약재가 함께 배오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胞門에서 34개로 69%에 해당하며, 婦人門에서는 72개로 80%를 차지하였다1). 이처럼 胞門과 婦人門에서 당귀가 사물탕의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이상으로 동의보감에서 당귀가 胞門, 婦人門에서 부인과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살펴본 결과, 당귀는 胞門, 婦人門에서 군신으로 빈번하게 활용되었으며 특히 사물탕의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당귀는 婦女의 月經不調, 經閉, 經痛 및 胎産諸證과 血虛, 血瘀, 血寒, 血滯 등의 질환과 산전과 산후의 각종 질환에 주요하게 활용 되었다. 향후 동의보감 이외의 다른 문헌에서 당귀의 부인과 질환 활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Ⅳ. 결 론

동의보감에서 당귀가 포함되어 있는 胞門의 49개 처방과 婦人門의 90개 처방에 대한 병증과 주치, 당귀의 사용량과 군신좌사, 사용부위, 수치법, 제형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胞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질환별로 분류한 총 처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월경병에서 75%, 대하병에서 35%였다.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이 질환별로 분류한 총 처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불임에서 76%, 산후병에서 45%, 임신병에서 37%, 산시병에서 13%, 기타 질환에서 59%였다.

2. 胞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10개의 병증에서 총 49개였다. 이 중 崩漏治法에 사용된 처방 수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通血治法에 10개, 調血治法, 帶下治法에 6개 등의 순이었다.

婦人門에서는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29개의 병증에서 총 90개였다. 婦人門에서는 求嗣에서 사용된 처방수가 15개로 가장 많았고, 胎漏胎動, 婦人雜病에서 10개, 産後發熱에서 7개, 半産에서 6개 등의 순이었다.

3. 胞門의 通血治法과 室女月經不行, 血結成瘕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 중에는 무월경을 기본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고, 調血治法, 通血治法, 室女月經不行에서 당귀가 포함되는 처방중에는 월경통을 기본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婦人門에서 당귀가 포함된 처방은 求嗣에서 15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당귀가 포함된 15개의 처방 중 固本健陽丹, 續嗣丹, 溫腎丸은 남성 불임에 사용되었고, 나머지 처방들은 여성 불임에 사용되었다.

4. 胞門에서 당귀가 군으로 사용된 처방은 49%, 군신으로 사용된 처방은 84%였다. 婦人門에서 당귀가 군으로 사용된 처방은 48%였으며, 군신으로 사용된 처방은 82%였다.

5. 당귀는 散, 湯, 丸, 丹, 元의 제형으로 사용되었는데, 胞門의 49개 처방 중 散, 湯劑는 37개였으며 丸劑는 12개였다. 婦人門의 90개 처방 중 散, 湯劑는 64개였으며 丸, 丹, 元劑는 26개였다.

6. 胞門에서 當歸身은 開鬱四物湯, 全生活血湯, 益胃升陽湯 등 崩漏治法의 처방에 사용되었으며, 當歸尾는 備金散, 紅花當歸散, 歸朮破癥湯에 사용되었다. 婦人門에서 當歸尾는 黃芪芍藥湯에 사용되었으며, 當歸身尾는 産後風痓의 歸荊湯에 사용되었다.

7. 胞門에서 當歸酒炒는 三神丸에, 當歸酒洗는 子芩丸에 사용되었다. 婦人門에서 當歸酒浸은 煖宮螽斯丸, 當歸酒洗는 調經養血元, 滋陰地黃丸, 先天歸一湯, 千金保胎丸에, 當歸身酒洗는 調經種玉湯, 固本健陽丹에, 當歸微炒는 內補丸에 사용되었다.

8. 胞門과 婦人門에서 당귀가 사물탕의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References

  1. Heo J. Dongeuibogam. 1st editon. Gyeonnam:Dongeuibogam publisher. 2010:294-317, 2169-70, 1745-51, 1756, 1761, 1763-1772, 1778-9, 1781-9, 1792-818.
  2. National oriental medicine school coeditorship of herbal medicines professors. Herbal medicine. 2nd rev ed. Seoul:Youngrimsa. 2008:127, 629-31.
  3. Ji HJ. Korean herbal medicine standard annotation. Seoul:Korean medical index publisher. 1998:688-90.
  4. Lee SH, et al. Anti-tumor activities of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Arch Pharm Res. 2003;26(9):727-30. https://doi.org/10.1007/BF02976682
  5. Kang SY, et al.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mitigates amnesia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Neurobiol Learn Mem. 2003;79(1):11-8. https://doi.org/10.1016/S1074-7427(02)00007-2
  6. Yang T, et al.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gelica sinensis. Int J Biol Macromol. 2006;39:179-84. https://doi.org/10.1016/j.ijbiomac.2006.02.013
  7. Lee SH, et al. antibacterial coumarins from Angelica gigas roots. Arch Pharm Res. 2003;26(6):449-52. https://doi.org/10.1007/BF02976860
  8. Ahn GS, et al. Immunostimulating components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Kor. J. Pharmacogn. 1996;27(3):254-61.
  9. Lee MY. Decursin reduces high glucose-induced diabetic nephropathy through PKC regulation in RMC. School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2004:1-138.
  10. Oh HS, Lim JH, Chung MH.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toxic drugs in rats. Kor. J. Pharmacogn. 1998;29(4):402-12.
  11. Kim CM, et al. China herbal medicine dictionary. Seoul:Jungdam. 1998:1159-68.
  12. Im EM. Female herbal medicine. Gyeonggi:National medical publisher. 2005:69-73.
  13. Kim H. Dongeuibogam study of the Heo Jun.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1994;16:3-30.
  14. Jeong WY. Heo Jun's medical thought in Dongeuibogam. Guamhakbo. 1991;1:55-71.
  15. Song BG. Dongeuibogam’s effect in gynecologic development. Guamhakbo. 1992:25-9.
  16. Jeon YJ, Kim DI. Study on the theory and prescriptions in gynecology of Dongeuibogam presented in Euimunbogam, Jaejungshinpyeon and Bangyakhabpyeon. J Korean Obstet Gynecoly. 2008;21(3):179-99.
  17. National Oriental Medicine School Coeditorship of Formula Study Professors. Formula study. Seoul:Youngrimsa. 2009:49.
  18. Kim SA, et al. A review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Angelica gigas, Angelica sinensis, Angelica acutiloba and their bioactive compounds. J Korean Oriental Med. 2011;32(4):1-24.

Cited by

  1. Single-dose Intravenous Injection Toxicity of Water-soluble Danggui Pharmacopuncture (WDP) in Sprague-Dawley Rats vol.21, pp.2, 2015, https://doi.org/10.3831/kpi.2018.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