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평가문항 분석

An Analysis of Unit Evaluation Item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투고 : 2017.06.15
  • 심사 : 2017.06.25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산염기 및 산화 환원 단원의 문항을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 문항에서는 지식 영역의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순으로 그 요소는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출판사에 따라 각 문항에 나타난 인지 영역의 하위 영역이 골고루 포함되지 않았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출판사의 교과서 단원평가 문항을 참조하여 수업에 이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tems of acid base and redox unit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using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lements of knowledge area appeared the most in textbook items of all publishing companies, and those elements were less in order of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nd the sub-domain of cognitive domain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by the publisher. Therefore, schools need to refer to the evaluation items of the textbooks of various publishing companies and use them in cla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임성미 (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 문항의 인지적 영역 분석 - 7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2), 125-132.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3.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5.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2013). 학습지향적 평가를 위한 형성평가 실천. 2020 한국 초.중등 교육의 향방과 과제(성태제 편), 서울: 학지사.
  6. 박재용, 이기용 (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7. 서영진, 김형수, 채희권 (2010). 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화학2 단원평가문항 분석. 대한화학회지, 54(3), 329-337. https://doi.org/10.5012/jkcs.2010.54.3.329
  8. 성태제 (2002).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9. 오지훈 (2015). 2009 개정 지구과학 I 교과서와 EBS 교재 및 교육과정 평가 문항의 비교.분석 : '위기의 지구'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윤희 (2009). 제 7차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형성평가 문항의 단원 적합성 분석-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단원을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
  11.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8). 과학과 수업모형. 파주: 교육과학사.
  12. 최병순 (2007).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 제2개정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13. 최소영 (2000).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생명'단원에 대한 평가문항의 비교와 활용도 조사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허진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비상교육 고등학교 생명과학 I 교과서 평가문항 분석 : I, II, III단원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Access Center (2006). Science inquiry: The link to access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hington, DC: The Access Center.
  16. Bell, B., Cowie, B. (1997). Formative Assessment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port of the Learning in Science Project(Assessment). Hamilton: University of Waikato.
  17. Black, P. (1995). Can Teachers Use Assessment to Improve Learning British Journal of Curriculum & Assessment, 5(2), 7-11.
  18. Brown, F. (2000). The effect of an inquiry-oriented environmental science sourc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ttitudes about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2, 1-6.
  19. BSCS (2005). Doing science: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CO: Colorado Springs.
  20. Cameron, J., Pierce, D. P. (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3), 363-367.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3363
  21. Davila, K., Talanquer, V. (2010). Classifying End-of-Chapter Questions and Problems for Selected General Chemistr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1), 97-112. https://doi.org/10.1021/ed8000232
  22. Hammerman, E. (2006). Essentials of inquiry-based science, K-8. CA: Corwin Press.
  23. National Academy Press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